전체메뉴

경제
닫기
이제 해당 작성자의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닫기
삭제하시겠습니까?
이제 해당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앵커리포트] 美 '금리 인상' 만지작?...옐런 발언에 한국은행도 '촉각'

2021.05.06 오후 02:33
AD
불과 두 달 전,


미국의 금리를 결정하는 연방준비제도는 "최소 2023년까지 현재의 제로금리를 유지하겠다."고 공언했습니다.

긴축 기조에 대한 우려로 장기 국채 등 금융시장이 들썩거리자 서둘러 진화에 나선 건데요,

하지만 과연 이 발언이 그대로 지켜질지, 누구도 섣불리 장담하긴 어렵습니다.

우선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 경제가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회복 국면에 접어들었습니다.

특히 미국의 경우, 천문학적인 경기 부양책과 백신 접종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데요.

이 때문에 물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국제유가도 가파르게 오르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연준 의장을 지냈던 옐런 미 재무장관이 금리 인상의 필요성을 직접 언급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물론 논란이 커지자 자신은 권한이 없다며 한 발 빼긴 했습니다.

시장은 즉각 반응했습니다.

금리에 좀 더 민감한 나스닥은 2% 가까이 급락했고요.

S&P 500지수도 하락 마감했습니다.

시장에서는 옐런 재무장관이 금리 인상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이런 미국의 움직임에 우리도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지난해 5월, 사상 최저인 0.5%로 낮아진 뒤 1년째 동결돼있는 상황인데요.

자본 유출 우려 등을 고려해 미국과 일정한 금리 차이를 유지해야 하는 현실을 고려하면, 한국은행도 예상보다 금리 인상 시기를 앞당길 수 있습니다.

환율 시장에 미칠 영향에도 주목할 수밖에 없습니다.

일단 큰 틀에선 미국의 금리 상승으로 달러 수요가 높아지면 상대적으로 원화 가치가 하락하는 만큼 수입 물가를 끌어올릴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로서 가장 큰 부담은 가계 부채입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1,700조 원을 넘어선 데 이어 1분기에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부동산 가격의 급등과 이른바 빚투, 또 코로나 충격에 따른 생활 자금 대출 등의 영향이 겹친 것으로 풀이되는데요,

단순하게 계산해도 금리가 1% 포인트만 올라도 이자만 수십조가 늘어나는 셈인데요


상황이 심각해지자 정부도 잇따라 가계부채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급격하게 금리가 오르면 충격은 불가피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은행은 과연 어떤 선택을 하게 될까요?

고민은 계속 깊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AD
AD

Y녹취록

YTN 뉴스를 만나는 또 다른 방법

전체보기
YTN 유튜브
구독 4,420,000
YTN 네이버채널
구독 5,675,270
YTN 페이스북
구독 703,845
YTN 리더스 뉴스레터
구독 11,157
YTN 엑스
팔로워 361,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