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북구 수유동의 한 주상복합 아파트.
이미 완공된 상태로 3.3㎡당 3천여만 원에 후분양이 진행 중인데, 216가구 가운데 상당수가 미분양 상태입니다.
고금리 시대에 주변 시세보다 비싼 분양가가 원인으로 꼽힙니다.
결국, 시행사는 분양가를 15% 정도 할인해 다시 분양에 나섰습니다.
최근 서울의 미분양 주택은 급증하는 양상입니다.
전국적으로도 지난해 10월 만4천여 가구에서 최근 2만7천여 가구로 두 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이러다 보니 아파트 가격의 하락 폭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고점을 찍었다는 인식이 확산하면서 서울 강남에서도 수억 원씩 떨어지는 추세입니다.
여기에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7%를 넘어 8%까지 넘보는 등 가파르게 오르면서 대출 이자 부담에 거래 자체가 줄어들어 주택시장이 더 냉각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현금부자들이 선호하는 초호화 주택의 가격만 강세를 보일 것이란 전망도 있습니다.
미국 금리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시중은행 금리는 당분간 오를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집값 하락세는 장기화 가능성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전망입니다.
YTN 이동우입니다.
촬영기자 : 윤성수
그래픽 : 이은선
VJ : 안현민
자막뉴스 : 윤현경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AD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막뉴스 더보기
-
CCTV에 찍힌 완도 일가족..."아이 태워 어디론가"
-
유류세 내렸는데 기름값 연일 '신기록'...정부 화났다
-
완도 일가족, 추가 행적 확인...실종 미스터리 풀릴까
-
'식량 위기' 마주한 美...안간힘에도 커지는 우려
-
이준석·안철수, 국민의힘 지도부 내 세력 재편을 둘러싼 '줄다리기' 보여
-
벌써 불안한 전력 상황...역대급 '전기요금' 올까
-
러시아 돈줄 끊으려다...돌아온 최악의 '후폭풍'
-
美 겨누는 中 군사력...4번째 항공 모함 설계 완료
-
다음 주도 위험하다...'물폭탄' 주 무대는 어디?
-
요충지 포기한 우크라이나, 함락은 '시간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