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 식용' 논란...올해 종지부 찍을까? [앵커리포트]
오랜 기간 이어져온 개 식용 논란, 곧 종지부를 찍을 수 있을까요.
여야 모두 올해 안에 특별법을 만드는 데 공감하고 있는 데다, 당정이 오늘 관련 협의회를 열고 올해 안에 개 식용을 금지하기로 한 겁니다.
[유의동 / 국민의힘 정책위의장 : 가능한 한 빨리 개 식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내에 개 식용 종식 특별법 제정을 추진하겠습니다. 특별법 공포 즉시, 식용 개 사육 농가, 도축 유통업체, 식당 등은 지자체에 신고와 함께 종식 이행계획서를 제출하도록 하겠습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본격적으로 제기된 개 식용 문제, 40여 년 가까이 논란의 세월을 거쳤는데요,
가깝게는 지난 20대 국회에서 동물보호법, 축산법 등의 개정안을 통해 개식용 금지법이 발의되면서 본격적으로 국회 차원의 논의가 진행됐습니다.
현재 관저에서 10마리가 넘는 강아지와 고양이를 키우는 것으로 알려진 윤석열 대통령 부부의 반려동물 사랑도 이런 논의에 속도를 붙게 했죠.
윤 대통령은 후보 시절, 개 식용금지 추진을 공약으로 내걸기도 했고요, 실제 관련 내용을 국정과제에 포함하기도 했습니다.
김건희 여사도 지난 4월 청와대 상춘재에 동물보호단체 관계자들을 초청해 "정부 임기 내에 개 식용을 종식하도록 노력하겠다. 그것이 저의 본분" 이라며 이 문제 해결에 대한 적극적 의지를 드러내기도 했습니다.
물론, 반대 의견도 여전히 존재합니다.
생명 존중을 명분으로 하는 개 식용 금지는 앞뒤가 맞지 않는다.
다른 동물의 생명을 왜 말하지 않나? 이렇게 이야기하기도 하고요,
육견협회 반발도 크죠.
반려견과 식용개는 다르다. 관련 산업 종사자들의 생존권 보장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꾸준한 상황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야는 최근 각각 개 식용 종식법을 당론으로 채택했고, 오늘 민당정 협의회로도 이어지면서 연내 통과에 무게가 실리고 있는데요,
특별법 통과가 40년 논란의 종지부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여야 모두 올해 안에 특별법을 만드는 데 공감하고 있는 데다, 당정이 오늘 관련 협의회를 열고 올해 안에 개 식용을 금지하기로 한 겁니다.
[유의동 / 국민의힘 정책위의장 : 가능한 한 빨리 개 식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내에 개 식용 종식 특별법 제정을 추진하겠습니다. 특별법 공포 즉시, 식용 개 사육 농가, 도축 유통업체, 식당 등은 지자체에 신고와 함께 종식 이행계획서를 제출하도록 하겠습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본격적으로 제기된 개 식용 문제, 40여 년 가까이 논란의 세월을 거쳤는데요,
가깝게는 지난 20대 국회에서 동물보호법, 축산법 등의 개정안을 통해 개식용 금지법이 발의되면서 본격적으로 국회 차원의 논의가 진행됐습니다.
현재 관저에서 10마리가 넘는 강아지와 고양이를 키우는 것으로 알려진 윤석열 대통령 부부의 반려동물 사랑도 이런 논의에 속도를 붙게 했죠.
윤 대통령은 후보 시절, 개 식용금지 추진을 공약으로 내걸기도 했고요, 실제 관련 내용을 국정과제에 포함하기도 했습니다.
김건희 여사도 지난 4월 청와대 상춘재에 동물보호단체 관계자들을 초청해 "정부 임기 내에 개 식용을 종식하도록 노력하겠다. 그것이 저의 본분" 이라며 이 문제 해결에 대한 적극적 의지를 드러내기도 했습니다.
물론, 반대 의견도 여전히 존재합니다.
생명 존중을 명분으로 하는 개 식용 금지는 앞뒤가 맞지 않는다.
다른 동물의 생명을 왜 말하지 않나? 이렇게 이야기하기도 하고요,
육견협회 반발도 크죠.
반려견과 식용개는 다르다. 관련 산업 종사자들의 생존권 보장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꾸준한 상황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야는 최근 각각 개 식용 종식법을 당론으로 채택했고, 오늘 민당정 협의회로도 이어지면서 연내 통과에 무게가 실리고 있는데요,
특별법 통과가 40년 논란의 종지부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