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간 치료제에 이런 성분이? 근섬유 증가 치료제 발견!
노인들은 대부분 젊은이보다 걸음걸이가 느리고, 앉았다 일어날 때 유독 힘들어합니다.
노화가 진행되면서 근육이 비정상적으로 줄거나 약해져 신체활동이 어려운 근감소증 증상이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국내의 경우 65세 이상 노인의 약 13%는 근감소증 환자이며 근감소증 환자는 최대 9배까지 사망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됐지만, 현재까지 이렇다 할 치료제는 없는 실정입니다.
[김홍석 / 서울대병원 교수 : 가장 문제는 적절한 치료가 없다는 겁니다. 근감소증이 더 심해지지 않게 단백질 섭취를 장려하거나 아미노산을 보충해주고 운동 격려를 통해서 근력 증강은 못 하더라도 유지 정도는 하도록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국내 연구진이 이미 간 경화와 간 손상 치료제로 사용 중인 약물 말로틸레이트가 근섬유 위축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규명했습니다.
생쥐실험에서 말로틸레이트를 투여한 그룹은 근육량 증가의 척도인 근섬유 지름이 그렇지 않은 그룹보다 46% 증가했습니다.
또 투여 그룹의 허벅지 앞쪽 근육 무게도 21% 늘었습니다.
말로틸레이트가 근육 위축에 관여하는 체내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이를 통해 근육 소실에 핵심적으로 작용하는 물질을 저해하는 원리입니다.
[다런 윌리엄스 /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 말로틸레이트는 근력 향상뿐만 아니라 힘을 낼 수 있는 근섬유의 수를 증가시켜줍니다. 이는 말로틸레이트가 근감소증을 치료할 수 있는 좋은 치료 전략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연구진은 말로틸레이트가 근감소증 치료제로 개발될 경우 움직임이 불편하거나 식이조절이 어려운 환자 등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또 말로틸레이트는 간 질환 치료제로 이미 미국 FDA에서 승인을 받아 안전성이 입증된 만큼 개발 기간과 비용도 단축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YTN 사이언스 이성규입니다.
노화가 진행되면서 근육이 비정상적으로 줄거나 약해져 신체활동이 어려운 근감소증 증상이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국내의 경우 65세 이상 노인의 약 13%는 근감소증 환자이며 근감소증 환자는 최대 9배까지 사망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됐지만, 현재까지 이렇다 할 치료제는 없는 실정입니다.
[김홍석 / 서울대병원 교수 : 가장 문제는 적절한 치료가 없다는 겁니다. 근감소증이 더 심해지지 않게 단백질 섭취를 장려하거나 아미노산을 보충해주고 운동 격려를 통해서 근력 증강은 못 하더라도 유지 정도는 하도록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국내 연구진이 이미 간 경화와 간 손상 치료제로 사용 중인 약물 말로틸레이트가 근섬유 위축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규명했습니다.
생쥐실험에서 말로틸레이트를 투여한 그룹은 근육량 증가의 척도인 근섬유 지름이 그렇지 않은 그룹보다 46% 증가했습니다.
또 투여 그룹의 허벅지 앞쪽 근육 무게도 21% 늘었습니다.
말로틸레이트가 근육 위축에 관여하는 체내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이를 통해 근육 소실에 핵심적으로 작용하는 물질을 저해하는 원리입니다.
[다런 윌리엄스 /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 말로틸레이트는 근력 향상뿐만 아니라 힘을 낼 수 있는 근섬유의 수를 증가시켜줍니다. 이는 말로틸레이트가 근감소증을 치료할 수 있는 좋은 치료 전략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연구진은 말로틸레이트가 근감소증 치료제로 개발될 경우 움직임이 불편하거나 식이조절이 어려운 환자 등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또 말로틸레이트는 간 질환 치료제로 이미 미국 FDA에서 승인을 받아 안전성이 입증된 만큼 개발 기간과 비용도 단축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YTN 사이언스 이성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