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절벽, 위기의 대한민국
최근 테슬라의 CEO 일론 머스크의 충격적인 발언이 화제가 됐습니다.
한국의 저출산 현상이 심각해 이대로 가면 망할 수밖에 없다는 이야기를 언급한 것이죠.
실제로 우리나라는 인구절벽 폭풍의 영향권에 접어들었습니다.
15~64세의 생산가능인구는 2017년에 감소세로 돌아섰고 사망자가 출생자를 넘어선 데드크로스는 2020년에 발생했습니다.
학생이 없어 벚꽃 피는 순서대로 대학이 문을 닫는다는 ‘벚꽃엔딩’도 시작됐는데요,
정작 우리들은 인구 소멸 위기가 얼마나 큰 위험인지 짐작조차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인구 소멸 위험은 어느 정도일까요?
이에 인구 각 계층의 전문가들을 통해 대한민국 인구소멸 위기의 현황을 짚어보고, 이를 통해 곧 닥쳐올 경제, 부동산, 교육의 변화를 함께 조명해봅니다.
또한 결혼과 출산을 기피할 수밖에 없는 2030의 현실과 함께 저출산, 고령화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과학계의 움직임까지.
우리 사회의 새로운 현상들을 알아봅니다.
클립보드에 저장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