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백두산 천지 부풀어 오르는 화산 분화 징후 나타나... 대책 필요

2019.04.15 오후 05:40

15일, 한국지질자원연구소가 "백두산에서 화산 분화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면서 피해 예방과 대응책 구축을 위한 토론회를 열었다.

더불어민주당 심재권·이상민 의원과 함께 주최하는 이번 행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통일부 후원을 받아 포스텍박태준미래전략연구소, 백두산·화산마그마연구그룹에서 공동 주관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하 지질연)은 백두산 천지를 중심으로 화산지진, 가스, 지각변형 등 심각한 화산 분화 징후가 나타남에 따라 백두산이 언제 어떤 규모로 분화할지에 대한 근본적 연구와 범국가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백두산은 지하에 거대한 마그마의 존재가 확인된 매우 위험한 활화산으로 서기 946년 천지에서 발생한 '밀레니엄 대분화'는 남한 전체를 1m나 덮을 수 있는 엄청난 양의 분출물을 쏟아냈다.

이는 과거 1만 년 이래 지구상에서 가장 큰 규모의 분화 사건 중 하나다.

관측이 시작된 이래 2002년에서 2005년 사이에 백두산 천지 근방에서는 화산지진이 3,000여 회 이상 일어나 천지가 부풀어 오르는 등 심각한 화산분화의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과학자들이 백두산을 연구하는 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는 형편이다.
중국 측과의 관측자료 공유는 원활하지 않으며, 남북 공동연구는 정치·사회적 남북관계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포항공대 이윤수 교수와 경상대 손영광 교수는 "백두산 화산 재해의 과학적 연구방안과 실제적인 남북 국제공동협력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서울대학교 이현우 교수는 백두산 화산 분화 시 직접 확인할 수 없는 화산가스의 위험성과 관련된 백두산 천지 내의 이산화탄소 측정 및 분석의 체계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강현 박사는 체계적인 화산 감시망 구축이 2004년에 다시 분화한 세인트헬렌스 화산의 정확한 예측과 효과적인 경고를 끌어낸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신뢰성 높은 백두산 화산 분화의 예측을 위해 남북공동연구가 선행된 화산 감시 시스템 구축 및 운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경북대 오창환 교수는 해외 주요 화산 폭발 사례를 소개하고 백두산 화산 분화가 발생했을 때 예측되는 심각한 경제적, 사회적 피해와 인명 손실에 대하여 설명하며 유사시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지속적인 지원 시스템 구축을 해야 한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YTN PLUS 최가영 기자 (weeping07@ytnplus.co.kr)
HOT 연예 스포츠
지금 이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