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미국 CDC, 국내외 배정 코로나19 대응자금 17조 원 회수 중

2025.03.26 오후 02:32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코로나19 팬데믹 대응을 위해 주·지역 보건부, 비정부기구(NGO), 국제기관 등에 배정했던 자금 114억 달러, 우리 돈 약 16조7천억 원을 회수하고 있다고 보건복지부(HHS)가 밝혔습니다.

미 NBC 방송에 따르면 CDC를 감독하는 HHS는 현지 시간 25일 성명을 내고 "코로나19 팬데믹은 끝났다" 며 "미국인들이 몇 년 전 극복한,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 팬데믹에 대응하는 데 납세자의 돈 수십억 달러를 낭비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어 "HHS는 만성 질환 유행병에 대응하고 '미국을 다시 건강하게 만들라'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명령을 이행하는 프로젝트에 자금 조달을 우선시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미 HHS는 지난 24일 코로나19 대응 자금을 받은 기관들에 "보조금과 협력 협정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는 통지문을 보냈습니다.

CDC 수뇌부는 산하 기관에 보낸 메일에서 회수되는 자금은 주로 코로나19 검사, 백신 접종, 지역사회 보건 종사자, 고위험자 및 소외 계층의 코로나19 건강 격차 해소를 위한 계획을 비롯해 글로벌 코로나19 프로젝트에 사용되고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백신 음모론' 등을 설파했던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가 HHS 장관이 된 이후 단행된 일련의 예산 삭감 조치에 이어 나온 것입니다.

HHS는 앞서 백신 기피, 성소수자 지원,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예방 연구 등과 관련해 예산을 삭감했습니다.

NBC는 코로나19 공중보건 비상사태는 2023년 5월에 끝났지만, 여전히 매주 수백 명이 코로나19로 사망하고 있고, 장기 후유증인 롱코비드 증상은 신체 쇠약 등의 문제를 계속 일으킨다고 지적했습니다.

콜로라도주 보건환경부 관계자는 CDC 예산 삭감이 코로나19 대응뿐만 아니라 보건 다른 분야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특히 "연방 자금의 갑작스러운 손실이 콜로라도의 코로나19 추세 및 기타 신종 질병 추적, 질병 데이터 시스템 현대화, 유행병 대응, 주요 백신 접근성, 홍보·교육 능력을 위협해 지역사회가 미래의 공중보건 위기에 더 취약해질까 걱정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HOT 연예 스포츠
지금 이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