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 안귀령 앵커
■ 출연 : 김진두 / 문화생활과학부 기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태풍 '타파'가 빠르게 이동하고 있습니다. 내일 새벽까지 남해안과 동해안이 최대 고비를 맞을 것으로 보입니다.
김진두 기자와 함께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태풍 타파가 지금 남해상에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남해로 진입했고요. 이동속도가 시속 39km의 다소 빠른 속도로 이동을 하고 있습니다.
북동진을 하고 있는데 위치상으로 보면 제주도에서 멀어지고 있고 부산을 향해서 빠르게 다가가고 있는 상태입니다.
앞으로 1시간 정도 뒤면 부산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를 지날 것으로 예상이 되는데 당초 예상으로는 부산 쪽에 좀 붙어서 지나갈 것으로 예상이 됐는데 그거보다 약간 일본 쪽으로 치우쳤습니다.
그래서 대마도를 치고 지나갈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졌습니다. 그러니까 부산 쪽에서 약 80km 이상 떨어진 위치를 지나갈 것으로 예상이 되고 있는데 그래도 태풍이 여전히 강한 중형급 태풍의 위력을 유지하고 있고 중심부는 최대 초속 35m 돌풍을 동반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영향 반경이 지나가면서도 계속해서 영남지역까지는 직접 영향권에 들 가능성이 무척 높기 때문에 경계를 늦추지 말아야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저희가 조금 전에도 전해드렸는데요. 제주도에서 항공기 운항이 재개됐다고 하더라고요.
그렇다면 정리를 해보자면 제주도에서는 멀어지고 있고요. 경남 해안과 경북 해안이 최대 고비가 되겠다는 이야기인가요?
[기자]
그렇습니다. 제주도와 호남지방은 서서히 태풍의 영향권에서 벗어나고 있다, 하지만 앞으로는 영남과 동해안지역이 태풍의 최대 고비를 맞을 것이다, 이렇게 말씀을 드릴 수가 있고요.
보통 이렇게 남해에서 북상해서 남해상을 통과하는 태풍은 3번의 고비를 맞습니다. 첫 번째 고비는 태풍이 올라오기도 전에 태풍이 밀어올린 수증기가 상층의 찬 공기와 만나서 경남 해안지역 쪽으로 많은 비를 뿌립니다.
첫 번째 고비가 되겠고요. 두 번째 고비는 제주도에서 나타납니다. 제주도지역에 지형적인 효과가 겹치면서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지고 또 강풍이 몰아칩니다.
그게 두 번째 고비입니다. 마지막 남은 세 번째 고비는 남해상을 빠른 속도로 이동하기 때문에 서쪽지역은 날씨가 상당히 좋아지지만 동쪽 지역이 상당히 나빠지고 그것도 마지막에 고비를 한 번 꼭 겪습니다.
그게 차바 때도 그랬고요. 콩레이 때도 그랬습니다. 남해상을 지나는 태풍은 마지막 고비가 제일 중요한데 그게 지금부터 내일 새벽까지.
마지막 영남과 영남 동해안지역 쪽에서는 마지막 최대 고비를 맞는순간이기 때문에 경계를 늦추지 말아야 합니다.
[앵커]
차바 이야기가 나왔는데요. 차바가 2016년에 왔었던 태풍이죠. 그때 이번 태풍이 차바와 비슷하다고 하는데요.
어떤 점에서 비슷한지 또 그때 울산 태화강이 범람하기도 했는데요. 이번에도 그럴 가능성이 있습니까?
[기자]
우선 진로도가 나오고 있는데요. 진로가 거의 흡사합니다. 차바가 제주도 쪽으로 조금 더 붙어 갔고요.
차바는 부산 지역에 상륙하면서 빠져 나갔지만 이번 타파는 상륙하지는 않고 대마도 쪽으로 치우고 지나갑니다.
물러난 상태에서 이동을 하는 거죠. 대신 차바보다는 타파가 훨씬 강합니다. 2개의 태풍의 세력이 진로가 비슷하면서 타파가 강하다라는 상황이 있고요.
또 한 가지는 타파가 지나가는 오늘 자정을 전후해서 내일 새벽까지 이 영남 해안 지역 쪽으로 밀물 시간이 겹칩니다.
태풍이 지나가면 저기압이기 때문에 바다를 누르는 힘이 약해집니다. 따라서 해수위가 올라가거든요.
그렇게 되면 바다 쪽으로 향하는 강물의 수위가 바다 쪽으로 빠져나가지를 못합니다.
이 때문에 이 지역에 많은 비가 내리기만 한다면 내리고 밀물이 겹친 상태에서 태풍의 영향이 겹치면 범람할 가능성이 굉장히 높아집니다.
2016년 차바 때 태화광도 마찬가지 상황이었습니다. 태풍이 지나가고 밀물이 겹치면서 태화강 유역에 굉장히 많은 비가 내렸거든요, 밤사이입니다.
이번 타파 때도 비슷한 시기, 밀물이 겹치고 태풍이 지나가는 위치, 태풍의 강도가 좀 더 강하다는 점. 또 이미 울산 지역이 200mm 넘는 많은 비가 내렸거든요.
이 세 가지가 겹치기 때문에 해일 또는 태화강 범람, 이럴 가능성을 충분히 염두에 두고 대비를 하셔야 됩니다.
[앵커]
제가 김진두 기자와 함께 2주 전에 이 자리에서 태풍 링링 때 이야기를 나눠봤는데요. 이번에는 좀 다른 점이 비 얘기가 많이 나온다는 점이거든요.
이번 태풍은 비태풍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겠죠?
[기자]
서해로 올라가는 태풍이 대부분이 바람 태풍이었습니다. 링링이 대표적이었고요. 남쪽으로 통과하는, 남해상으로 통과하는 태풍은 바람보다는 비가 강했습니다.
이번 비도 제주 산간에 770mm의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졌습니다. 제주 내륙에도 300mm 정도의 비가 내렸고요.
남해안 쪽으로는 200mm의 이상의 많은 비가 내린 상태입니다. 앞으로는 동해안 쪽으로도 100~150mm 정도의 비가 더 내릴 겁니다.
바람은 비보다는 조금 약했습니다. 하지만 초속 42.2m의 돌풍이 관측이 됐고 마지막 위기가 남은 영남 해안 지역으로는 거기에 빌딩이 있습니다.
빌딩을 통과하면서 부산, 울산 지역 같은 경우에는 초속 30m 정도의 바람이 분다고 했을 때 도심 지역에서 빌딩 사이에서 30m의 바람이 불면 35~40m에 육박하는 굉장히 강한 바람으로 바뀔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부산, 울산, 경북 동해안지역 쪽까지는 태풍이 완전히 벗어나기 전까지는 비뿐만 아니라 바람피해도 대비를 해야 합니다.
[앵커]
바람도 주의해야 하는데요. 울산에는 특히 용오름 현상이 나타났다고 하더라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태풍이 올라오기 전이었습니다. 태풍이 밀어올린 강한 수증기가 있었고요. 우리나라 상층에 찬공기가 있습니다.
찬 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굉장히 격렬하게 맞부딪치면서 상승기류가 발달했고 그게 울산 태화강에서 보시는 것처럼 용오름 현상으로 관측이 됐습니다.
[앵커]
화면에 보이는 저런 회오리 모양의 용오름 현상이라는 말이죠.
[기자]
그렇습니다. 찬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겹치면 바람이 생기고 하강기류와 상승기류가 동시에 맞부딪히면서 저런 현상들이 나타납니다.
[앵커]
그렇다면 이번 태풍에서 가장 주의해야 할 지역과 또 대비법 한번 정리를 해 주시죠.
[기자]
부산이 최근 인접시간이 22시, 오늘 밤 10시입니다.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울산이 밤 10시, 그리고 포항 지역은 내일 새벽 자정이나 내일 새벽 1시 정도입니다.
이 지역이 가장 주의해야 될 지역입니다. 이 지역에서는 초속 30m 이상의 강풍 그리고 시간당 20~30mm의 폭우를 대비해야겠고요.
특히 해일 피해 그리고 강의 범람도 조심을 해야 됩니다. 다행인 것은 이 태풍이 당초 예상보다는 약간 동쪽으로 치우치면서 지나가는 형태가 돼서 강릉 지역은 완벽하게 위험 범위에서 조금 벗어났습니다.
따라서 강릉지역은 비는 많이 내리겠지만 강풍으로 인한 피해가 그렇게 심하게 나타날 것 같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한군데가 더 남았습니다. 내일 새벽에는 울릉도, 독도지역이 태풍의 직접 영향권에 듭니다.
따라서 앞으로 10시부터 내일 새벽 1, 2시까지는 경남 남해안과 경북 동해안지역 그리고 내일 새벽 2~3시 이후에는 울릉도, 독도에서 각별히 주의를 해야 됩니다.
[앵커]
오늘밤과 내일 새벽이 고비가 될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이번 태풍이 지나가고 난 다음에 또 다른 태풍이 북상할 가능성은 있습니까?
[기자]
북상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지난해에 나왔던 태풍 콩레이 그리고 2016년에 이번 태풍과 비슷한 진로로 갔던 태풍 차마 모두 10월 태풍이었습니다.
최근 들어서 10월달로 태풍이 오는 횟수가 좀 늘어나고 있고요. 또 올해 들어서는 벌써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태풍이 6개나 됩니다.
이번 태풍 타파까지 해서요. 이게 기상관측이래 역대 세 번째로 많은 태풍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태풍이었습니다.
올해 그만큼 많은 태풍들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는 이야기고 또 이 태풍들이 우리나라 근처까지 올라올 수 있는 기압 배치가 충분히 돼 있다라고 얘기입니다.
태풍의 길이 우리나라 쪽으로 열려 있는 게 10월 상순까지는 될 것 같습니다. 이때 태풍이 만들어진다면 10월 태풍이 또 올 가능성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각별히 앞으로의 기상 정보에 귀를 기울여야 됩니다.
[앵커]
앞으로도 계속해서 주의해야겠습니다. 지금까지 김진두 기자와 함께 자세한 태풍 상황과 전망까지 알아봤습니다. 오늘 말씀 잘 들었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