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대선 후보로 나서려면 무소속이 아닌 경우에는 먼저 당내 경선을 통과해야 하죠.
이 경선의 규칙을 정하는 과정부터 후보들은 치열한 기 싸움을 벌이는데요.
'룰의 전쟁'으로까지 불리는 경선 규칙 싸움에 담긴 전략을 김도원 기자가 분석합니다.
[기자]
더불어민주당은 토론회 횟수를 두고 후보들끼리 치열한 신경전을 벌였습니다.
처음에는 아홉 번으로 정했는데 안희정 충남지사와 이재명 성남시장이 너무 적다며 강하게 반발하면서 열 번으로 늘었습니다.
앞서가는 문재인 전 대표로선 굳이 부담을 떠안을 필요가 없는 반면, 하루라도 빨리 추격의 발판을 만들어야 하는 안 지사와 이 시장은 마음이 급합니다.
[김상희 / 더불어민주당 선관위 부위원장(지난달 24일) : 토론 기회가 적으면 문제가 있다는 의견을 전해왔는데, 탄핵 이전에 토론을 많이 하기에는 상당히 부담스럽다….]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와 손학규 의장은 여론조사와 현장투표 비율을 놓고 진통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안 전 대표는 여론조사 중심의 경선을 주장하고 있고 손 의장은 100% 현장투표를 요구했습니다.
지지율이 비교적 높은 안 전 대표와 현장 연설로 승부를 내기를 선호하는 손 의장의 이해가 엇갈린 겁니다.
[이용호 / 국민의당 경선룰 TF단장(지난 2일) : 국민경선을 도입하겠다고 한 건 처음에 세 후보 측이 합의한 겁니다. 다만 비율의 문제가 달랐을 뿐이지요.]
바른정당에서도 유승민 의원과 남경필 경기지사가 여론조사 비율을 두고 줄다리기했습니다.
지지율이 앞선 유 의원은 여론조사 50%, 뒤진 남 지사는 20%를 주장했는데, 결국 30%로 합의했습니다.
자유한국당은 탄핵에 반대하고 있기 때문에 본격적인 경선 규칙 논의는 아직 시작도 못하고 있습니다.
경선에서 지면 본선 무대를 밟지도 못하는 만큼 경선 규칙을 유리하게 만들기 위한 후보들의 노력은 필사적입니다.
하지만 대선 때마다 경선 규칙을 두고 진통을 겪는 건 우리나라의 정당 정치가 그만큼 허약하다는 것을 보여준다는 비판도 나옵니다.
YTN 김도원[dohwon@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