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무너진 감시 시스템...낙하산 사외이사도 책임

2016.06.15 오후 04:00
[앵커]
대우조선해양이 천문학적인 부실의 늪으로 빠지는 동안 내부의 감시 시스템은 전혀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산업은행 출신의 자금 관련 최고 책임자는 거수기 역할을 하는 데 그쳤고, 전문성이 없는 정치권 출신의 사외이사들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이대건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지난 2012년 5월부터 2년 6개월 동안 수주한 해양플랜트 계약은 모두 13건입니다.

이 가운데 1건만 빼고 모두 수주 심의위원회의 사전 심의를 거치지 않았습니다.

결국, 여기서 1조 3천억 원의 대규모 부실이 발생했습니다.

대우조선해양은 또 조선업과 전혀 관련 없는 자회사 17곳에 투자해 9천여억 원의 손실을 봤습니다.

이 과정에서 이사회에 엉터리로 보고하는 일까지 있었지만 자금 담당 부사장, 즉 CFO를 포함한 이사들은 모든 안건에 찬성했습니다.

대우조선해양의 전직 CFO인 김유훈·김갑중 부사장뿐만 아니라 김열중 현 부사장 모두 산업은행 출신입니다.

[김갑중 / 전 대우조선해양 CFO 부사장 : (그 회사의(대우조선해양) 돈 관리는 제대로 해라, 파악해서 문제가 있으면 보고해라, 이런 뜻으로 보낸 거 아닙니까?) 네,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예측할 용의도 없었던 거 아니에요?) 네, 그런 부족한 부분이, 역량이 부족했다고 생각합니다.]

지난 8일 검찰은 산업은행 출신 2명을 포함한 대우조선해양 부사장 3명의 자택을 압수수색하기도 했습니다.

부실을 묵인하거나 방치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겁니다.

[김성진 / 변호사, 참여연대 부소장 : 재무 이상분석 시스템을 거치지도 않았다는 것은 아예 내부 통제 시스템을 일부러 회피했다 이렇게 볼수 있는데 이건 의식적으로 자기 임무를 저버린 배임 행위로 볼 수 있습니다.]

감시의 한 축인 사외이사들도 거수기에 불과했습니다.

2008년 이후 사외이사는 20명인데, 이 가운데 40%는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 등 정치권에 관련된 인사들이었습니다.

조선 분야의 전문성이 없다 보니 애초부터 적절한 견제를 기대하기 어려웠습니다.

경영진에서부터 사외이사까지 내부 감시가 철저히 무너진 상황에서 대우조선해양의 부실은 17조 원으로 늘어났습니다.

YTN 이대건입니다.
HOT 연예 스포츠
지금 이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