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이 중국산 배터리를 사용하거나, 자국 이외 지역에서 생산한 전기차에 대해 보조금 혜택을 줄이기로 하면서 국내 업체들의 손익 계산이 분주해졌습니다.
중국 의존도가 높은 배터리 업체들은 새로운 공급망을 구축해야 하고, 완성차 업체도 미국 현지 생산을 늘려야 경쟁력을 가질 수 있게 됐습니다.
보도에 박홍구 기자입니다.
[기자]
지금도 미국에서는 전기차를 사면 7천500달러, 우리 돈, 약 천만 원을 세액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미국 의회가 새롭게 추진하는 법안은 이 세액공제의 혜택을 배터리 원산지에 따라 제한하는 내용입니다.
배터리의 핵심 광물이 미국이나 미국과 FTA를 맺은 나라에서 생산되고, 배터리 주요 부품은 북미에서 만들어야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법이 시행되면 중국산 배터리는 보조금 지급대상에서 제외되고 미국 완성차 업체들과 손잡은 우리 기업들은 기회를 잡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리튬, 코발트, 니켈 등 배터리 원료를 중국에서 정제해 들여와 국내에서 양극재와 음극재 등 핵심부품을 생산해 수출하는 구조가 바뀌어야 합니다.
캐나다, 호주, 칠레 등 미국과 FTA를 맺은 국가들로 공급망을 전환하고 북미 규제에 맞춰 제품을 생산하려면 배터리 생산 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습니다.
[김민지 /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 : 중국이 낮은 환경적 규제가 있었기 때문에 원자재 부분의 가공에서 독점적 지위를 가지고 있어서 중국에서 조달하는 것들이 많았는데….]
현대차와 기아는 미국 현지에서 전기차를 생산해야 보조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 아직 전기차 생산 시설이 없습니다.
하지만 기존 공장의 생산라인을 전환하고 2025년 완공될 전기차 공장까지 합하면 최대 140만 대까지 전기차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품 경쟁력만 갖춘다면 전기차도 현재의 내연기관 시장 점유율 정도는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항구 /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 : 현대차가 내연기관 시장에서 올 상반기에 10%가 넘는 점유율을 확보했기 때문에 거의 백만 대에 육박한 전기차 판매실적도 거둘 수 있다고 봅니다.]
미국이 반도체에 이어 전기차와 배터리까지 중국을 배제하는 법적 수단을 마련해 자국 중심의 공급망 구축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 우리 기업들은 중국의 눈치를 보면서 미국 내 공장 건설과 그에 따른 원가 상승의 부담까지 떠안고 있습니다.
정부는 미국과 중국의 의도가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해 대처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YTN 박홍구입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