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경제PICK] 배터리 제조사 공개, 사고방지 정답인가?

경제PICK 2024.08.13 오후 05:22
[앵커]
전기차 화재 위험 우려가 커지면서 요즘 배터리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는데요, 현대차와 기아에 이어 수입차 브랜드도 잇따라 제조사를 밝히고 있네요.

[기자]
현대차와 기아가 차례로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를 내놓은 이후에 수입차 브랜드들이 한동안 침묵을 해서 의혹이 더 커졌는데요.

대표적인 수입차 브랜드, BMW와 벤츠도 배터리 제조사를 밝혔습니다.

어젯밤 BMW코리아가 먼저 공개하니까, 오늘 벤츠코리아도 공개를 했는데요.

우선 BMW는 국내 유통하는 10종의 전기차 가운데 iX1와 iX3 두 종만 중국 CATL의 배터리를 썼고 나머지 8종은 모두 삼성SDI 배터리를 쓴다고 밝혔습니다.

벤츠는 전기차 16개 차종 가운데 EQE 350+ 등 5개 차종에 중국 파라시스 배터리가 탑재됐고, 마이바흐 EQS 680 SUV 등 8개 차종엔 중국 CATL 배터리를 썼습니다.

특히 지난 1일 인천 지하주차장에서 불이 난 차종인 EQE 시리즈는 EQE 300과 EQE 350 SUV만 제외하고 모두 파라시스 배터리가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오늘도 관계부처 차관회의를 열고 전기차 특별 무상점검과 함께, 모든 제작사가 전기차 배터리 정보를 자발적으로 공개하도록 권고하기로 했기 때문에, 다른 수입차 브랜드들도 잇따라 배터리 제조사를 공개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네, 지금까지 밝혀진 배터리 제조사들을 보면 이번에 화재가 난 파라시스 한 곳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우리가 잘 아는 제조사들이 많네요?

[기자]
네, 우리나라의 LG엔솔과 SK온, 그리고 삼성SDI, 중국 업체지만 시장 점유율 1위인 CATL 등 대체로 잘 알려진 브랜드가 주를 이뤘습니다.

비교적 생소한 브랜드가 중국의 파라시스인데, 마침 이 파라시스를 사용한 전기차에서 불이 나서 품질에 대한 의문이 더 커진 상황인데요,

물론 인지도가 높고 시장 점유율이 높은 회사의 배터리가 아무래도 더 믿음이 가는 건 사실이지만, 반드시 안전을 보장하는 건 아니라는 시각도 만만찮습니다.

그러니까 이른바 '배터리 실명제'를 하면 분명히 좋은 효과가 있는 건 맞는데, 이것이 전기차 화재 사고를 막아낼 수 있는 완전한 해법이 될 수는 없다는 건데요.

관련해서 전문가의 말을 잠깐 들어보시죠.

[김필수 /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 : 배터리 공개를 하는 것은 안 하는 것보다는 낫습니다. 왜냐하면, 소비자도 관심을 갖고 있고, 제조사들도 공개를 하다 보니까 전기차를 만들 때 들어가는 배터리에 대한 품질과 시스템 자체를 좀 더 체계적으로 만들 수 있는 계기가 된다는 측면에서 선순환 효과가 기대된다고 볼 수 있지만 지금 당장 생기는 화재, 폐쇄 공간에서의 공포를 없애는 데는 한정적이고 실질적인 역할에는 문제가 있다고 말씀드릴 수가 있죠.]

[앵커]
배터리 실명제가 간접적인 도움은 될 수 있지만 화재 우려로부터 해방할 수 있는 길은 아니라는 것인데, 좀 더 설명을 하신다면요?

[기자]
예, 일단 실명이 공개가 되면 소비자들의 선택권에 도움을 주는 건 사실이고, 제조사들도 좀 더 품질 좋은 배터리를 쓰고자 노력을 하기 때문에 선순환 효과가 있다는 거죠.

그러나 그 이상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건데요, 예를 들어 어느 제조사의 배터리를 쓴다고 해서 안전이 보장된다거나 또는 화재 위험이 더 커진다고 단정할 수 없다는 말인데요.

전기 배터리는 크게 니켈, 코발트, 망간을 원료로 하는 NCM 배터리와 리튬인산철을 사용하는 LFP 배터리로 나눠지는데,

NCM 배터리가 충전 효율이 좋아 주행거리가 길고 재활용 가치가 크다는 겁니다.

반면 LFP는 충전 효율 성능과 재활용 면에서 NCM보다 떨어져서 선호도가 낮은데, 대신 내부 음이온 구조상 열 안전성이 매우 높아서 화재의 위험은 낮다는 겁니다.

따라서 기본적인 성능과 효율을 택하느냐 안전성을 택하느냐의 문제는 있지만, 무조건 어느 회사 제품은 위험하다는 식의 분류법은 합리적이지 않다는 견해인데요, 이 부분도 잠시 들어보시죠.

[김필수 /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 : NCM 배터리는 중국산이든 우리나라 것이든 다 불이 날 수 있는 확률은 높아요. 그런 측면에서 본다면 지금 현재 중국산이다, 우리나라산이다. 중국산을 쓰면 위험하다, 이런 막연한 불안감은 상당히 문제점이 있고, 지금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전혀 도움이 안 돼요.]

[앵커]
네, 그렇군요. 그렇다면 화재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어떤 대안이 있나요?

[기자]
일전에 서울시가 발표를 했습니다만, 충전을 100%까지 하지 않고 약간의 여지를 남겨두는 게 필요하다는 겁니다.

여기에 대해서도 다른 견해가 있습니다만 일단 과충전을 막기 위해 자동차로 충전 수위를 90% 이하로 세팅하는 것을 권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기차 운전자들은 기본적으로 운행 효율을 위해 가능하면 충전을 많이 하려는 욕구가 있기 때문에, 이를 강제할 수는 없는 상황이기는 합니다.

이 밖에도 전기차 충전 장소를 지상으로 끌어올린다거나 캡슐을 씌워 화재 확산을 막는다는 것도 해법으로 거론되고 있지만, 이걸 실제로 이행하는 데는 여러 가지 부대적인 어려움이 있는 상황입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HOT 연예 스포츠
지금 이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