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현장24] 외래종에 습격당한 시화호 갈대 습지

2013.06.03 오후 01:35
[앵커멘트]

제모습을 찾아가던 시화호 생태 습지를 엉뚱한 외래종이 점령하고 있습니다.

바로 블루길과 청거북인데요.

토종어류의 알을 주로 먹는데다 번식력까지 강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입니다.

황보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커다란 날갯짓이 일품인 중대백로가 힘껏 날아오릅니다.

뿔논병아리 가족은 연신 자맥질을 하며 고기잡이 삼매경에 빠졌습니다.

한해 수십 만 마리의 새들이 찾을 만큼 생태계의 보고로 자리 잡은 시화호 갈대 습지.

하지만 물속 생태계는 엉망이 돼 가고 있습니다.

2시간 만에 건져낸 그물입니다.

외래어종인 블루길이 가득합니다.

20일 동안 이곳에서 잡은 블루길은 3천여 마리에 달합니다.

많은 날은 하루 3백 마리도 넘게 잡혔습니다.

어른 손가락만큼만 자라면 한 번에 알을 수만 개나 낳을 만큼 번식력이 강합니다.

메기나 가물치 같은 천적이 살고 있지만 블루길의 급속한 확산을 막기에는 역부족입니다.

물고기를 닥치는 대로 잡아먹는 붉은귀거북도 수십 마리나 확인됐습니다.

습지 곳곳에서 부화를 앞둔 알 무더기가 발견됐습니다.

[인터뷰:정지화, 서울대 산림과학부 연구원]
"(붉은귀거북이) 크게 되면 천적이 없기 때문에 생태계 교란을 일으키게 됩니다. 다 큰 경우 닥치는 대로 먹어치우기 때문에..."

멸종된 것으로 알려졌던 황소개구리도 나왔습니다.

올챙이인데도 크기가 어른 손 한 뼘은 족히 됩니다.

블루길은 알이 철새들의 부리나 발톱에 묻어 유입됐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붉은귀거북은 가정에서 애완용으로 길러지다 방사됐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하지만 제대로 된 조사가 이뤄진 적이 없습니다.

정확한 유입 경로와 개체 수는 알기 어렵습니다.

[인터뷰:최종인, 안산시 시화호 지킴이]
"일시적으로 행사성이 아니고 지속적으로 이런 것들을 시기별로 포획하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거든요. 알을 가졌을 때 포획한다고 그러면 이미 늦어 버린 거예요."

10년 넘게 공들여 제모습을 찾아가고 있는 시화호.

대책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무서운 기세로 불어나는 외래종에 생태계가 송두리째 파괴될 위기에 처했습니다.

YTN 황보연입니다.
HOT 연예 스포츠
지금 이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