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뉴스라이브] 축대 붕괴·정전 등 피해 잇따라...장맛비 언제까지?

2023.07.14 오전 10:22
■ 진행 : 호준석 앵커
■ 출연 : 김진두 YTN 기상·재난 기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라이브]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이번 주말 걱정이고요. 다음 주도 걱정입니다. 비가 얼마나, 어느 지역에 주로 내리는 것인지 김진두 기상재난 기자와 함께 대비 상황까지 들어보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최대 그러니까 전국적으로 200mm 비가 이틀 동안 내린 거군요?

[기자]
어제부터 오늘까지 강우량을 보니까 전반적으로 한 100~150mm, 평균적으로 내렸고요. 많은 곳이 지금 200mm를 넘고 있는데 특히 전라북도 충청도 지역에 비가 강하게 내리면서 특히 전북 지역의 강우량이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내린 비의 양을 그래픽으로 보면 쉽게 알 수가 있는데, 어느 지역에 내렸는지 또 어느 정도 비가 내렸는지 알 수 있습니다. 그래픽으로 표현을 해 주셨으면 좋겠는데요. 지금 색깔로 표시된 부분들이 어제부터 오늘까지 내린 비의 양입니다. 보라색, 자주색으로 갈수록 더 많은 비가 내린 곳이고요. 중간에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200mm가 넘는 비가 내린 지역입니다. 보시면 수도권이 역시 많은 비가 내렸고요. 그리고 전라북도 충청도 지역에도 굉장히 많은 비가 내렸습니다. 수도권 같은 경우는 어젯밤부터 오늘 아침까지 평균적으로 한 150mm 정도가 내렸고요. 노원구 같은 경우는 198mm, 강남은 141mm가 내렸습니다. 그런데 오늘 아침부터는 비가 잦아듦과 동시에 이 장마전선이 충청지방 쪽으로 이동을 하면서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충청지방의 강우량이 급속하게 늘어나면서 200mm 가까이 내렸고 특히 오늘 오전부터는 주로 전라북도 지역에 굉장히 강한 비가 집중되면서 이 지역은 현재 최고 강우량이 230mm까지 육박하고 있습니다.

[앵커]
저렇게 서해안 쪽에 비가 많이 내리는 특별한 이유가 있습니까?

[기자]
비구름이 서해상에서 접근을 하게 되면 해상을 지나다가 육상으로 올라가게 됩니다. 그러면 지형적인 차가 생기죠. 그러니까 약간 상승을 하는 그런 효과가 생깁니다. 그래서 원래 있던 비구름이 조금 더 발달하면서 육상에 닿자마자 더 강한 비구름을 쏟아붓고 점점 동쪽으로 올라가면서 조금씩 약해지는 그런 현상을 보여줍니다.

[앵커]
최대 200mm 가까이, 서울에도 그렇게 비가 내렸는데 지난해처럼 강남역이 순식간에 침수된다든지 아니면 반지하 주택들이 침수된다든지 이런 소식은 다행히도 지금 전해지지 않고 있는데 요인이 무엇입니까?

[기자]
사흘 전 상황과 비교를 해보죠. 사흘 전에 재난문자가 도입된 이후에 시범 운영되고 있습니다. 처음 재난문자가 수도권에 발령이 됐습니다. 서울 지역에 많이 발령이 됐었죠. 그런데 이번에는 밤사이 비가 많이 오기는 했지만 재난문자가 발령되지 않았습니다. 이유는 분산이 됐다는 거죠. 재난문자의 조건이 시간당 50mm의 비가 내리고, 동시에 3시간 강우량이 90mm에 달했을 때 내려지게 됩니다.

그러니까 그걸 극한 호우라는 말로 표현을 했고 피해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강우량이라고, 그래서 극한 호우로 표현을 한 건데 사흘 전에 소낙성으로 굉장히 강한 비가 내릴 때는 시간당 72mm가 기록됐는데 밤사이 내린 비는 비가 많이 오기는 했습니다마는 시간당 30mm, 40mm 정도가 피크로 기록을 했고 그게 꾸준히 내리면서 강우량이 200mm에 육박한 거죠. 그러니까 강한 비가 내리기는 했지만 분산되면서 재난문자 상황, 극한 호우 상황까지는 가지는 않았다,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앵커]
그러면 이번 주말이나 다음 주에는 그런 극한 호우, 갑자기 막 쏟아지는 그 가능성이 있습니까?

[기자]
이번 주말까지는, 내일까지죠. 내일과 모레까지 아마 비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데 충청 지역과 전라도 같은 경우에는 특히 주의를 해야 될 것 같습니다. 다시 한 번 그래픽을 보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지금 보시는 화면이 현재 상황입니다. 현재 상황에서의 비구름의 모습입니다.

[앵커]
지금 남쪽으로 좀 내려왔군요, 장마선선이.

[기자]
지금 충청 지역에 주로 분포를 하고 있죠. 장마전선이 지금 이렇게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충청과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영향을 주고 있는데 이것을 하루하루씩 넘겨보겠습니다. 어떻게 예측을 하고 있는지. 내일 같은 경우는 이렇게 됩니다. 여전히 충청도, 전라북도 쪽으로 굉장히 강한 비가 집중될 가능성이 높다는 거죠.

[앵커]
내일 수도권은 그러면 비가 안 오는 겁니까?

[기자]
수도권으로는 산발적으로 비가 내리는데 강우량을 30~100mm를 예보했습니다. 그러니까 비가 오기는 오겠으나 아주 강한 집중호우성 비가 내리지는 않겠다는 이야기고 오히려 반대로 충청과 전라북도 지역에는 300mm 예보가 나왔습니다. 내일까지입니다. 추가적으로 내리는 비가 300mm입니다. 그러니까 이 지역으로는 강한 비가 내릴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이 모델로 확인을 할 수가 있죠. 그러면 일요일은 어떻게 될까요? 일요일에는 이렇게 됩니다. 여전히 위치가 크게 변화가 없는 겁니다. 특히 이런 띠 형태로 생기는 것은 굉장히 주의해야 되는 게, 이 위쪽으로는 지금 찬 공기가 내려오고 있습니다. 그리고 남쪽으로는 뜨거운 공기가 부딪히고 있죠. 이런 상태에서 이렇게 띠 형태의 구름이 발생하는 건데 이렇게 띠 형태의 구름이 발생하면 굉장히 오랫동안 그 지역에 머물면서 계속 비를 쏟아붓는 형태를 보입니다. 사흘 전에 일본 규슈 남부에 쏟아졌던 일 400mm 강수량, 그때도 이런 패턴이 똑같이 형성이 됐던 겁니다. 그러니까 내일과 모레, 주말, 휴일까지는 충청과 전라북도, 전라남도까지 굉장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이 모델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앵커]
지금 빨간색 표시된 부분이 특히 충청과 전북의 경계 정도 되는 지역인 것 같은데요.

[기자]
그렇죠. 정확하게 이 위치를 특정할 수는 없습니다마는 어느 정도 위치에 걸릴 거라는 건 어느 정도 볼 수가 있죠. 현재 위치상으로 보면 충청에서 전라북도. 전라북도 지역에 약간 치우친 것으로 보이는데 이렇게 된다면 이 상황에서 주의해야 될 것은 이 주변에 다죠. 충청, 전라도, 특히 경상북도까지 위험권에 둬야 됩니다.

[앵커]
그리고 파란색은 비는 다 오는 곳이죠?

[기자]
비는 오는 곳인데 강도는 그것보다 약하다. 산발적으로 오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은 이 지역보다는, 이 동그라미를 친 지역보다는 좀 낮다,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죠.

[앵커]
일요일 상황이고요. 그다음 날도 있습니까?

[기자]
볼까요. 다음 주가 관심이 되는데. 이렇게 됩니다. 다음 주 월요일이고요.

[앵커]
다음 주도 심상치 않군요.

[기자]
화요일에는 잠깐 쉬어갑니다. 그런데 수요일 볼까요. 수요일에는 북한 지방 쪽으로도 올라갑니다.

[앵커]
저기가 임진강 쪽 아닙니까?

[기자]
그렇죠. 이게 휴전선 이북 쪽에 이렇게 강한 비가 집중이 되면 북한도 댐을 비워야 됩니다. 이 정도 많은 비가 내리면 댐으로 몰리기 때문에 댐 수위를 낮춰야 됩니다. 그러니까 만일 황강댐이 방류를 한다. 예고 없이 방류를 하겠죠. 그럴 경우에 우리가 주의 깊게 봐야 되는 시기가 다음 주 화요일이나 수요일. 큰비가 내리기 전에 방류를 하기 때문에 그 상황을 주의 깊게 봐야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아까 한 총리가 그래서 황강댐 방류 대비해야 된다. 예고라도 하면 좋은데 지난번에 예고하지 않았기 때문에.

[기자]
지금 보시면 지금 장마전선은 주로 충청 쪽에 머물고 있고 일요일까지 충청 지역이란 말이죠. 그리고 다음 주 월요일 다시 또 우리나라 내륙이고, 다음 주 수요일, 목요일쯤에 북한 지방 쪽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그때 상황을 특별히 주의 깊게 봐야 된다는 겁니다.

[앵커]
본 김에 목요일, 금요일까지 쭉 보시죠.

[기자]
이게 지금 수요일까지 상황이었고요. 목요일은 장마전선이 남쪽으로 내려가버립니다.

[앵커]
완전히 가는 겁니까?

[기자]
이렇게 되면 장마가 끝났다라고 말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장마가 끝나려면 장마전선이 이렇게 가야 됩니다. 그런데 다시 남쪽으로 내려왔다는 것은 장마전선을 밀어올려서 장마 끝, 무더위 시작이라고 부르짖어야 할 북태평양고기압 세력이 약하다는 이야기입니다.

여전히 이쪽에 장마전선이 형성된다는 것은 그래서 다음을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거죠. 왜냐하면 그다음 날을 볼까요? 계속 이 부분에 머물러 있습니다.

[앵커]
이게 또 올라올 수 있다는 얘기군요?

[기자]
그래서 또 올라오는 것을 예보를 하고 있죠.

[앵커]
이게 토요일쯤 되나요?

[기자]
다음 주 일요일 정도입니다. 다음 주 일요일까지 가면 예측력은 상당히 떨어집니다. 하지만 이것으로 뭘 알 수 있냐면 다음 주가 돼도 장마가 끝났다라고 이야기할 수 있을까라는 이야기입니다. 그러니까 제주도 같은 경우는 장마가 끝났다라고 볼 수 있지만 내륙의 장마가 정말 그 시기면 끝나야 되는데 끝났다라고 말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상황이 된다는 거죠.

[앵커]
지금 저기 빨간색은 서울 있는 쪽이거든요.

[기자]
그렇습니다. 이 지역이 마찬가지죠.

[앵커]
그때까지도 긴장의 끈을 놔서는 안 되는 상황.

[기자]
예측력은 상당히 떨어지지만 움직임은 우리가 이 상황을 보고 예측을 할 수 있다라는 이야기죠.

[앵커]
걱정이 되는 것은 이렇게 장기간 동안 비가 많이 쏟아지면 점점 지반은 약해질 것이고 아까 저희가 산사태 그 무서운 모습도 봤는데 아까 서울에도 그 거대한 돌축대가 무너지는 걸 보니까 이게 정말 심상치 않구나 싶더라고요.

[기자]
오늘 밤사이에 무너졌던 도로 축대가 앞으로 서울 지역도 지반이 얼마나 위험한 상황이라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는 상황입니다. 그러니까 그동안 계속해서 서울 지역에도 장마 이후에 200~300mm가 넘는 비가 내렸고요. 또 밤사이 150mm가 내렸기 때문에 평균 강수량이 400mm를 넘어선다고 봐야 되겠죠. 그런 상황이라면 지반이 머금을 수 있는 물의 함량, 그러니까 수분의 함량이 이미 넘어선 상태입니다. 그러니까 지반 자체가 암반 지역이 아니고 뭔가 축대를 쌓거나 옹벽을 쌓았거나 또는 약간 지질학적으로 불안정한 지역이라면 시간당 30mm, 시간당 50mm의 비가 내린다면 언제든 굉장히 위험하게 붕괴될 수 있는 상황에 임박해 있다고 보면 됩니다. 다행히 오늘은 잠깐 비가 쉬어가고요.
내일까지도 조금 쉬어갈 것 같습니다. 그 사이에, 오늘과 내일 사이에 정말 위험한 곳은 없는지, 또 보강할 곳은 없는지 다시 한 번 검토를 해야 되고 공무원들이 주의 깊게 집중적으로 이것을 점검을 해야 합니다.

[앵커]
여기가 지금 서울 연희동입니다. 아까 저희 현장 취재기자가 전해드렸던 그 현장인데요. 서울 연희동에 저렇게 저런 돌 축대가 무너질 거라고 상상이나 했겠습니까, 저런 축대가.

[기자]
안쪽이 조금 약한 토양 지층인 것 같고요. 그 옆에 돌로 쌓아놓은 형태이기 때문에 상당히 빗물이 많이 들어가면 그 자체가 그 안에서 잡아주는 게 없기 때문에 굉장히 위험한 상황은 맞습니다.

[앵커]
산사태 가능성도 크지 않습니까? 지방에는 특히 산 밑에 주택들이 많고 거기 사시는 주민들 노약자들도 많고 한데요.
산사태를 어떻게 대비해야 되겠습니까?

[기자]
앞서 사진에서 봤었죠. 영상에서 봤는데 굉장히 위험한 상황입니다. 산사태는 보고 피하는 건 거의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산사태 예측 정보, 산사태 특보를 봐야 됩니다. 잠깐 화면 전환을 해 주실까요. 인터넷상에서 산사태 정보 시스템이라고 치면 이 화면이 나옵니다.

[앵커]
산사태 정보 시스템.

[기자]
네, 산사태 위기 경보가 어느 단계인지, 그리고 중요한 게 바로 이 부분입니다. 이 부분에서 어느 지역에 파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산사태 주의보, 붉은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산사태 경보입니다. 그러니까 지금 전체적으로, 전국적으로 산사태 위기경보가 4단계 중에 가장 높은 단계인 심각 단계까지 올라가 있고요. 또 이렇게 내린 상태에서 비 상황을 더해서 어느 지역에 산사태가 날 가능성이 높다라는 것을 직접 발표를 해 줍니다. 산사태 주의보 구역도 위험하지만 빨간색으로 표시된 산사태 경보 구역, 지금 전라북도 지역에 집중되어 있거든요. 이 지역 같은 경우는 산사태 경보 문자를 받으시면 주민들은 즉시 대피하셔야 됩니다.

[앵커]
특히 지자체에서 취약한 곳이 없는지 잘 살펴주셔야 되겠고요. 조금이라도 전조증상이 있으면 과할 정도로 대비하라는 게 기본 철칙이지 않습니까? 철저하게 대비해야 되겠습니다. 아까 보니까 강남 쪽에 이번에도 침수까지는 아니지만 도로가 많이 물에 잠기고 차들이 가도 되나 안 되나 싶을 정도의 그런 상황들이 많이 제보영상을 보여드렸는데 강남 쪽은 이번에 괜찮습니까?

[기자]
아닙니다. 언제든 또 반복이 될 겁니다. 왜냐하면 강남은 주변이 낮은 저지대고 움푹 파인 지형이어서 주변에서 계속해서 물이 유입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배수용량이 유입 용량을 못 따라간다는 거죠. 그리고 또 기후변화가 굉장히 급속하게 일어나면서 이게 원래 배수 용량을 갖출 때 지난 30년 평균, 100년 평균을 따져봅니다. 비가 얼마나 왔고 그때 어느 정도의 우수가 모이는지를 평균을 내는데 최근 들어서는 그 100년 평균을 벗어나는 현상들이 자주 일어나고 있습니다. 시간당 100mm의 강우량을 서울에서는 예상을 못 했습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지난해에도 나타났고 지금도 시간당 72mm가 왔거든요. 이런 상황이면 언제든 이런 현상은 반복이 됩니다. 왜냐하면 배수용량을 아직 높이지 못했기 때문에.

[앵커]
지금 보여드리는 영상들이 바로 어제 상황입니다. 서울 논현역과 또 강남 일대에 물이 차오르는 모습. 저기 배수구가 있습니다마는 배수구가 이걸 받아들이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거죠.

[기자]
우수로 모아서 그걸 빨리 강 쪽으로 빼줘야 되는데 그 용량이 저렇게 들어오는 우수를 다 처리하지 못하니까 당연히 막히면서 계속해서 수위가 높아지는 그런 현상이 반복될 수밖에 없는 거죠.

[앵커]
물막이판 설치가 중요하다 그래서 많이 물막이판이 설치됐다고 하는데 어느 정도 효과가 있습니까?

[기자]
가장 중요한 게 지난해 상황에서도 물막이판을 했었던 곳은 다행히 침수를 막을 수 있었습니다. 무릎 정도 높이에 물막이판을 하면 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가 있거든요. 그게 안 되면 모래주머니를 높이 쌓는 것도 어느 정도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당장 배수용량이 빗물을 처리할 수 있는 정도의 수준까지 도달하지 못한다고 하면 모래주머니나 특히 차수막 같은 걸 최대한 준비를 해서 스스로 그런 부분들을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그런 시설을 갖추는 게 중요합니다.

[앵커]
차수판 설치가 안 됐다면 조금 전 보신 것처럼 이렇게 모래주머니라도 설치를 하는 것이 좋겠다. 꼭 얘기해야 되는데, 시청자 여러분들한테. 말씀하시고 싶은 거 있으면 마지막으로 해 주시죠.

[기자]
우선은 오늘, 내일이 서울 지역, 수도권 지역에서는 골든타임입니다. 비 피해가 추가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것은 미리 점검하고 예비할 수 있는 굉장히 중요한 시기가 되겠고요. 반면 충청과 전라북도 지역은 오늘 낮까지 비가 굉장히 강하게 내리고 또 오늘 밤 사이도 한 차례 정도가 더 내립니다. 충청과 전라북도 지역은 이전에도 많이 비 피해가 났던 곳이고요. 계속해서 많은 비가 내일까지 300mm 예보가 나왔고 일요일까지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특히 충청. 충청남도와 전라북도 지역, 특히 경상북도 북부 지역, 이 세 곳은 각별히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김진두 YTN 기상재난 기자였습니다. 고맙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HOT 연예 스포츠
지금 이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