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직장인의 재택근무 일수가 세계 최저 수준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4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스탠퍼드대, 멕시코 기술자치대(ITAM), 독일 Ifo 연구소가 지난 4~5월 34개국 직장인 4만 2천여 명을 대상으로 재택근무 현황을 조사한 결과 한국 직장인의 월평균 재택근무 일수는 1.6일로 집계됐다. 같은 아시아 국가인 일본은 2일, 대만은 2.8일, 중국은 3.2일을 기록했다.
반면 미국(5.6일)과 영국(6일), 캐나다(6.8일), 호주(5.2일) 등 영어권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재택근무 일수가 많았다. 아시아 국가의 2배가 넘는 수준이다. 유럽의 경우 독일과 핀란드, 네덜란드가 4일로 재택일수가 가장 많았다.
연구진은 나라별로 다른 주거 환경이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미국·캐나다의 직장인들은 교외에 있는 큰 집에 거주하기 때문에 재택근무 환경을 갖추기 유리하지만, 인구밀도가 높은 아시아 국가에서는 그렇지 않아 사무실 출근을 선택하는 비율이 높아졌다는 것이다.
코로나19 봉쇄 기간 역시 영향을 미쳤다고 봤다. 미국 등은 장기간에 걸쳐 봉쇄가 반복되면서 이 기간 동안 대형 모니터와 좋은 의자를 구입하는 등 재택근무를 위한 투자가 이뤄졌다. 그러나 일부 아시아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짧은 봉쇄 기간 안에 초기 유행을 통제하는 데 성공하면서 재택근무 문화가 깊게 자리 잡지 못했다는 설명이다.
뉴욕타임스는 한국의 SK하이닉스는 재택근무를 단 한 번도 시행해 본 적이 없고, 회사가 재택근무 자체에 대해 부정적이었다고 밝혔다. 또한 일본은 아직도 팩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누군가는 항상 사무실에 있어야 하며, 도쿄의 일부 관리자들은 사무실에 출근해 같은 공간에 있는 것이 직원들을 지켜보는 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는 내용도 전했다.
문화적 차이도 변수도 꼽혔다. 미국 근로자들은 상사에게 근무 환경과 관련해 요구하는 것을 어렵지 않게 여기는 반면 아시아 국가는 분위기가 다르다고 연구진은 짚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