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577년 백제왕이 아들 명복 빌며 만든 '사리보관용기' 국보 된다

2019.04.01 오후 12:30
백제의 왕이 죽은 아들의 명복을 빌기 위해 만든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사리 공예품,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舍利器)'가 국보가 됩니다.



문화재청은 보물 1767호인 이 사리기를 국보로 승격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사리기란 사리(불교에서 참된 수행의 결과로 생기는 구슬 모양 유골)를 보관하는 용기를 뜻합니다.



이 용기는 2007년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가 백제 왕실의 사찰이었던 왕흥사터에서 발견했습니다. 발견 당시 목탑지에 있는 사리공(舍利孔), 즉 사리 용기를 넣기 위한 구멍 안에 진흙에 잠겨있었는데요. 이후 보존 처리를 통해 지금의 모습을 찾았습니다.



사리기 겉면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새겨져 있습니다.

"丁酉年二月 / 十五日百濟 / 王昌爲亡王 / 子立刹本舍 / 利二枚葬時 / 神化爲三"

해석해보면 "정유년(577년) 2월 15일에 백제왕 창이 죽은 왕자를 위하여 찰(절)을 세우는데 2매(二枚)였던 사리가 장례지낼 때 신(神)의 조화로 3매(三枚)가 됨"이란 뜻입니다.



'창'은 백제 27대 왕인 위덕왕의 이름입니다. 이 글을 통해 위덕왕이 577년에 죽은 아들의 명복을 빌기 위해 사리 공예품을 만들도록 한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더함도 덜함도 없는 단아한 형태의 이 사리기는 안정적이면서도 세련된 미를 보여주고 있는데요. 표면을 깎고 다듬는 기법과 구조물을 만들어 붙인 기법 등에서 백제 장인의 숙련된 솜씨 또한 살펴볼 수 있습니다.



특히 사리기를 위에서 내려다보면, 손잡이(꼭지) 부분과 그 주변이 마치 '연꽃'처럼 보입니다. 연꽃 문양은 이 사리기보다 50여 년 앞서 만들어진 '무령왕릉 출토 은제탁잔'에서도 나타나는데요. 백제의 왕실 문화와 불교 문화에서 연꽃 문양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던 사실을 다시금 알 수 있습니다.



(▲ 무령왕릉 출토 은제탁잔, 사진제공 : 국립공주박물관)

문화재청은 6세기 사리공예품의 대표작인 이 유물이 백제 왕실 공예품이라는 역사적, 예술적 가치뿐 아니라 가장 오래됐다는 희소성도 가지고 있는 만큼 국보로 지정하기에 충분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지은 [jelee@ytn.co.kr]

(사진 제공 : 문화재청)



HOT 연예 스포츠
지금 이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