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 이광연 앵커, 오동건 앵커
■ 출연 : 김진두 / 문화생활과학부 기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이번에는 취재기자와 함께 자세한 태풍 상황과 전망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문화생활과학부 김진두 기자 나와 있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기자]
안녕하세요.
[앵커]
김 기자께서도 앞서 현장 연결할 때 보셨는데 함께 지금 보면 영향권에 들어온 지역도 있고 들어갈 지역도 있습니다. 일단 제주도 같은 경우 영향권에 들어간 건가요?
[기자]
태풍은 위치에 따라서 굉장히 상황이 확 변합니다. 제주도에 오늘 저녁 7시 40분, 그러니까 2시간 반 전에 이미 상륙을 했습니다. 그래서 제주도는 태풍의 영향권에서 빠르게 벗어나고 있다고 보시면 되겠고요. 지금 제주도를 벗어나서 남해상에서 매 시간 40~50km 정도의 굉장히 빠른 속도로 이동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이동하는 축이 약간 더 경남 쪽으로 치우쳤습니다. 그러니까 이전에 중계기자들이 대부분 여수 부근에 상륙할 것으로 예상했다면 여수보다는 경남 해안 쪽으로 조금 더 치우쳐서 상륙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고 그 시각도 현재 자정쯤으로 기상청은 보고 있는데 세력이 굉장히 약해졌습니다. 따라서 내륙에 상륙한 뒤에는 급속도로 세력이 약화되면서 내륙을 지나가는 도중에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면서 태풍으로써의 일생을 마감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앵커]
보통 바다에서 수증기를 모으면서 힘을 키우는데 내륙에 지금 북상하면서 힘을 잃어버렸다, 그러면서 경로가 꺾였다 이렇게 볼 수 있을까요?
[기자]
해상을 지나가면서는 따뜻한 해상으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기 때문에 태풍이 발달하거나 세력이 크게 약화되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이미 제주도에 상륙했거든요. 제주도를 지나면서 이미 약해졌습니다. 그리고 굉장히 약해진 상태에서 해상을 통과한 뒤에 내륙에 상륙한다면, 또 속도가 시속 40~50km 정도면 굉장히 빠르거든요. 태풍은 세력이 약화되면 빨라집니다. 태풍은 세력이 강해지면 느려집니다. 따라서 지금 이렇게 속도가 굉장히 빠르다는 것은 태풍의 세력이 굉장히 약화됐다는 것이고 내륙에 상륙하면 급속도로 태풍으로서의 그런 강도를 잃어버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앵커]
매번, 매년 듣는 태풍에 대한 설명인데도 늘 새롭네요. 사실 빠른 태풍은 세력이 약화하는 것이라는 설명 들었고. 그리고 우리가 태풍을 구분할 때 비태풍이냐, 바람태풍이냐를 구분하는데 앞서 현장들을 보면 대부분 빗줄기가 굵게 내리고 있거든요. 역시나 비태풍인가요?
[기자]
그렇습니다. 이 태풍 같은 경우는 세력이 그렇게 강하지 않은 상태에서 북상했습니다. 기상청은 애초 이 태풍이 제주도 부근에서 열대저기압으로 바뀌면서 태풍으로의 일생을 마감할 것으로 예상이 됐는데 해수온도가 생각보다 높았어요. 그래서 태풍으로 위력이 약화한 상태로 제주도까지 올라온 상태. 그리고 내륙에도 태풍으로 상륙할 것으로 예상됐었는데 태풍의 세력이 약하다 보니까 바람이 제주 산간지역에 초속 30m가 넘는 바람이 불기는 했습니다. 하지만 바람이 그렇게 강하지는 않았고요. 대신 태풍의 중심 부분에도 굉장히 강한 비가 내려야 되는데 태풍 중심 부근의 비도 그렇게 강하지 않았습니다. 문제는 태풍 전면에 많은 수증기가 내륙에 있던 찬공기와 부딪치면서 비가 많이 내리고 있다는 이야기죠. 그러니까 태풍이 북상하기 전부터 내륙 지역에 많은 비가 내렸고 또 태풍이 상륙한 이후에도 내륙에는 계속 강한 비가 내릴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보시면 되겠습니다.
[앵커]
이 태풍의 특성도 지금 말씀을 해 주셨는데요. 특보도 계속 확대하고 있는 이유는 뭡니까? 이게 조금 약해졌음에도 불구하고요.
[기자]
태풍은 약해져도 태풍입니다. 아직 태풍으로서의 일생을 마감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어떤 저기압보다도 강한 것이 태풍입니다. 따라서 태풍으로의 위력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기 때문에 여전히 태풍이 지나가는 상황에서는 태풍특보가 내려지게 되는 것이고요. 아까 말씀드렸듯이 태풍의 진행 방향이 약간 경남 쪽으로 치우쳤다고 말씀드렸는데 현재는 제주도 그리고 남해상, 전남, 경남 남해안 쪽으로 태풍주의보가 내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전남 내륙에 태풍예비특보는 해제가 되어 버렸고요. 경남 내륙에만 태풍예비특보가 남아있습니다. 그러니까 태풍이 상륙한 이후에도 제주도, 경남지방을 중심으로 태풍특보가 남아 있다가 태풍이 소멸되며 그게 강풍주의보나 호우주의보 형태로 바뀔 가능성이 있습니다.
[앵커]
그럼 지금 언급하신 지역들은 게릴라호우라든지 비피해에 대비를 해야 되겠네요.
[기자]
바람피해는 그렇게 셀 것 같지 않습니다. 아주 강할 것 같지는 않습니다마는 비 피해는 대비를 해야 됩니다. 특히 남해안 지역 같은 경우에는 지난 주말에 가을장마의 영향으로 이미 200mm 가까운 비가 내렸거든요. 이때 또다시 태풍으로 인해서 100mm 이상의 비가 내린다면 사흘 만에 300mm 넘는 비가 내린 겁니다. 그러면 그만큼 지반이 약해질 가능성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산사태나 축대 붕괴 등 이런 사고가 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주의는, 경계는 계속해서 기울여야 됩니다.
[앵커]
그리고 오늘 태풍 관련 특보를 진행하면서 보니까 아까도 자막에 나갔습니다마는 내일 서해에서 강한 저기압이 유입된다는 대목이 있습니다. 그래서 또 전국 비바람이 예상된다, 이 대목은 어떻게 지켜보고 계세요?
[기자]
태풍이 다행히 세력이 약화했습니다. 그러니까 약해진 태풍이지만 여전히 경계는... 그런데 저는 태풍보다는 내일 새벽에 우리나라로 접근할 것으로 예상되는 저기압이 더 무섭습니다. 이 저기압이 우리나라 쪽 내륙으로 들어오면서 태풍은 죽더라도 태풍이 몰고온 수증기는 남아있습니다. 이 수증기가 이 저기압에 공급이 되고 또 우리나라 상층으로 찬공기가 내려와 있거든요. 그렇게 되면 저기압이 굉장히 발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슈퍼컴이 예측한 바를 보면 지금 우리나라 제주도에서 남해안으로 상륙할 것으로 보이는데 12호 태풍 오마이스보다 더 강하게 발달할 가능성이 높거든요. 따라서 오늘 자정까지는 태풍에 대한 경계 그리고 내일 새벽부터는 또다시 서쪽에서부터 들어올 가능성이 있는 저기압 그리고 가을장마의 굉장히 강력한 발달을 경계해야 됩니다.
[앵커]
지금 침수 피해는 계속해서 준비를 해야 되는 상황인 거네요.
[기자]
침수뿐만이 아니라 지금 산사태나 이런 부분들이 굉장히 우려가 되고요. 오늘 자정부터 내일 새벽까지는 주로 남해안, 남부지방이라면 내일 낮 동안 부터 내일 밤까지는 중부지방도 이제 굉장히 위험한 상황이 닥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앵커]
가을장마라고 저희가 표현을 하고 있지 않습니까? 가을장마는 더 주의해야 되는 부분이 있을까요?
[기자]
가을장마는 어디에 어느 쪽으로 어떻게 걸릴지 모릅니다. 그런데 한 번 걸리면 엄청난 비를 쏟아붓습니다. 시간당 50mm라면 눈앞이 보이지 않을 정도고 시간당 50mm의 비가 3시간 정도 계속 내리면 비 피해가 발생합니다. 그런데 기상청의 예보는 50mm가 아닙니다. 시간당 70mm 정도의 비를 예보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가을장마의 정체전선이 어느 지역에 걸릴 건지 또 걸리는 위치가 굉장히 폭이 좁습니다. 그런데 폭이 좁은 만큼 굉장히 강력하게 발달하거든요. 따라서 어느 지역에 걸릴지 모른다는 게 굉장히 무섭고.
[앵커]
내일 출근길 괜찮을까요?
[기자]
저도 그게 걱정입니다. 내일 새벽 정도에 우리나라 서해상으로 진입을 해서 이 태풍 수증기하고 겹치면 내일 아침 출근길부터 해서 내일 낮 동안이 굉장히 비가 강한 시기가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굉장히 주의 깊게 봐야 됩니다.
[앵커]
일단 가까운 시간 안에 오늘과 내일 대비를 잘해야 되겠고. 이번에는 가을장마 거치고 또 태풍 오마이스까지 북상하면서 오늘이 마침 처서이기도 합니다. 날씨가 가을로 가는구나 싶은 분도 계실 텐데 태풍예보 포함해서 가까운 시간 안의 예보 부탁드립니다.
[기자]
처서라서 더위가 물러난다라는 이야기인데요. 아침저녁으로는 확실히 물러났습니다. 굉장히 찬바람까지 돌고 있는데 낮 동안의 더위는 여전히 남아있고 낮 동안의 더위가 남아 있다라는 것은 북태평양고기압이 낮 동안 아직 세력을 유지하고 있다라는 이야기고요. 그 때문에 북태평양고기압의 가장자리를 타고 이번 12호 태풍이 북상한 겁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 고기압이 일본 쪽으로 처져야지만 태풍이 우리나라에 올 가능성이 낮아집니다. 그런데 9월 상순까지는 북태평양고기압 세력이 우리나라까지 확장해서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라는 게 기상청의 최근 분석입니다. 그러면 방금 말씀하셨듯이 태풍의 길이 한반도로 열리게 되는 거죠. 따라서 9월 상순까지는 태풍이 어디서든 발생한다면 먼 남해상에서 발생한다면 우리나라로 올라올 가능성이 높다. 기상전문가들 같은 경우에는 9월 상순까지 만일 발생한다면 1개에서 많게는 2개 정도의 태풍이 우리나라 근처까지 올라올 수 있다, 이렇게 예상하는 분도 있습니다.
[앵커]
이게 해수면 온도가 높아져서 그런 건가요?
[기자]
그렇습니다. 해수면 온도가 높아졌기 때문에 굉장히 먼 데서 오랫동안 걸려서 우리나라로 태풍이 보통은 왔었는데 이번 태풍 같은 경우에는 지난 금요일 밤에 태풍으로 발달했거든요. 사흘 만에 우리나라에 영향을 줬습니다. 특히 필리핀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는 태풍들도 많아졌고요. 대만 부근에서 발생한 태풍이 우리나라로 올라온 경우도 있습니다. 대만이나 오키나와 부근에서 발생한다면 하루에서 이틀, 필리핀 부근이면 사흘이면 우리나라에 영향을 줍니다. 태풍이 발생하면 9월 상순까지는 바로 우리나라로 올라올 가능성이 높다라는 점, 굉장히 염두에 두고 대비를 해야 합니다.
[앵커]
오늘 김 기자 설명 여러 가지 염두에 둬야겠습니다마는 가장 인상적인 대목은 태풍은 약해져도 태풍이라는 점 대비하고 게릴라성 호우 등에 대비를 해야 될 것 같습니다. 문화생활과학부 김진두 기자였습니다. 오늘 고맙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