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기업 회생을 위해 파견된 금융기관 직원들이 업체에서 받은 법인카드를 개인유흥비와 골프장 출입에 흥청망청 사용했습니다.
그 사이에 부실 회사 경영진은 수천억 원의 자금을 계열사에 부당지원해 손실을 키웠습니다.
박종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경남 사천과 통영 등에서 조선소 등을 운영하는 SPP조선입니다.
지난 2010년 5월 우리은행 등 11개 채권금융기관은 SPP조선과 경영정상화를 위해 기존 채권의 만기를 유예해주는 자율협약을 체결했습니다.
기존 여신 규모는 2조 3천억 원대, 여기에 지난 2년 동안 모두 6천 5백억 원의 추가 자금이 지원됐습니다.
문제는 이 추가 자금이 구매약정서 등을 허위로 작성하는 방법으로 계열사에 3,200억 원을 부당 지원하면서 손실이 커진 데 따른 것이라는 점.
특히 이 과정에서 11개 금융기관채권단은 부실경영을 견제하려 자금관리단을 파견했는데 제 역할을 못 했다는 지적입니다.
검찰은 자금관리단원 6명이 SPP조선의 법인 카드를 받아 골프장과 주점 등에서 사용한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작게는 7백만 원, 많게는 3천 6백만 원 넘게 사적인 용도로 썼다는 겁니다.
감시 역할을 제대로 하지 않은 사이 부실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었다는 게 검찰의 판단입니다.
[인터뷰:홍기채, 창원지방검찰청 특수부장]
"수천만 원에 이르는 향응이나 금품을 제공 받으면서 이러한 업무를 소홀히 하는 것이 부실을 키우는 결과가 된 것으로 판단합니다."
검찰은 자금관리단원 6명에게 수재와 뇌물수수 혐의 등을 적용해 1명을 구속기소하고 5명을 불구속 기소했습니다.
검찰은 이와 함께 SPP그룹 계열사에 1,500억 원을 부당 대출해 준 혐의로 우리은행과 광주은행 전·현직 임직원 5명도 불구속 기소했습니다.
이들은 대출 과정에서 부정적 자료를 삭제한 허위 자료를 여신협의회에 제출하는 등의 방법으로 대출해 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공적자금이 투입된 금융기관이 오히려 부실을 키웠다는 지적입니다.
YTN 박종혁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