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무너지는 지역경제...길어지는 실업의 고통·해법은 있는가?

2018.11.11 오전 09:21
[앵커]
골치 아픈 지표를 꺼내지 않아도 우리 모두 경제가 참 많이 어렵다고 느낍니다.

경제에 활력이 떨어졌고 희망도 잘 보이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지역 경제는 그 심각성이 더 뚜렷한데요, 오늘은 장기 불황에 시달리는 거제를 살펴보고 어떤 해법을 찾아야 할지 고민해봤습니다.

오태인, 이윤재 기자가 차례로 보도합니다.

[기자]
고용센터가 실업급여를 신청하려는 사람들로 붐빕니다.

실업자 대부분은 조선소 근로자들.

조선 경기가 바닥을 치면서 일감이 줄어 직장을 잃었고 결국, 실업급여까지 신청하게 된 겁니다.

[○ ○ ○ / 조선소 퇴직자 : 저는 30년 동안 직영에 있다가 2015년도에 희망퇴직을 해서 다시 (하청 업체에) 들어와서 3년 근무했다가….]

거제 지역에서 올해 9월까지 지급된 실업급여는 4만 천명에 538억 원.

조선 산업 위기가 오기 전인 지난 2015년 만2천 명, 127억 원보다 4배 넘게 늘었습니다.

올해 상반기 실업률이 7%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기 때문입니다.

거제 경기를 떠받치는 조선소 근로자는 호황기 때 9만 명에서 5만 명까지 줄었습니다.

[윤철민 / 거제 고용센터장 : 거제 지역은 조선업의 의존도가 높은 상황인데 2016년 들어서 실업자들이 계속 늘어나다 보니까 실업급여 지급 역시 계속 늘어났습니다.]

이 때문에 조선소 부근 상업지역은 엄청난 타격을 입었습니다.

점심시간이지만 거리는 썰렁하기만 합니다.

곳곳에 가게를 내놓는다는 안내문이 붙었습니다.

실업자들이 거제를 떠나면서 '원룸촌에 방이 없어 못 구한다'던 말도 옛이야기가 됐습니다.

[이정우 / 공인중개사 : 몇 년 전보다 월세가 50~60% 정도 내려갔기 때문에 수치로 봤을 때 50% 밑으로 임대 수익이 떨어졌다고….]

선박 수주 물량이 늘고 있는 건 다행스러운 일입니다.

올해 국내 조선사들이 수주한 물량은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의 절반 가까이 됩니다.

특히, 지난 5월부터 줄곧 1위를 하고 있다는 소식에 3년 만에 경기 회복 기대감이 돌고 있습니다.

하지만 수주량 증가가 현장에서 고용증가로 이어지기까지 1년에서 2년가량 걸립니다.

그때까지 경남 거제의 체감경기는 바닥을 헤맬 것으로 보입니다.

YTN 오태인[otaein@ytn.co.kr]입니다.

[기자]
기업이 어려워지면 실업자가 늘고 자영업자가 타격을 받습니다.

곧 주변 상권이 위축되고 지역 경제 붕괴로 이어지는 악순환은 공식처럼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 ○ ○ / 자영업자 : 상주하는 사람이 자체가 없으니까…. 조선소가 돌아가면 인구가 많이 늘잖아요. 그러면 식당도 활성화되고….]

규모가 큰 한, 두 개 기업에 지역 경제 전체가 묶여 있다 보니 불황을 피할 도리가 없습니다.

[최영규 / 군산산업단지 경영자협의회 총무국장 : (대기업) 한군데만 올인하고 사업을 하다 보니까 다른 데 눈 돌릴 겨를도 없고 오직 거기에 매달렸는데….]

이 사슬을 시급히 풀어야만 지역 경제가 안정적으로 굴러갈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입니다.

이를 위해서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입니다.

[나중규 / 대구경북연구원 미래전략실장 : 단기적인 해결책은 없는 것 같습니다. 장기적으로 봐야 하는데…. 과거의 대기업이 아니고 중견 기업을 어떻게 육성할 것인가가 굉장히 중요한 해결책이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한두 지역만의 문제가 아닌 만큼 중앙 정부의 전반적인 산업 구조 개혁이 앞장서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김영철 / 계명대학교 경제통상학부 교수 : 도시 전체가 와해 되고 경제 생태계가 붕괴해 버리면 이것은 앞으로 재생하기도 힘들 테고요. 한계적 중소기업에 대한 특단의 대책을 중앙정부 차원에서 좀 만들어나가야….]

대기업을 더 적극적으로 유치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산업 구조를 바꾸려면 시간이 필요한데 지역 경제가 그 기간을 버티기 힘들다는 겁니다.

특히, 기업의 연구개발 기능을 유치하면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이두희 / 산업연구원 지역정책연구실장 : 지역은 생산 공장밖에 안 남는 이 구조 속에서는 언제든지 기업은 이윤을 찾아서 해외 나갈 수 있습니다. 연구개발기능, 소프트웨어 기능들이 생겨날 수 있도록 정부 또는 지방정부가 정책을 써야 한다는 겁니다.]

지금 바닥을 다지고 반등을 준비하지 않으면 지역 경제는 불황의 악순환을 끊기 어렵다는 진단입니다.

정부와 지자체, 또 기업의 적확한 분석과 현명한 판단, 과감한 결정이 필요해 보입니다.

YTN 이윤재[lyj1025@ytn.co.kr]입니다.
HOT 연예 스포츠
지금 이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