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지난 5년 동안 정부나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 공격이 7만 건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부분 북한 정찰총국 산하 사이버전 전담 부대가 주도한 것으로 국정원은 파악하고 있습니다.
박순표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5년 동안 국정원이 파악한 공공기관 대상 사이버 공격 건수는 모두 7만 3천 30건.
2008년 7천 9백여 건을 시작으로 2009년에는 만 건이 넘었고 2010년에는 2만 천 여건을 기록하는 등 공격 건수가 크게 늘어났습니다.
공격 대상도 전국의 화학물질 취급 시설과 취·정수장 1700여 개의 위치와 관련 정보 등이 포함됐습니다.
이같은 사실은 남재준 국정원장 후보자가 국회 인사청문위원들에게 제출한 비공개 서면 답변서를 통해 확인됐습니다.
남 후보자는 답변서에서 공격의 정확한 배후를 찾는 것은 여러나라의 전산망을 경유하기 때문에 기술적 어려움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은 북한의 정찰총국 산하 사이버전 전담 부대 등에서 주도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실제 북한은 사이버전을 담당하던 노동당 작전부와 35호실, 군 정찰국 등을 통합해 지난 2009년 정찰총국을 출범시켰습니다.
이듬 해인 2010년 사이버 공격 건수가 2배 가까이 급증한 것도 정찰총국의 활동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입니다.
특히 정찰총국 산하 '110호 연구소'와 '컴퓨터기술연구소' 등이 확보한 해킹 기술은 전체 금융기관의 전산망을 마비시킬 정도로 파악됐습니다.
해킹 전담 인력도 1,000여명에 이릅니다.
이와 관련해 정보 당국 관계자는 이번 공격이 정보통신기반보호법에 따라 국정원 등이 사이버테러 대응 업무를 할 수 없는 언론사와 금융 기관에 집중된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만약 이번 사이버 공격이 북한 소행으로 드러난다면, 법적 미비점을 교묘하게 파고든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국회 정보위는 이번 사이버 공격의 배후가 드러나면 국정원의 보고를 받고 대책 마련에 착수할 계획입니다.
YTN 박순표[spark@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