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대 초반(1970∼1974년) 출생한 '2차 베이비부머' 세대 4명 중 1명은 부모와 자녀를 이중으로 부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재단법인 '돌봄과 미래'는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1960∼1974년 출생한 전국 50∼64세 성인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지난 5월 '돌봄 실태와 인식 조사'를 실시하고 이 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자신의 노후까지 포함해 '돌봄 삼중고'를 겪는 이들은 은퇴를 앞둔 1960년대생보다도 돌봄 부담이 큰 '돌봄 피크'를 겪고 있다는 분석이다.
70년대생의 76%는 자녀에게 경제적인 지원을 하고 있고, 42%는 본인이나 배우자의 부모를 경제적으로 부양하고 있다고 답했다. 자녀 부양엔 월평균 107만 원, 부모 부양엔 62만 원을 지출하고 있었다. 자녀와 부모를 모두 부양하는 응답자는 25%로, 월평균 155만 원을 부양에 지출하고 있었다.
반면 60년대생은 이미 자녀가 경제적으로 독립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아 43%가 자녀 부양(월평균 88만 원), 44%가 부모 부양(월평균 73만 원)을 하고 있었고, '이중 부양' 비율은 70년대생보다 10%포인트 낮은 15%였다. 이중 부양자의 지출 규모는 60년대생이 165만 원으로 70년대생보다 조금 많았지만, 느끼는 부담의 정도는 70년대생이 훨씬 컸다.
자녀에 대한 경제적 지원이 '부담스럽다'는 응답은 60년대생 46%, 70년대생 57%였다. 부모에 대한 지원을 부담스럽게 느끼는 응답자는 60년대생 33%, 70년대생 48%였다.
자신의 노후에 대한 불안도 70년대생이 더 컸다. 일을 하고 있는 70년대 중 일을 언제까지 할 수 있을지 불안감을 느낀다고 답한 응답자는 56%였다. 일을 하고 있는 60년대생의 경우 46%가 노동 지속에 불안감을 느꼈다.
연금을 받기 전까지 소득 공백에 대한 불안감도 70년대생이 91%로, 60년대생(81%)보다 컸다. 실제로 '노후 준비를 하고 있다'는 70년대생은 50%에 그쳐, 60년대생(62%)보다 적었고, 70년대생은 39%만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등 공적연금이 노후의 주요 소득원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70년대생은 자기 신체·정신 건강 상태에 대해서도 각각 40%, 62%만 좋다고 답했다. 60년대생의 '좋음' 응답률 51%(신체), 75%(정신)보다도 낮다.
70년대생은 또 자신이 건강하지 못한 상태로 사는 기간(비건강 수명)이 10.5년에 달할 것으로 전망해, 60년대생(9.0년)보다 비관적이었다.
디지털뉴스팀 이유나 기자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