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의 소비 심리가 크게 위축되면서 내수 회복을 제약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한국은행이 최근 1인 가구 확산의 경제적 영향을 소비를 중심으로 분석한 자료를 보면 지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평균 소비성향 변화에서 1인 가구의 감소율이 5.8%로 가장 컸습니다.
이어 3인 가구 감소율이 4.3%, 2인 가구 감소율이 2.5%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기준 1인 가구 비중은 전체의 35.5%로 코로나19 이후 빠르게 늘었고, 같은 기간 이들이 전체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에 달했습니다.
문제는 1인 가구의 평균소비성향이 나빠지면서 내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한국은행은 청년층 1인 가구의 경우 코로나19 기간 월세 증가 등 주거비 부담이 소비성향을 제약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또 고령층 1인 가구는 고용 안정성이 낮아 코로나19 위기 이후 상흔 효과가 계속 이어지는 것으로 봤습니다.
이에 따라 한은은 내수 기반을 튼튼히 하려면 이들 1인 가구의 주거와 소득, 고용 안정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다만 1인 가구 지원책은 저출생 대책과 상충 등 의도치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어 전체 취약계층을 포괄하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덧붙였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