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이 사진 보신 적 있으십니까?
닷새 연속 비상저감조치가 취해지는 등 최악의 미세먼지 상황을 보였던 지난 3월 5일, 한반도와 주변국의 대기를 시각화한 자료인데요.
이걸 보면 '국내 미세먼지에 중국의 영향이 적지 않을 거다'란 추론이 가능한데, 과연 그 영향이 얼마나 되느냐는 알 수 없었죠.
그런데 이걸 처음으로 수치화한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한중일 3국이 공동으로 연구한 자료인데요.
우리나라 초미세먼지의 32%, 그러니까 3분의 1 정도는 중국에서 온 거라는 결과입니다.
그동안 발뺌하던 중국이 일부 책임을 인정했다는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연구결과인데, 하지만 한계도 있다는 지적입니다.
황선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한·중·일 3국이 2017년 대상으로 세 나라 주요 도시의 초미세 먼지가 어디서 얼마나 오는지 분석한 공동보고서를 발간했습니다.
각국에서 자체 발생한 초미세 먼지는 한국 51%, 중국 91%, 일본 55%로 나타났습니다.
중국에서 우리나라에 날아오는 미세먼지는 연평균 32%, 일본발 미세먼지는 2%로 산출됐습니다.
나머지 15%는 몽골, 러시아 등에서 오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가 중국에 미치는 영향은 2%, 일본에 주는 영향은 8%로 나타났습니다.
세 나라 모두 초미세 먼지 농도는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는데, 우리나라의 지난해 연평균 농도는 2015년에 비해 12%, 중국은 22% 감소했습니다.
[장윤석 / 국립환경과학원장 : 이 보고서가 미세먼지 등 동북아 대기 질 개선을 위한 국가 간 협의의 과학적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하지만 세 나라는 상대국에 주는 미세먼지 영향에 대해 미묘한 입장 차를 드러내기도 했습니다.
예를 들어 서울 초미세 먼지에 미치는 중국 영향을 한국과 일본은 39%로 분석했지만, 중국은 23%로 낮게 봤습니다.
또 연평균 자료만 제시했을 뿐 고농도 시기 미세먼지 영향에 대한 분석은 빠져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국립환경과학원은 자체 분석 결과 "올해 2~3월 고농도 시기 중국 기여율은 70% 정도였다"고 밝혔습니다.
[장윤석 / 국립환경과학원장 : 그 때 (국외) 기여율이 거의 80% 돼 있거든요. 80%에서 중국 기여율은 70% 정도 되지 않았나….]
고농도 시기만 놓고 볼 때 국외 요인, 특히 중국발 요인의 영향력이 더 커진다는 얘기입니다.
애초 이 보고서는 지난해 발간될 예정이었지만 중국 측이 일부 자료가 오래된 것이라는 이유로 반대해 연기됐습니다.
YTN 황선욱입니다.
[앵커]
오는 2030년에는 초미세먼지 때문에 일찍 사망하는 노인의 수가, 서울에서만 1년에 2천여 명이 넘을 거란 전망이 나왔습니다.
2015년보다 83% 넘게 늘어나는 건데, 초미세먼지 문제가 단순히 불편함과 답답함을 넘어서 생명을 직접 위협하는 문제라는 걸 다시 한 번 상기시키는 대목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