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중국이 미국의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을 제재하자 미국 의회에서는 한국 기업의 반사이익을 막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우리 기업들이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난처한 상황에 놓이게 됐는데요.
신중하게 대응하면서 기술 개발로 경쟁력을 키워나가는 수밖에, 뾰족한 해법을 찾기가 쉽지 않아 보입니다.
보도에 박홍구 기자입니다.
[기자]
미국의 반도체 통제 이후 중국이 처음으로 반격에 나섰습니다.
마이크론의 메모리 반도체 제품에 대해 보안 문제를 지적하며 구매를 중단한 것입니다.
이러자 중국이 반도체 부족분을 한국기업들한테서 조달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미국 의회에서는 한국 기업이 마이크론의 공백을 채워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미 하원의 마이크 갤러거 미중 전략경쟁특위 위원장이 한국 기업이 마이크론의 빈자리를 채우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한국 정부가 행동해야 한다고 말한 것입니다.
하지만 지난해 기준, 마이크론의 대중국 매출은 4조 3천억 원.
삼성전자 54조 7천억 원, SK하이닉스 12조 2천억 원과 비교하면 미미한 수준입니다.
따라서 요즘 같은 반도체 불황기에 마이크론 공백에 따른 국내 기업의 반사이익이 크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양팽 /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 : 전체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볼 때 마이크론의 물량을 누군가 대체하더라도 그게 마이크론의 물량 대체라고 할 만큼 그렇게 큰 양이 아닐 거라는 거죠.]
우리 기업의 중국 내 영업 활동도 미국 정부의 공식 요구가 있기 전까지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앞으로 계속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려면 기술 격차를 더욱 벌리는 게 중요합니다.
[김용석 / 성균관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 시장주의에 반하는 조치이기 때문에 우리가 받아들이기는 어렵다고 보고요. 근데 이제 실질적으로 우리가 정말 고민해야 할 것은 좀 더 가격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그런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중국에 공장에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로서는 앞으로 계속 중국 리스크가 부각 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중국은 퀄컴이나 인텔이 아닌, 대중국 사업 비중이 11%에 불과한 마이크론을 제재 대상으로 택하고, 미국도 중국과 각료급 대화를 이어가며 양쪽 모두 선은 넘지 않는 모습입니다.
우리도 한미 동맹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어떻게 국익을 도모할 것인지, 전략적 대응이 필요해 보입니다
YTN 박홍구입니다.
영상편집 : 김희정
그래픽 : 이지희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