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 김영수 앵커
■ 출연 : 이송규 / 한국안전전문가협회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일단 큰 불은 잡혔고요. 잔불 진화작업이 진행 중입니다. 그런데 경북 울진에서는 지난 3월에 이어서 두 번째 대형 산불이 올해 발생한 겁니다. 오전까지 주불을 잡고 계속 남은 불길 진화 작업을 벌이는 것으로 확인이 되고 있고요. 전문가 연결해서 좀 더 자세한 소식을 들어보겠습니다. 이송규 한국안전전문가협회장 연결돼 있습니다. 협회장님, 나와 계시죠?
[이송규]
네, 안녕하세요? 이송규입니다.
[앵커]
산불이 만 하루 만에 불길을 잡았습니다. 보통 이게 하루이틀 이상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번에 큰 불길을 비교적 빨리 잡았다라고 볼 수 있죠?
[이송규]
그렇습니다. 이번에 지금 주불은 금방 산림청장에서도 이야기를 했지만 주불이 진화가 됐지 않습니까? 그러나 주불이 진화됐지만 잔불이 지금도 남아있는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잔불에 의해서 다시 재발화가 될 수가 있거든요. 그래서 이것에 대해서 꼭 유념하시고 잔불 정리를 해야 됩니다.
특히나 산은 산소농도가 높고 바람이 있기 때문에 아주 작은 불씨만 있더라도 재발화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아주 주의를 해야 된다라는 말씀을 꼭 드리고 싶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지금 잔불 진화에 모든 자원을 동원하기로 했거든요. 어떻게 잔불을 확실하게 잡을 수 있을까요?
[이송규]
지금 주불 같은 경우는 헬기나 드론을 이용해서 확인하고 진화를 하는데 지금 잔불 같은 경우는 소방 인력이 세심하게 투입을 해야 되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시간도 필요하고 인력도 필요합니다. 그리고 또 거기다가 꼼꼼하게 마무리를 하는 이런 작업들이 연계돼서 필요한 상황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그렇다면 큰 불은 주로 진화헬기가 잡게 되는 겁니까? 큰 불을 잡는 방법과 잔불 정리 작업 어떻게 다른 겁니까?
[이송규]
큰 불 같은 경우는 주불이지 않습니까? 그래서 주로 확산될 수 있는 큰 주불을 잡는 것은 헬기에 의해서 폭수에 의해서 불을 진화하는 것이고요. 잔불 같은 경우는 헬기보다는 세심한 사람들의, 소방인력에 의해서 하기 때문에 잔불과 주불의 정리작업들은 조금 다르게 분류하고 또 실행이 되고 있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그리고 걱정스러운 게 해마다 이맘때쯤 되면 강원도, 경북 지역 산에서 대형 산불이 자주 나오잖아요. 어떤 이유 때문입니까?
[이송규]
지금 올 3월에도 똑같은 지역에서 불이 발생했고 또 수년간 거의 비슷한 곳에서 발생했었지 않습니까? 여기에서는 여러 가지 지리적인 요건이 있습니다. 강원도 이쪽에서는 큰 산맥이 있기 때문에 바람의 영향이, 강도가 굉장히 높아지는 경우가 되고요.
또 건조했을 경우, 또 여러 가지 요인들, 또 등산객들이 많이 있고, 사람들이 운행할 수 있는, 왔다 갔다 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이러한 요인들, 여러 가지로 인해서 산불이 자주 발생하고 이번에도 똑같은 요인으로 발생했기 때문에 안전에 대해서 철저하게 준비를 해야 된다라는 그런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작은 불씨도 큰 불로 이어질 수 있으니까 특히 주의를 해야 될 시기가 아닌가 싶습니다. 지금 이번에 긴급주민대피령이 빨리 내려졌고요. 그래서 주민들 인명피해가 전혀 없었습니다. 어떻게 대처를 잘했기 때문으로 보십니까?
[이송규]
그렇습니다. 지금 결과적으로 주민들 피해가 한 명도 없었다는 얘기는 선제적으로 대피명령이나 지자체에서, 또 소방, 관리 인력들이 잘했기 때문이라는 그런 결과라고 보여집니다. 또한 그전에 우리가 많은 학습효과가 있었고요.
그래서 이번에는 아주 좋았고 또 앞으로도 또 분명히 산불이 날 수 있기 때문에 이번을 또 모범 삼아서 더 좋은 정책으로 인해서 주민들의 안전을 꼭 보장해야 된다라는 그런 말씀도 드리고 싶습니다.
[앵커]
그리고 인근 주민들도 특히 강원 산간 지역에, 경북 산간 지역에 사는 주민들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어떤 대피 요령이라든지 주의해야 될까요?
[이송규]
지금 강원도 같은 경우는 내가 살고 있는 바로 집 옆에 위험한 화기가 있다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유류가 옆에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우리가 지금 산이 바로 옆에 있으면 그렇게 산불로 위험하게 느끼지는 않는데 지금 우리가 바로 집 옆에 기름통이나 어떤 유류 저장 창고가 있었다고 하면 굉장히 위험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겠습니까?
그러나 똑같은 상황입니다. 우리 강원도 주변에 유류 저장 창고가 있는 것과 험악한 산들이 있는 것과 동일시해서 안전에 대한 준비, 보완이 필요하다라는 말씀입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오늘 말씀 잘 들었습니다. 이송규 한국안전전문가협회장이었습니다. 잘 들었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