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닫기
이제 해당 작성자의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닫기
삭제하시겠습니까?
이제 해당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 트럼프 "반도체 관세 다음 주 발표…일부 유연성 있어야"
    트럼프 "반도체 관세 다음 주 발표…일부 유연성 있어야"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에 대한 품목별 관세가 머지않은 미래에 시행될 것이라며 다음 주 발표를 예고했습니다. 로이터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에어포스원 기내에서 기자들과 만나 반도체 관세가 머지않은 미래에 시행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반도체 관세율이 얼마나 될지 묻자 다음 주 중에 발표하겠다고 답했습니다. 또 반도체 관세와 관련해 일부 기업들에는 유연성이 있을 것이라면서도 확실하진 않다고 덧붙였습니다. 아이폰에 부과하는 관세도 곧 발표될 것이라면서 일부 유연성은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SNS에 올린 글에서 반도체 등 전자제품이 관세에서 제외된 것이 아니라며 관세 부과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광명 지하터널 사고 수색작업 계속…경찰, 입건 전 조사
    재생
    광명 지하터널 사고 수색작업 계속…경찰, 입건 전 조사
  • 광명 지하터널 붕괴 사고 실종자에 대한 수색 작업이 이어지고 있지만, 구조 소식은 들리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경찰은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해 입건 전 조사에 나섰는데요.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이현정 기자! 밤사이에도 수색이 계속된 거죠? [기자] 경기 광명시 신안산선 지하터널 붕괴 사고로 실종된 1명을 찾기 위한 밤샘 수색 작업이 이어졌습니다. 소방당국은 지반 침하 우려로 중단했던 구조 작업을 어제 오후부터 다시 시작했는데요. 20대 굴착기 기사 1명은 사고 13시간 만에 구조됐지만, 50대 작업자 1명에 대한 소식은 없는 상황입니다. 경찰은 실종자 휴대전화 위치 추적을 시도했지만, 초반에는 신호가 가다가 현재는 끊긴 상태라며 정확한 위치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앵커] 앞서 YTN이 단독으로 전해드렸죠. 경찰도 사고 원인을 들여다보기로 했다고요? [기자] 경기 광명경찰서는 오늘 신안산선 지하터널 붕괴 사고와 관련해 입건 전 조사에 나섰다고 밝혔습니다. 경찰 관계자는 YTN과의 통화에서 현재로서는 남은 실종자에 대한 구조 지원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는데요. 수색작업이 완료되는 대로 공사 관계자들에 대한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시공사 포스코이앤씨 등을 상대로 부실 공사 의혹과 함께 붕괴 전후 작업자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없었는지 등에 대해 집중적으로 들여다볼 전망입니다. [앵커] 오늘로 사고 나흘째를 맞았는데, 수색이 오래 걸리는 이유가 있습니까? [기자] 현재 사고 현장에서는 구조물 추가 붕괴 등 2차 사고 우려로 수색이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이에 따라, 소방당국은 주변 안전펜스를 제거하고 추락 위험이 있는 구조물을 걷어낸 뒤 지하 수색을 이어갈 예정입니다. 또, 지난 주말 내린 비와 강풍의 영향으로 토사 붕괴 위험도 있는 만큼, 기상 상황과 안전을 고려해 신중하게 구조작업을 진행할 것으로 보입니다. 교육청은 일단 내일(15일)까지 인근 초등학교 임시 휴업을 결정하고, 안전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연장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인데요. 서둘러 안전 진단을 실시한다는 계획이지만, 결과가 나오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여 주민들 불편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사회부에서 YTN 이현정입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관세 관련 소식

에디터 추천뉴스

연예

더보기

게임

더보기

YTN 뉴스를 만나는 또 다른 방법

전체보기
YTN 유튜브
구독 4,940,000
YTN 네이버채널
구독 5,591,538
YTN 페이스북
구독 703,845
YTN 리더스 뉴스레터
구독 21,697
YTN 엑스
팔로워 361,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