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닫기
이제 해당 작성자의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닫기
삭제하시겠습니까?
이제 해당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 김경수, 세종서 출마 선언…'오세훈 불출마' 후폭풍
    재생
    김경수, 세종서 출마 선언…'오세훈 불출마' 후폭풍
  •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오늘 세종시청에서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합니다. 국민의힘에선 오세훈 서울시장의 불출마가 향후 경선 구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되는데, 오 시장 결단의 배경으론 이른바 '한덕수 출마론'도 거론됩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김철희 기자! 민주당 쪽 소식부터 자세히 전해주시죠! [기자] 네, 잠시 뒤인 오전 11시, 세종시청 브리핑실에서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대선 출마를 알립니다. 민주당에선 김두관 전 의원과 김동연 경기도지사, 이재명 예비후보에 이은 네 번째 대권 도전 선언입니다. 김 전 지사, 출마 선언 장소로 세종을 선택한 이유를 두고,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오랜 꿈이었던 '지방 분권'과 '균형 발전' 공약을 강조하기 위함이라고 밝혔습니다. 자신 역시 부산·울산·경남, 즉 부울경 메가시티와 행정수도 재추진 등 국가 균형 발전을 위해 노력해 왔던 만큼, 세종시를 출사표를 던지는 장소로 결정했다는 설명입니다. 민주당이 어제 확정한 경선 규칙을 두고는 여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 특별당규준비위가 권리당원 투표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를 50%씩 반영하기로 확정하면서 특정 후보자를 염두에 둔 건 아니란 점을 강조했는데요. 김동연 지사와 김두관 전 의원 측은 '무늬만 경선'이라거나 '당사자인 후보 측과 협의조차 하지 않았다'면서 반발했습니다. 이에 이춘석 특별당규위원장 측은 YTN에, 각 캠프 의견수렴 절차를 거쳤다고 전했습니다. 또 김경수 전 지사 측은 당의 결정을 따른다는 입장입니다. 이런 가운데, 김동연 지사는 오늘 캠프 소개식을 열고 기자들을 만날 예정입니다. [앵커] 국민의힘 후보들은 오세훈 시장 불출마 선언 영향을 주시하고 있다고요. [기자] 후보 등록을 이틀 앞두고 오세훈 시장이 전격 불출마 선언을 하면서 당내 주자들 셈법도 복잡해진 모습입니다. 주자들은 일제히 오 시장을 향해 구애의 손길을 내밀었는데, 안철수 의원이나 한동훈 전 대표 등이 반사이익을 볼 수 있단 해석도 나옵니다. 오 시장 불출마에 '한덕수 대행 차출설'이 결정적 영향을 미쳤을 거란 분석도 나오는데요. 이날 예정돼 있던 현역 의원들의 '한덕수 출마 촉구 기자회견'은 지도부 만류 속 보류되는 분위기이지만, 당내에선 한 총리 출마를 바라는 목소리가 여전히 큰 상황입니다. 이처럼 이른바 '빅4' 구도가 출렁이고 있는 가운데, 후보들은 휴일인 오늘도 잰걸음을 이어갑니다. 먼저 김문수 전 경기지사는 교회에서 예배를 예고했고, 나경원 의원은 4·19 세대 원로 정치인을 만납니다. 양향자 전 의원은 서울 강남에서 출마 선언을, 안철수 의원은 국회에서 공약을 발표를 각각 예고했습니다. 또 유정복 인천시장은 현충원을, 이철우 경북지사는 대구·경북 지역 시장을 각각 방문할 예정인 가운데, 한동훈 전 대표는 서울 잠실 석촌호수에서 시민들을 만납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YTN 김철희입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차기 대통령 집무실은?…용산 vs 청와대 vs 세종
    재생
    차기 대통령 집무실은?…용산 vs 청와대 vs 세종
  • 조기 대선 국면 속에 차기 대통령 집무실 이전 여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현 용산 집무실을 그대로 쓸지 아님 청와대나 세종으로 갈지, 각 주자의 입장을 김다연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차기 대통령에게는 서울 용산 집무실 입주와 청와대로의 복귀, 세종으로의 이전이라는 세 가지 선택지가 있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입니다. 지난 대선 때도 '세종 대통령실'을 공약했던 민주당 이재명 예비후보는 이번에도 같은 계획을 방안 중 하나로 검토하고 있는 거로 알려졌습니다. [정성호 / 더불어민주당 의원 (10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 군사 쿠데타를 일으켰던 주범들이 모였던 장소가 거기 아닙니까? 그런데 어떻게 (용산 집무실에) 다시 들어가겠습니까.] 국민의힘 일부 주자들도 용산 집무실이 썩 내키진 않는 눈치입니다. 홍준표 전 시장은 용산 집무실을 주술과 불통의 공간으로 규정했고, 안철수 의원도 청와대로 다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안철수 / 국민의힘 의원 (8일) : 청와대의 규모를 좀 줄여서 일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경호를 잘하게 만들고….] 당선 전부터 특정 장소에 호불호를 굳이 밝히기보다 신중론을 유지하기도 합니다. [김문수 / 고용노동부 전 장관 (10일) : 우리 대통령은 오랫동안 청와대에서 근무했잖아요. 여러 가지를 검토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도 없이 바로 직무를 시작해야 하는데 집무실 장소를 언급하는 건 소모적이라거나 섣부르다는 현실주의적 시각도 있습니다. [나경원 / 국민의힘 의원 (12일) : 집무실 이전 여부가 주요한 쟁점이 되는 대선은 아니었으면 좋겠습니다. 가지에 집중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한동훈 / 국민의힘 전 대표 (10일) : 정말 중요한 건 일을 얼마나 잘하고 열심히 하려는 가에 대한 각오라고 생각해요. 미리 말할 얘기도 아닌 거 같습니다.] 집무실 이전은 대선의 단골 공약이었지만, 이번에는 찾기 힘든 분위기입니다. 윤 전 대통령의 상징인 용산 집무실을 그대로 쓰자니 새 정권에 부담일 수 있고 옮기자니 세금이 들어, 대선 주자들의 셈법이 복잡해 보입니다. YTN 김다연입니다. 촬영기자 : 이성모, 한상원 영상편집 : 한경희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신안산선' 도로 붕괴

에디터 추천뉴스

연예

더보기

게임

더보기

YTN 뉴스를 만나는 또 다른 방법

전체보기
YTN 유튜브
구독 4,940,000
YTN 네이버채널
구독 5,591,781
YTN 페이스북
구독 703,845
YTN 리더스 뉴스레터
구독 21,675
YTN 엑스
팔로워 361,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