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닫기
이제 해당 작성자의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닫기
삭제하시겠습니까?
이제 해당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 '룰의 전쟁' 시작?…양당, 경선규칙 논의 착수
    재생
    '룰의 전쟁' 시작?…양당, 경선규칙 논의 착수
  • 차기 대권 주자들이 잇달아 출사표를 던지면서 거대 양당은 각 당내 경선 규칙 논의에 본격 착수했습니다. 양당 모두 당원들의 당심과 일반 국민 민심을 어느 정도 비율로 반영할지 고심하고 있습니다. 나혜인 기자입니다. [기자] 이재명 전 대표의 사퇴와 함께 본격 대선 체제로 전환된 민주당은 곧바로 당내 경선 준비를 위한 선거관리위원회와 특별당규준비위를 띄웠습니다. 촉박한 대선 일정을 고려해 이번 주 안엔 경선 일정과 규칙을 정하겠단 방침인데 결국 당원들의 투표권을 얼마나 보장하느냐가 논의의 핵심입니다. 비이재명계에선 공정한 경쟁을 위해 이 전 대표 지지세가 강한 권리당원 표심을 배제하고 100% 일반 국민 투표로 경선을 치르자고 주장하지만, 요구가 받아들여질진 미지숩니다. [이춘석 / 더불어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장 : 당원 주권을 강화하는 방안을 어떻게 도입할 것이냐 하는 것이 특별위원회의 중요한 과제가 될 거로 생각합니다.] 민주당에 비해 내부 경쟁이 치열한 국민의힘은 흥행 효과를 극대화할 경선 방식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다음 주 초 후보등록을 받아 다음 달 3일 최종후보를 선출하는 일정까진 확정했지만, 예비경선 일정과 방식은 당 비상대책위원회에 의결권을 넘겼습니다. 출마를 예고한 후보가 두 자릿수에 달해 본경선 전 여러 차례 '컷오프'가 불가피한데, 역시 친윤계와 비윤계 주자들 사이 당심 반영 비율을 놓고 신경전이 치열합니다. 본경선에선 당헌·당규에 따라 당원투표 50%,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 비율로 최종 후보를 선출할 가능성이 큰데 당내에선 본경선 후보를 2명만 남겨 1:1 대결구도를 만드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호준석 / 국민의힘 대선 경선 선거관리위원회 대변인 : 흥미진진한 그런 경선이 될 수 있도록 하자는 논의가 있었습니다. 비대위에서 최종적으로 의결할 예정입니다.] 국민의힘은 경선 과정에서 진행될 여론조사 불공정 시비를 차단하고자 여론조사 사전신고제를 골자로 하는 '명태균 방지조항'을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반면, '이재명 1강 구도' 경선이 유력한 민주당은 일정을 최대한 단축해 본선에 당력을 집중하려는 기류가 읽힙니다. YTN 나혜인입니다. 촬영기자 : 이상은 이승창 영상편집 : 연진영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미 상호관세에 코스피 2,300 아래로 '털썩'…환율 1,500원 초읽기
    재생
    미 상호관세에 코스피 2,300 아래로 '털썩'…환율 1,500원 초읽기
  • 미국의 상호관세 발효와 함께 미·중 무역 전쟁이 불붙으면서 우리 금융시장은 흔들렸습니다. 코스피는 1년 5개월 만에 2,300선이 무너졌고 원-달러 환율은 심리적 마지노선인 1,500원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습니다. 최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미국의 상호관세에 국내 증시는 털썩 주저앉았습니다. 약보합세로 문을 연 코스피는 상호관세 발효 뒤 2% 가까이 떨어지며 2,300선이 무너졌습니다. 1년 5개월여 만입니다. 개인이 홀로 9천억 원 넘게 사들였지만 외국인이 1조 원 넘게 팔아치우면서 지수를 끌어내렸습니다. 코스닥도 상호관세 발효 뒤 낙폭을 키우며 640선까지 후퇴했습니다. [염승환 / LS증권 이사 :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후퇴 안 한다는 게 이제 좀 가장 큰 것 같고요. 장중에 더 급락한 이유는 결국 미국과 중국이 지금 끝없는 대결을 하고 있다는 게….] 미·중 관세 전쟁이 불붙으면서 환율은 심리적 마지노선인 1,500원 돌파 초읽기에 들어갔습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한때 1,487.6원까지 치솟았습니다. 금융위기 때인 2009년 3월 이후 16년여 만에 최고치입니다. 세계 경제 불안으로 위험자산으로 분류되는 원화 가치가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상호관세도 모자라 고환율까지 덮치면서 산업계는 비상입니다. [이정희 /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 : 우리는 원자재 수입 의존도가 높은 나라이기 때문에 환율이 계속 높게 형성되면 우리 기업들도 생산 비용, 원가 올라갈 거고 또 소비자 물가도 영향을 받을 수 있죠.] 트럼프발 관세 전쟁으로 세계 경제에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금융시장 불안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입니다. YTN 최아영입니다. 촬영기자 : 심원보 디자인 : 지경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대선·개헌 동시투표 사실상 무산…이재명, 개헌 공약하나
    재생
    대선·개헌 동시투표 사실상 무산…이재명, 개헌 공약하나
  • 우원식 국회의장이 이번 주 초 제안했던 '대선·개헌 동시투표 주장'을 거둬들이기로 했습니다. 과반 의석을 차지한 민주당이 우 의장 제안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며 논의가 진전되지 못한 건데, 이제 이재명 전 대표가 대선 공약에 개헌 방안을 포함할지도 관심입니다. 김철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제2의 비상계엄' 사태를 막기 위해서라며 조기 대선과 함께 '권력 분산 개헌'을 제안했던 우원식 국회의장이 사흘 만에 자신 주장을 철회했습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헌법재판관을 지명해 안정적인 논의가 쉽지 않다는 이유도 내세웠지만, 과반 의석을 차지한 민주당 반대가 결정적이었단 분석입니다. 실제 민주당은 줄곧 '내란 종식이 먼저'라며 조속한 개헌 제안에 부정적 입장을 피력했는데,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뒤 치러지는 대선에서 전열이 흐트러지는 걸 경계한 거로 풀이됩니다. 이에 국민의힘은 '이재명 전 대표 뜻에 반하는 의견은 논의조차 할 수 없는 거냐'고 쏘아붙이며, 다수당의 횡포를 막을 개헌이 필요하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권성동 / 국민의힘 원내대표 : 그래서 개헌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제왕적 대통령의 권력을 분산하고, 제왕적 의회의 권력 남용도 제한할 수 있는 구조로 가야 합니다.] 물론, 민주당도 개정 시기를 문제 삼고 있을 뿐 기본적으로는 개헌에 찬성한단 입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재명 전 대표 역시 당 대선 후보로 나선 뒤엔 구체적인 개헌 로드맵을 공약 형태로 제시할 가능성도 적잖습니다. [정성호 / 더불어민주당 의원 (지난 7일, SBS '주영진의 뉴스직격') : 후보가 된 분들은 그다음부터는 분명하게 개헌의 일정들, 개헌의 로드맵, 그리고 주요 내용을 공약화해서 실천하는 게 필요할 것 같습니다.] 양당이 논의에 적극 협력한다면, 내년 6월 치러질 지방선거 땐 '87년 체제'를 끝내는 헌법 개정이 이뤄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다만, 양당 모두 개헌의 필요성에만 공감하고 있을 뿐 내용을 두고는 전혀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어, 일 년 남짓한 시간 동안 합의에 이를 수 있을진 여전히 미지수란 분석입니다. YTN 김철희입니다. 촬영기자 : 이성모 한상원 영상편집 : 연진영 디자인 : 정은옥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경제 소식

# 美 상호관세 파장

에디터 추천뉴스

연예

더보기

게임

더보기

YTN 뉴스를 만나는 또 다른 방법

전체보기
YTN 유튜브
구독 4,940,000
YTN 네이버채널
구독 5,592,617
YTN 페이스북
구독 703,845
YTN 리더스 뉴스레터
구독 21,541
YTN 엑스
팔로워 361,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