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닫기
이제 해당 작성자의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닫기
삭제하시겠습니까?
이제 해당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 우 의장 "대선과 개헌 국민투표 동시에…권력구조 개편"
    재생
    우 의장 "대선과 개헌 국민투표 동시에…권력구조 개편"
  • 우원식 국회의장이 이번 대통령 선거일에 개헌을 위한 국민투표도 함께 시행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이번 비상계엄 사태로, 권력 구조 개편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크다며 정치권의 호응을 촉구했는데, 성사 여부는 미지수입니다. 이종원 기자입니다. [기자] 우원식 국회의장이 윤 전 대통령 파면 이틀 만에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특별 담화를 발표했습니다. 대한민국의 모든 성취를 무너뜨릴 뻔한 비상계엄 사태는 막았지만, 다시는 이런 일이 벌어질 수 없도록 권력 분산을 위한 개헌이 시급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우원식 / 국회의장 : 위헌·불법 비상계엄과 탄핵 정국을 거치면서 그 어느 때보다 개헌의 시급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큽니다.] 그러면서 개헌을 위한 국민투표를 이번 대통령 선거일에 동시에 진행하자고 정치권에 제안했습니다. 시한이 촉박하긴 하지만, 가장 어려운 권력구조 개편은 이번 기회에 꼭 하고, 부족한 내용은 내년 지방선거와 함께 2차 개헌으로 추진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당장은 헌법불합치 결정을 받은 국민투표법 재외국민투표권 조항 개정과 국회 헌법개정특위 구성이 필요하다고 봤습니다. [우원식 / 국회의장 : 이 악순환을 반복하지 않으려면, 새 대통령의 임기가 시작되기 전에 물꼬를 터야 합니다. 시대적 요구, 개헌 방향성이 가장 명료해진 지금이 개헌을 성사시킬 적기입니다.] 그러나 두 달이 채 안 되는 숨 가뿐 조기 대선 레이스를 목전에 두고 정치권이 우 의장의 제안을 받아들지는 미지수입니다. 우 의장은 각 당 지도부와 개헌 논의에 대한 공감대가 있었다고 설명했지만 국민의힘은 즉각적인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고, [서지영 / 국민의힘 원내대변인 : 시기와 추진 일정, 추진 내용에 대해서는 개헌특위에서 논의가 아직 충분히 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는 반대 기류가 더 선명합니다. [김윤덕 / 더불어민주당 사무총장 : 이제 막 윤석열이 파면된 현재의 조건에서 조금 빠른 시간 안에 당 차원에서 지도부 차원에서….] 상당수 친명계 의원들 역시 반대의 뜻을 공개적으로 밝히기도 했는데, 일각에선 이재명 대표가 그동안 미뤄왔던 개헌 구상에 대한 공식 입장을 조만간 밝힐 거란 관측도 나옵니다. YTN 이종원입니다. 촬영기자: 이성모 이상은 영상편집: 김지연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대구 산불 진화 중 헬기 추락…70대 조종사 사망
    재생
    대구 산불 진화 중 헬기 추락…70대 조종사 사망
  • 대구의 한 야산에 난 불을 끄던 헬기가 추락해 70대 조종사 한 명이 숨졌습니다. 추락한 헬기는 대구 동구청이 임차한 것으로, 당시 조종사 혼자 탑승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송세혁 기자, 현재 상황 전해주시죠. [기자] 사고가 난 시각은 오늘 오후 3시 41분쯤인데요. 대구 서변동 야산에 난 불을 끄던 헬기가 산불 현장에서 100m가량 떨어진 곳에 추락했습니다. 이 사고로 70대 조종사 한 명이 숨졌다고 소방 당국이 밝혔습니다. 대구 동구청이 임차한 헬기로, 당시 조종사 혼자 탑승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추락한 헬기는 BELL 206L 기종으로, 44년 된 노후 기체로 확인됐습니다. 한 목격자는 "헬기가 너무 낮게 떠 있는 게 이상하다고 느껴 휴대전화로 촬영을 시작했는데, 30초 뒤쯤 추락했다"고 말했습니다. 산불 진화에는 모두 5대의 헬기가 투입됐고, 3시 12분 발생한 불은 한 시간여 만인 오후 4시 18분쯤 꺼졌습니다. 앞서 지난달 26일에도 경북 의성 대형 산불 진화에 투입됐던 강원도 임차 헬기가 추락해 역시 70대 조종사가 숨졌습니다. 경찰과 관계 당국은 현장 수습이 마무리되는 대로 정확한 추락 원인을 조사할 계획입니다. 지금까지 전국부에서 YTN 송세혁입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美 상호관세 파장

에디터 추천뉴스

연예

더보기

게임

더보기

YTN 뉴스를 만나는 또 다른 방법

전체보기
YTN 유튜브
구독 4,930,000
YTN 네이버채널
구독 5,594,493
YTN 페이스북
구독 703,845
YTN 리더스 뉴스레터
구독 21,394
YTN 엑스
팔로워 361,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