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닫기
이제 해당 작성자의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닫기
삭제하시겠습니까?
이제 해당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 11일 만에 진화 헬기 또 추락…70대 기장 잇따라 숨져
    재생
    11일 만에 진화 헬기 또 추락…70대 기장 잇따라 숨져
  • 건조한 날씨 속에 대구 북구에서 난 산불 진화에 나섰던 헬기가 추락해 70대 기장이 숨졌습니다. 최근 경북 지역을 휩쓴 산불 진화 헬기가 추락해 조종사가 숨진 지 불과 11일 만입니다. 이윤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농가 창고가 심하게 부서졌습니다. 그 옆으로 헬기가 형체를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부서진 채 나뒹굴고 있습니다. 대구 북구에 산불 신고가 접수된 건 오후 3시 10분쯤. 그로부터 30분이 채 지나지 않아 진화에 나섰던 헬기가 추락했습니다. 가까운 저수지에서 진화에 쓸 물을 퍼오다 균형을 잃고 떨어진 거로 추정됩니다. [김영호 / 목격자 : 여기 와서 섰어요. 멈췄다니까. 쭉 내려오다가 딱 멈추니까 물주머니가 뒤에 따라올 거 아닙니까. 탄력에 의해서 물주머니가 앞으로 갔을 거 아닙니까. 물주머니가 쫙 위로 올라가더니 그대로 그거하고 헬기하고 같이 떨어져 버렸어요.] 바로 옆 마늘밭에서 일하던 주민은 놀랄 틈도 없이 헬기로 달려갔습니다. 다급히 기장을 구하려고 했지만, 헬기에서 번진 불길에 미처 손을 쓰지 못했습니다. [목격자 : 겉에는 다 깨져버리고, 뒤에는 불이 붙어서 앞으로 오는 중이었어요. 사람(기장) 손이 끼어서 나와야 말이지…. 불은 막 타들어오지…. 사람 살아있는데 못 꺼내니까 사람 환장하잖아.] 헬기에는 70대 기장이 혼자 타고 있었고, 끝내 현장에서 숨을 거뒀습니다. 산불을 끄다 추락한 헬기는 대구 동구에서 임차한 것으로, 기령이 44년 된 노후 기종으로 확인됐습니다. 국토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는 현장을 확인해 부서진 기체를 수습하고 구체적인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앞서 지난달 26일에는 경북 산불 진화에 투입됐던 강원도 임차 헬기가 의성군 신평면에서 추락해 70대 조종사가 숨졌습니다. YTN 이윤재입니다. VJ 윤예온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우 의장 "대선과 개헌 국민투표 동시에…권력구조 개편"
    재생
    우 의장 "대선과 개헌 국민투표 동시에…권력구조 개편"
  • 우원식 국회의장이 이번 대통령 선거일에 개헌을 위한 국민투표도 함께 시행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이번 비상계엄 사태로, 권력 구조 개편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크다며 정치권의 호응을 촉구했는데, 성사 여부는 미지수입니다. 이종원 기자입니다. [기자] 우원식 국회의장이 윤 전 대통령 파면 이틀 만에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특별 담화를 발표했습니다. 대한민국의 모든 성취를 무너뜨릴 뻔한 비상계엄 사태는 막았지만, 다시는 이런 일이 벌어질 수 없도록 권력 분산을 위한 개헌이 시급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우원식 / 국회의장 : 위헌·불법 비상계엄과 탄핵 정국을 거치면서 그 어느 때보다 개헌의 시급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큽니다.] 그러면서 개헌을 위한 국민투표를 이번 대통령 선거일에 동시에 진행하자고 정치권에 제안했습니다. 시한이 촉박하긴 하지만, 가장 어려운 권력구조 개편은 이번 기회에 꼭 하고, 부족한 내용은 내년 지방선거와 함께 2차 개헌으로 추진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당장은 헌법불합치 결정을 받은 국민투표법 재외국민투표권 조항 개정과 국회 헌법개정특위 구성이 필요하다고 봤습니다. [우원식 / 국회의장 : 이 악순환을 반복하지 않으려면, 새 대통령의 임기가 시작되기 전에 물꼬를 터야 합니다. 시대적 요구, 개헌 방향성이 가장 명료해진 지금이 개헌을 성사시킬 적기입니다.] 그러나 두 달이 채 안 되는 숨 가뿐 조기 대선 레이스를 목전에 두고 정치권이 우 의장의 제안을 받아들지는 미지수입니다. 우 의장은 각 당 지도부와 개헌 논의에 대한 공감대가 있었다고 설명했지만 국민의힘은 즉각적인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고, [서지영 / 국민의힘 원내대변인 : 시기와 추진 일정, 추진 내용에 대해서는 개헌특위에서 논의가 아직 충분히 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는 반대 기류가 더 선명합니다. [김윤덕 / 더불어민주당 사무총장 : 이제 막 윤석열이 파면된 현재의 조건에서 조금 빠른 시간 안에 당 차원에서 지도부 차원에서….] 상당수 친명계 의원들 역시 반대의 뜻을 공개적으로 밝히기도 했는데, 일각에선 이재명 대표가 그동안 미뤄왔던 개헌 구상에 대한 공식 입장을 조만간 밝힐 거란 관측도 나옵니다. YTN 이종원입니다. 촬영기자: 이성모 이상은 영상편집: 김지연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윤, 사흘째 관저 칩거…이번 주 중반 이후 퇴거할 듯
    재생
    윤, 사흘째 관저 칩거…이번 주 중반 이후 퇴거할 듯
  • 윤 전 대통령은 파면 사흘째에도 한남동 관저에서 칩거를 이어갔습니다. 사저로 이사하기 위한 실무 작업은 시작도 되지 않아 이번 주 중반 이후에나 퇴거가 가능할 전망입니다. 신윤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은 부인 김건희 여사와 함께 파면 사흘째에도 한남동 관저에 머물렀습니다. 관저는 물론 서초동 자택 주변에서도 윤 전 대통령 퇴거와 이주를 위한 특별한 움직임이 없었습니다. 대통령경호처에도 구체적인 계획이 통보되지 않아 퇴거준비와 경호 점검이 시작되지 않은 겁니다. 경호처 관계자는 다양한 상황에 대비하고 있고, 구체적인 일시와 장소가 정해지면 경호활동이 개시될 거라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윤 전 대통령의 관저 퇴거는 이번 주 중반 이후에나 가능해질 전망입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파면 뒤 청와대를 떠나는 데 56시간이 걸린 것과 비교하면 늦어지는 겁니다. 일각에서는 윤 전 대통령이 헌재 선고 직전까지도 기각이나 각하 결정에 무게를 두고 사저 복귀계획을 소홀히 한 게 아니냔 지적도 나옵니다. 대통령 관저를 언제까지 비워야 한다는 규정은 없지만, 파면된 전직 대통령이 관저에 머무는 상황에 대한 정치적 부담은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국민의힘 지도부, 나경원 의원과 관저에서 회동한 데 이어 지지단체를 향해 메시지까지 내자 야당의 비판 수위가 올라가고 있습니다. [황정아 / 더불어민주당 대변인 : 파면된 윤석열이 어째서 아직까지 대통령 관저의 주인 행세를 하고 있는 것입니까? 국민의힘은 국민이 두렵지 않습니까?] 민주당 전현희 최고위원도 "남의 집에서 뭐하고 있는 거냐"며 윤 전 대통령이 문재인 전 대통령 임기 마지막 날 자정 청와대 개방을 강행했다며 같은 잣대를 적용하라고 압박에 나섰습니다. 윤 전 대통령은 경호와 주민 불편, 반려동물과의 생활 등을 두루 고려하고 있는데, 우선은 서초동 사저로 돌아간 뒤 단독주택 등으로 이동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YTN 신윤정입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경제 소식

# 美 상호관세 파장

에디터 추천뉴스

연예

더보기

게임

더보기

YTN 뉴스를 만나는 또 다른 방법

전체보기
YTN 유튜브
구독 4,930,000
YTN 네이버채널
구독 5,593,961
YTN 페이스북
구독 703,845
YTN 리더스 뉴스레터
구독 21,426
YTN 엑스
팔로워 361,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