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김태영 합참의장의 발언을 놓고 남북한 간에 팽팽한 긴장감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북측의 사과 요구에 대해 우리 정부는 2~3일 내에 답신을 줄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지만 사과를 할 것인지, 말 것인지를 놓고 고민에 빠졌습니다.
왕선택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북측의 사과 요구는 최근 잇따라 제기한 불만 표출 사례의 하나지만 특별한 의미도 갖고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남북 대화와 접촉 단절을 경고하면서 우리 정부의 구체적인 대응을 강요한 것입니다.
[인터뷰:양무진, 북한 대학원 대학교 교수]
"이명박 정부의 경제 살리기 정책도 북한이 협조적으로 나오지 않으면 어렵다는 점을 남측이나 국제사회에 전하는 효과를 노린 것..."
정부의 대응 시나리오는 세 가지로 귀결됩니다.
먼저 북측에 사과하는 방안이 있지만 합참의장 발언 자체가 선제타격론이 아니었던 만큼 채택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두 번째 방안은 사과 표현없이 답장을 보내 합참의장 발언의 취지를 설명하는 방안입니다.
남과 북 모두 불만스럽겠지만 대화와 접촉 가능성을 타진하는 기회가 된다는 점에서 서로 진지하게 검토할 수 있는 방안입니다.
[인터뷰: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상황을 끝까지 몰고가기 보다는 적절한 시점에 남북간에 북미 간에 대화를 추진할 가능성이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무대응 방안입니다.
사과하지 않고 답장도 보내지 않는 방안이지만 남북 대화와 접촉 단절을 각오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북한의 잇따른 불만 표출과 사과 요구는 새 정부 외교안보팀에게는 첫번째 시험대라는 점에서 주목됩니다.
동시에 앞으로 5년간 한반도 안보 정세를 결정짓는 중대한 결정이 된다는 의미도 지니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는 외교안보 수석 주재로 대책 회의를 열어 장기적 관점에서 대응하고 대응주체는 국방부나 통일부가 돼야 한다는 정도의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YTN 왕선택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