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국
닫기
이제 해당 작성자의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닫기
삭제하시겠습니까?
이제 해당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디지털 약자 외면하는 금융기관

2014.10.09 오후 10:34
AD
[앵커]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기기 사용이 늘면서 금융거래도 따라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노약자나 장애인 등 디지털 약자에 대한 배려는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데요.

금융기관의 '접근성' 보장 실태를 김범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스마트폰으로 금융거래를 자주 하는 최정규 씨는 어려움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나이가 들면서 자판이 잘 보이지 않아 비밀번호를 틀리기 일쑤이기 때문입니다.

[인터뷰:최정규, 스마트폰 금융거래 이용자]
"비밀번호라든가 숫자 입력할 때 활자 입력할 때 지금 현재 서비스 되는 활자들이 너무 작더라고요."

노약자뿐만 아니라 시각 등 장애인의 불편은 더합니다.

실제로 국가인권위원회와 관련 협회에는 집단 진정과 민원이 줄을 잇고 있습니다.

[인터뷰:안동한, 한국웹접근성평가센터 팀장]
"모바일 앱으로 뱅킹 뿐만 아니라 쇼핑이나 여러 가지 하고 있지만, 실제 장애인들은 그걸 이용을 못하는 상황이거든요. 그래서 거기에 대한 민원이나 이런 것이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국가정보화기본법에 정보통신제품은 장애인도 사용할 수 있도록 입력과 제어 수단이 충분히 커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기관은 손가락으로 꼽을 정도여서 장애인과 고령자의 스마트폰 전자금융 이용률은 17%로, 일반인 47%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뷰:이운룡, 새누리당 의원]
"금융당국과 금융권도 마인드를 바꾸고 장애인이라든가 연로하신 어른들, 인터넷 취약계층에 대한 금융서비스를 확충하기 위해 노력을 다해야한다고 봅니다."


지난해 금융기관의 장애인 편의성 제공 지침 준수율은 현금자동입출금기의 경우 50%, 스마트금융은 68%에 불과했습니다.

금융당국의 무관심과 금융기관의 외면 속에 장애인과 고령자 등 금융 취약계층의 금융서비스 격차는 줄어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YTN 김범환[kimbh@ytn.co.kr]입니다.
AD
AD

Y녹취록

YTN 뉴스를 만나는 또 다른 방법

전체보기
YTN 유튜브
구독 4,940,000
YTN 네이버채널
구독 5,591,538
YTN 페이스북
구독 703,845
YTN 리더스 뉴스레터
구독 21,697
YTN 엑스
팔로워 361,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