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사회
닫기
이제 해당 작성자의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닫기
삭제하시겠습니까?
이제 해당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쌍용차 해고노동자 스스로 목숨 끊어...30번째 희생자

2018.06.28 오후 04:55
이미지 확대 보기
쌍용차 해고노동자 스스로 목숨 끊어...30번째 희생자
AD
27일, 쌍용차 해고 노동자가 스스로 목숨을 끊어 안타까움을 사고 있다.

세상을 등진 해고 노동자 김모 씨는 2009년 쌍용차 옥쇄파업 현장에서 경찰 특공대에게 집단 폭행을 당한 뒤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 후 구속을 당했다.

이후 경찰은 김 씨를 상대로 24억 원의 손해배상을 청구했고 재판은 10년 넘게 이어졌다.

김 씨는 죽기 직전까지 기약 없는 복직을 기다리며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기 위해 낮에는 미장일하고 밤에는 택배기사 일을 해왔다.

그러나 '쌍용차 해고자 출신'은 재취업이 불가능해 일용직 노동을 전전했다. 김 씨는 복직 대상자였지만 쌍용차가 복직 시한도 알려주지 않은 채 기약 없이 하루를 보내야 했고, 경찰로부터 당한 폭력에 트라우마에 시달리다 목숨을 끊었다.

김 씨는 아내에게 "못난 남편 만나 고생만 시키고 마지막에도 빚만 남기고 가는구나. 사는 게 힘들겠지만, 부디 행복해라"라는 유언을 남겼다. 김 씨는 결국 쌍용자동차 해고 노동자 중 세상을 등진 30번째 희생자가 되었다.

민주노총은 “문재인 대통령도 쌍용차 해고노동자의 서른 번째 죽음에 정치적 책임이 있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민주노총은 “문 대통령은 2013년 한상균 전 쌍용차 지부장에게 ‘정리해고 문제 해결을 위해 국정조사가 반드시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지만, 지금까지 이뤄지지 않았다. 문 대통령은 하루하루 삶과 죽음의 경계를 넘나드는 쌍용차 해고노동자의 죽음 앞에 무엇을 할 것인지 답해야 한다”고 전했다.

민주노총 금속노조 쌍용자동차지부 김득중 지부장은 "회사가 복직 시한만이라도 알려줬더라면, 정부가 2009년 국가폭력 문제를 조금이라도 빨리 조사했더라면, 김 조합원은 목숨을 끊지 않았을 것"이라는 말을 남겼다.


YTN PLUS 최가영 기자 (weeping07@ytnplus.co.kr)
AD
AD

Y녹취록

YTN 뉴스를 만나는 또 다른 방법

전체보기
YTN 유튜브
구독 4,950,000
YTN 네이버채널
구독 5,591,094
YTN 페이스북
구독 703,845
YTN 리더스 뉴스레터
구독 21,746
YTN 엑스
팔로워 361,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