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 김영수 앵커, 강려원 앵커
■ 출연 : 김진두 / 문화생활과학부 기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중부지방은 짧은 소강상태에 들어간 상황입니다. 국지성 호우는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내리고 있습니다. 오늘 밤부터 내일까지 충청과 전북, 경북 지역에 많게는 300mm가 넘는 폭우가 쏟아진다고 하죠.
취재기자와 함께 호우 상황과 전망 분석해 보겠습니다. 문화생활과학부 김진두 기자 나와 있습니다. 어서 오세요. 김진두 기자가 어제 설명한 것처럼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비가 내리기 시작했어요.
[기자]
맞습니다. 어제 4호 태풍 하구핏이 소멸하면서 남긴 저기압이 우리나라를 통과했습니다. 강한 저기압이었기 때문에 우리나라 주변 비구름들이 사라졌고 그게 어제와 오늘 새벽까지 짧은 소강상태로 작용을 했습니다.
하지만 북태평양 고기압이 일본 쪽까지 수축했다가 다시 확장하기 시작하면서 그 주변에서 비구름들이 만들어지고 있는 상태입니다.
아까 기상캐스터가 보여드렸듯이 지금 레이더 영상을 보시면 주로 남부지방, 충청지방 쪽으로 강한 비구름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특히 아주 강한 비구름들은 주로 전남, 전북, 경북 지역 쪽으로 분포를 하고 있습니다.
이 지역에 보니까 붉은색으로 표시된, 아주 붉은색으로 표시된 부분에는 시간당 50mm 정도. 그러니까 한두 시간 정도 내리면 무조건 비 피해가 날 수밖에 없는 정도고 그런 강도의 강한 비가 내리고 있고요.
오늘 하루 동안만 전북 일부 지역에는 200mm가 넘는 폭우가 쏟아졌습니다. 하지만 이게 끝이 아니고 계속해서 이어진다는 게 문제입니다. 특보 상황도 보실까요?
서울 경기와 강원도 지역에 호우경보주의보, 다 해제된 상태에서 유지가 되고 있지만 아직도 이번에는 춘천과 전북, 경북 지역 쪽으로 호우특보 상황이 확대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특보 실크가 있으면 보여주시면 좋을 것 같은데요. 주로 서울 경기, 강원도는 소강상태 이틀째 이어지고 있고요.
보시는 것처럼 충청, 남부지방 중심으로 진하게 표시된 부분이 호우경보 지역인데 이 지역에 시간당 50mm 정도 폭우가 쏟아지고 있고 특히 경향성을 보자면 전라북도와 전남 경계 쪽, 그리고 경상북도 쪽으로 지금 비구름들이 굉장히 강하게 발달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앵커]
지금 비구름대가 중부지방에 있다가 밑으로 내려온 거잖아요.
[기자]
없어졌다가 다시 형성이 됐는데 그 위치가 남부지방이 된 겁니다.
[앵커]
그렇군요. 그런데 지금 비가 내리는 형태는 중부지방에 내렸던 비와 아주 비슷한 것 같아요.
[기자]
맞습니다. 지금 고기압 가장자리에서 수분이 공급되면서 굉장히 비구름들이 강하게 발달한 형태. 그러니까 국지성 호우 형태, 게릴라성 호우라고도 부르죠.
국지성 호우는 지역적으로 강한 비가 내리는 것. 게릴라성 호우는 그렇게 강한 비가 내리는 곳이 남부에서 중부로 오르내리면서 내리는 것.
그런 걸 다 포함하고 있는데 그 두 가지 특성에 다 맞는 비구름들이 현재 한반도에 형성이 되고 있고 특히 지난번에는 중북부지방이었다면 이제는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해서 점차 이 비구름대가 올라온다는 겁니다.
[앵커]
이번 비는 참 게릴라성 호우라서 걱정이긴 합니다. 역시 장마전선의 영향이라고 봐야 되는 겁니까?
[기자]
기상청이 설명한 바대로라면 고기압의 가장자리에서 정체전선이 형성되고 그 정체전선에 따라서 계속해서 강한 비구름들이 발달하는 형태. 그러므로 장마전선의 영향이라고 하고 또 아직도 장맛비가 이어지고 있다.
아직까지 장마기간이 길어지고 있다는 표현으로 설명이 될 수 있을 겁니다. 지금 보시면 우리나라 주변의 기압계가 이렇게 비가 올 수밖에 없는 형태가 됐습니다.
일기도가 준비돼 있으면 한번 그걸 보여주시면 좋을 것 같은데요. 북태평양 고기압 가장자리가 우리나라 주변에 분포를 하고 있는 상태에서 비구름들이 계속해서 그 연변에서 발달하고 있습니다.
그게 오늘은 충청과 남부지방, 오늘 오후에 보시면 가운데 부분에 우리나라가 있고 그 아래쪽 충청과 남부지방 쪽으로 긴 띠 형태의 비구름들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내일 정오를 보실까요? 비구름이 약간 올라와서 충청과 경기 남부지방까지 올라옵니다.
가운데 부분이고요. 일요일을 보시면 상황이 약간 달라졌죠. 토요일보다, 오늘보다도 약간 더 위로 올라옵니다.
그러니까 가운데 부분에 길게 동서로 비구름이 형성돼 있는 것의 중간 부분이 한반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거기에 비구름의 중심이 일요일 정오 무렵에는 조금 더 올라가서 이번에는 서울, 경기와 강원도에 분포를 합니다.
따라서 오늘은 주로 남부지방, 내일은 충청과 경상북도, 전라북도. 휴일은 서울 경기와 강원도가 이번 비구름, 폭우 구름이 주로 분포하는 위치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서울과 경기는 일요일 정오쯤 되면 많은 비가 올 것 같은데요. 이게 그러면 혹시 휴전선 근처까지 올라가서 또 비를 뿌릴 가능성도 있습니까?
[기자]
그 이후가 문제인 거죠. 남부지방에 굉장히 강한 비가 내리면서 중부지방, 중북부 지방, 서울, 경기와 강원도에 분포하고 있는 한강, 임진강, 한탄강의 홍수주의보는 서서히 해제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반면 지금 남부지방에 많은 비가 내리고 또 충청지방에도 집중호우가 쏟아지면서 금강, 영산강. 아직 낙동강은 아닙니다마는 그 지역에 굉장히 강한 비가 내리고 있기 때문에 곧 낙동강 일부 지역에도 홍수주의보가 내려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니까 오늘 100~200mm가 넘는 비가 내리면서 남부지방에 홍수주의보가 내려지기 시작했거든요. 내일까지도 주로 충청과 남부지방, 하지만 일요일에는 다시 서울, 경기, 강원도입니다.
서울, 경기 강원도로 올라왔다는 것은 다시 내려갈 가능성보다는 계속 분포하거나 조금 더 올라갈 가능성이 높거든요.
그렇다면 한강과 임진강, 한탄강의 수위는 다시 높아질 수 있고 그거는 북한 지방까지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다시 중북부지방에 홍수주의보, 홍수특보가 내려질 가능성이 높은 형태로 바뀌는 겁니다.
[앵커]
경기 북부 지역에 이미 수해가 나서 복구작업을 제대로 할 수 없을 정도인데 이번 주 일요일 다시 또 비구름대가 올라와서 비를 뿌리면, 특히 휴전선 이북 쪽으로 또 비가 많이 내리면 또 그 많은 비가 다시 또 남쪽으로 내려올 거 아닙니까?
[기자]
그렇습니다. 그게 문제인 거죠. 예상 강우량을 보시면 약간 우려가 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방금 말씀드렸듯이 우선 내일까지 예상 강우량을 기상청이 냈습니다.
최고 강우량이 300mm를 냈는데 주로 충청과 전북, 경북지역입니다. 거기에 가장 많은 지역이 300mm고요. 중부지방이 걸려 있는 곳은 충청과 경기 남부, 영서 남부지방까지 걸려 있습니다.
그러니까 내일까지 예상 강우량입니다. 많은 비는 그러니까 충청과 남부지방에 집중된다는 이야기고요. 서울, 경기 지방은 50~100mm 정도를 예상을 하고 있는데 아까 말씀드렸듯이 일요일에는 중북부 지방에 굉장히 많은 비, 그러니까 수도권과 강원도에 많은 비가 내리는데 그때는 또 이 같은 상황이 반복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니까 오늘부터 내일까지 충청과 남부지방에 최고 300mm가 내린다. 그렇다면 내일 예보는, 일요일까지 예보는 다시 수도권과 강원도 지역에 300mm 이상의 비가 내린다라고 예보가 나올 확률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방금 말씀하셨듯이 북한 지역, 또 잠깐 비가 그쳐서 수위가 낮아지고 있던 임진강, 한강의 수위가 다시 높아질 수 있는 그런 위험한 상황으로 이번 일요일부터 바뀐다는 이야기죠.
[앵커]
이미 비가 많이 내려서 수위가 한 번 높아졌다가 홍수주의보가 해제된 상태이기 때문에 인명피해도 발생했고 저희가 어제는 교통대란도 겪지 않았습니까? 추가적인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거든요.
[기자]
지금 그렇습니다. 가장 중요한 게 이전에 피해가 난 지역을 보면 가장 많은 피해가 난 지역이 충청도 지역에 가장 많은 피해가 났었습니다. 수재민도 많이 났었죠.
그다음 다시 서울, 경기, 강원도 지역이거든요. 지금 나오고 있는데요. 사망이 총 17명에 이재민이 2500명이 나오는데 이게 순서대로입니다.
충남, 충북, 경북이 먼저 발생했습니다. 그러고 나서 비구름이 북쪽으로 올라오면서 서울, 경기, 강원도 지역을 했거든요. 이게 다시 거꾸로 반복이 되는 겁니다.
그러니까 오늘과 내일 사이는 다시 충남, 충북, 경북. 거기에 더해서 전북 일부 지방까지. 그리고 토요일부터 일요일까지는 서울, 경기, 강원도 지역에 또다시 비 피해가 추가적으로 날 수밖에 없는 그런 비 상황으로 변한다, 이걸 염두에 꼭 두셔야 됩니다.
[앵커]
비 피해에 일단 철저히 대비를 해야 될 것 같습니다. 휴일이 지난 뒤 다음 주초는 태풍이 걱정이 된다고 말씀하셨는데 태풍이 어디까지 올라오게 되는 겁니까?
[기자]
태풍이 올라오다가 다행히 소멸을 합니다. 그런데 지난번에 말씀드렸듯이 태풍은 소멸해도 강한 저기압이 됩니다. 그 저기압이 우리나라에 올라오는 걸로 돼 있습니다.
제가 그래픽을 다시 한 번 준비했는데요. 10일, 그러니까 다음 주 월요일 0시 부분에는 우리나라 가운데 부분에 한반도 모습이 보이고 있는데 아래쪽, 제주도 바로 아래쪽에 강한 저기압이 보입니다.
그게 바로 태풍입니다. 그런데 10일 정오 무렵이 되면 태풍은 사라집니다. 그러니까 다행히 아직까지 우리나라 주변에 찬 공기가 머물러 있기 때문에 태풍이 그대로 세력을 유지한 채 올라오지 못하고 소멸하는데 문제는 태풍이 가져온 비구름이 우리나라 내륙으로 유입되면서 주로 중북부 지방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니까 일요일에 이어서 월요일에도 비가 전국적으로 내릴 가능성이 높은데 강한 비구름은 주로 서울, 경기, 강원도에 집중될 가능성이 높고요. 11일에도 마찬가지입니다.
11일에도 보시면 강한 비구름의 중심이 주로 중북부 지방을 강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띠 형태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일요일부터 서울, 경기, 강원도. 그리고 월요일, 화요일까지 서울, 경기, 강원도가 비구름의 중심 세력이 위치하는 지역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금 서울, 경기, 강원도 지역에 굉장히 많은 피해가 났고 다행히 더 피해가 커지기 전에 비가 소강상태에 그치면서 고비를 넘겼습니다마는 일요일부터 다음 주 월, 화까지 서울, 경기, 강원도.
특히 아까 말씀하셨듯이 북한 지역, 휴전선 부근의 북한 지역에도 또다시 폭우가 쏟아지면 상황이 다시 악화돼서 상당히 비상 상황까지 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런 상황입니다.
[앵커]
한강과 임진강 주변, 연천이라든지 파주 지역 주민들은 대비를 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 앞서서 어제 대비를 하기 위해서 댐을 비워둬야 된다라고 말씀을 하시지 않았습니까?
여전히 수위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그런 조치들이 필요하겠죠?
[기자]
그게 내일까지입니다. 그러니까 서울, 경기, 강원도 지역에 큰비가 내리기 전까지는 되도록이면 댐을 비워서 수위를 낮추는 게 좋겠다.
하지만 일요일부터 비가 쏟아지기 시작하면 어느 정도를 댐이 견딜 수 있을지 정도까지 채운 뒤에 순차적으로 내려보내면서 피해를 최소화하는 그런 작업이 필요해 보입니다.
왜냐하면 일요일부터 월요일, 화요일까지 적어도 서울, 경기, 강원도 지역에 집중적으로 비가 내린다면 하루에 적어도 100에서 많은 곳은 200~300mm 정도의 비가 내릴 겁니다.
그렇다면 2~3일 동안 지속된다면 일부 지역은 또 300~500mm가 넘는 비가 내릴 가능성도 있습니다. 배제할 수가 없거든요.
굉장히 위험한 상황이고 지금 내리고 있는 비들은 한 번 내릴 때 시간당 50에서 최고 100mm. 또 하루에 강우량이 200~300mm를 훌쩍 넘습니다.
따라서 이게 2~3일 정도 서울, 경기, 강원도 지역에 집중된다고 한다면 댐 관리, 그러니까 하천에서 수위 관리도 굉장히 중요하게 면밀하게 잘 살펴서 강우량과 현재 댐 수위를 맞춰가지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운영을 해야 될 겁니다.
[앵커]
홍수 피해에 대비를 해야 될 것 같고요. 그렇다면 화요일까지 전망을 해 주셨는데 어떻습니까? 수, 목, 금. 다음 주 후반쯤 되면 비가 그치겠습니까?
[기자]
슈퍼컴퓨터 모델이 내다볼 수 있는 한계는 5일 정도입니다. 그 이후로는 가면 갈수록 정확도는 떨어집니다. 하지만 경향성은 알 수 있습니다.
북태평양 고기압이 올라갈 것인지, 확장할 것인지, 수축을 할 것인지. 그렇다면 그 경계는 어느 지역에 걸칠 것인지가 중요한데 한 번 정도 고비는 있을 것 같습니다.
13일 정도, 그러니까 12일 정도. 13일 정도까지는 중북부 지방에 비가 걸리다가 그 위에 고기압이 좀 더 확장하는 형태가 보여집니다.
따라서 14, 15일 정도쯤 되면 장맛비가 잠깐 그치면서 무더위가 잠깐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앵커]
다음 주 후반이네요.
[기자]
그렇습니다. 기상청도 현재 예보로는 15일까지, 14~15일 정도까지는 서울, 경기, 강원도 지역에 비를 줬습니다마는 이때는 호우형태가 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고 그 이후에 장맛비가 그치는 걸로 예보는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그 이후에도 오늘 입추입니다. 그러니까 결론적으로 무더위는 갈 때가 됐다는 이야기죠. 고기압이 일시적으로 확장을 해도 이제는 계속 확장하는 게 아니라 수축하는 시기에 접어들었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러니까 15일 이후에 지나가면 고기압이 한 차례 확장을 하더라도 비가 잠깐 그치더라도 그 뒤에는 다시 수축하는 시기에 접어든다.
그렇다면 또 다른 호우가 올 가능성, 그리고 또 다른 태풍이 올라올 가능성이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러니까 올해는 북태평양 고기압이 확장하면서 장마가 끝나더라도 장마 이후에 국지성 호우, 그리고 또 다른 태풍의 유입.
8월 말까지는 경계를 늦추지 말아야 될 것 같고 그 상황들을 면밀하게 봐야 될 것 같습니다. 좋지 않습니다, 지금 상황이.
[앵커]
올해 여름다운 무더위를 느끼기에는 어려운 것 같습니다, 얘기를 들어보니까. 그런데 2018년이 가장 더운 해 아니겠습니까?
역대급 폭염이 일어났고 또 이번에는 역대급 장마가 발생을 했단 말이죠. 여름 날씨 변화 왜 이렇게 심각한 겁니까?
[기자]
온난화 때문에 한반도 기온도 점차 상승하면서 계속 여름은 더운 형태로 바뀌고 있었습니다. 2018년도 같은 경우는 우리나라에 더위를 몰고 오는 고기압 3개가 겹쳤습니다.
원래 무더위를 몰고 오는 북태평양 고기압, 중국 내륙에서 강력하게 발달한 열적 고기압, 그리고 티베트 남서쪽에서 올라오는 티베트 고기압 3개가 동시에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면서 열돔이라고 하죠.
열이 우리나라를 감싸면서 빠져나가지 않고 굉장히 오랜 기간 동안 열대야와 폭염이 이어졌습니다.
[앵커]
40도 가까이 올라가고 그랬던 기억이 있어요.
[기자]
맞습니다. 기상 관측 이래 가장 더웠던 여름으로 기록된 것이 2018년이었습니다. 올해는 지난번에 설명드렸듯이 시베리아죠. 그러니까 북극 지역의 온도가 굉장히 상승했습니다.
그 뜨거운 것이 올해 우리나라에 무더위를 몰고 올 것으로 예상했는데 그렇지 못했습니다. 우리나라는 긴 장마, 많은 비로 작용을 했고요. 오히려 북미나 다른 유럽 쪽에는 무더위로 작용했습니다.
결국 지구 온난화의 형태가 여러 가지 이상기상현상을 일으키면서 그게 한반도에 어떤 식으로 작용하는지는 대체적인 건 무더위로 작용을 하지만 일시적으로 이번 같은 상황이 된다면 이전에 보지 못했던 폭우 그리고 긴 장마, 그리고 집중호우가 어느 지역에 계속해서 내리는 게릴라성 호우, 이전에 볼 수 없었던 그런 굉장히 강력한 이상기후로 우리나라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거죠.
[앵커]
알겠습니다. 이번 주 후반 그리고 다음 주 초까지 날씨 그리고 집중호우 전망 살펴봤습니다. 문화생활과학부 김진두 기자였습니다. 잘 들었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