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시리즈
닫기
이제 해당 작성자의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닫기
삭제하시겠습니까?
이제 해당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불 보이고 대피하면 늦어...2km까지 날아가는 비화에 갇힐 수도 [Y녹취록]

Y녹취록 2025.03.27 오후 02:09
AD
■ 진행 : 김선영 앵커, 정지웅 앵커
■ 출연 : 박재성 숭실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NOW]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 앵커
안동 같은 경우에 산림으로 둘러싸여 있지 않습니까? 이런 상황에서 사람들이 많이 대피해야 되는데 충분한 공간이 마련돼 있을까요?

◇ 박재성
아무래도 산불이라는 것은 어디까지 확산될 수 있을까라는 것이 상당히 예측이 어렵습니다. 지금과 같이 동시다발적으로 여러 곳에서 산불이 발생하고 화선의 길이가 굉장히 길게 됐을 때는 우리가 대피소로 지정했던 데가 대피소로 안전한 장소가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그런 부분들을 단계적으로 하고 선제적으로 산불에 멀리 있는 데까지 대피할 수 있는 게 좋고요. 아무래도 안동이나 산불이 많이 타고 있는 지역에 고령자들이 굉장히 많습니다. 직접적으로 차를 운전한다든지 도보로 걸어서 안전장소로 대피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가능하면 버스라든지 한꺼번에 많은 사람들을 멀리까지 이동시킬 수 있는 운송수단을 동원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수 있겠습니다.

◆ 앵커
미디어 접근성이 떨어지는 분들이 혹시나 대피가 늦지 않을까 이런 걱정이 늘 드는데. 조금 전에 나왔던 속보가 안동, 풍산, 남하, 남성, 임동면 주민분들 대피를 하셔야 될 것 같고요. 일단 산불이 언제 어디로 번질지 모르는 상황이고 불이 보이는 시점에 대피를 하기 시작하면 그때는 늦는 거죠?

◇ 박재성
그렇습니다. 산불이라고 하는 것이 일반적인 화재와 달리 일반 건축물에서의 화재는 차츰적으로 가연물을 태우면서 진행하는데 산불이라고 할 때 가장 많이 나오는 얘기가 비화입니다. 비화라고 하는 것은 날아다니는 불인데 비화가 발생하는 이유가 산불 자체가 열기류가 있습니다. 그 열기류가 강한 상승기류를 만들게 되는 것이고요. 그 상승기류가 타고 있는 나뭇가지를 위쪽으로 빠르게 끌고 올라가고 위쪽으로 굉장히 강한 바람이 불고 있는데. 불에 타고 있는 나뭇가지가 강한 바람을 타면서 날아가게 되는데. 그걸 비화라고 하는데 이 비화가 멀리 날아가게 되면 보통 1km나 2km까지도 날아갑니다.


그래서 현장에서 화재진압을 하고 있는 소방대원들이라든지 특수진화대원들이 위쪽으로 날아가는 비화를 보게 되면 오금이 저린다고 할 정도고 그러다 보니까 자신의 뒤쪽에 산불이 없다가 나중에 보면 산불이 다가오면서 갇혀서 생명을 잃는 경우들도 종종 발생하기 때문에 앞에서 산불이 멀리 보인다고 해서 안심하시면 안 됩니다. 선제적으로 미리미리 대응을 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담 발췌 : 윤현경 디지털뉴스팀 에디터

#Y녹취록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AD
AD

Y녹취록

YTN 뉴스를 만나는 또 다른 방법

전체보기
YTN 유튜브
구독 4,920,000
YTN 네이버채널
구독 5,595,478
YTN 페이스북
구독 703,845
YTN 리더스 뉴스레터
구독 21,068
YTN 엑스
팔로워 361,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