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고위 경제 참모들이 6일(현지시간), 최근 발표된 대규모 상호관세 정책을 강하게 옹호하며 일제히 목소리를 냈습니다.
세계 증시가 요동치고 물가 상승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백악관은 이번 조치가 정당하며 장기적으로 미국 경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케빈 해셋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A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관세가 미국 소비자에게 큰 영향을 줄 것이라 보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CBS방송에서 “상호관세는 연기되지 않는다. 대통령이 이미 발표했고, 이는 농담이 아니다”라고 못박았습니다.
그는 “미국을 상대로 흑자를 내는 국가들이 너무 많다. 글로벌 무역 질서를 바로잡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러트닉 장관은 상호관세 대상에 남극 인근 무인도까지 포함된 것에 대해 “경유지로 활용될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습니다.
관세 정책의 핵심 강경론자인 피터 나바로 백악관 고문은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다우지수가 우리 임기 내 5만까지 오를 것”이라고 밝히며, 시장의 폭락세에도 “팔지 않으면 손해도 없다”는 낙관론을 폈습니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 역시 NBC방송에서 “경기 침체는 단정할 수 없다”며 “우리는 장기적인 번영을 위한 기반을 만들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또 “중국에 20% 관세를 부과한 4년간 물가는 0.7%만 올랐다”며 “관세는 충분히 감당 가능한 수준”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백악관은 전방위적인 비판 여론과 시장 충격에도 불구하고, 상호관세 정책이 미국의 무역 재편과 경제 주권 회복을 위한 핵심 수단이라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습니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