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글로벌 반도체 경쟁에서 국내 기업이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재정 투자를 33조 원으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반도체 등 전략물자를 생산하는 '소재·부품·장비' 중소·중견기업에는 투자보조금을 신설해 최대 50%의 보조금이 지원됩니다.
정부는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글로벌 반도체 경쟁력 선점을 위한 재정투자 강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반도체 인프라 구축과 소재·부품·장비 투자 지원, 차세대 반도체 개발, 우수 인재 확보에 기존 26조 원 보다 7조 원 늘어난 33조 원의 재정이 투입됩니다.
이를 뒷받침 하기 위해 추가경정예산 5천억 원이 편성됩니다.
용인과 평택 반도체 클러스터의 조성을 위해 기업이 부담하는 송전선로 지중화 비용의 70%가 국비로 지원됩니다.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바이오 등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인프라 국비 지원 비율이 기존 15∼30%에서 30∼50%로 상향 됩니다.
반도체를 비롯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바이오 등 첨단전략산업 공급망 안정품목과 전략물자를 생산하는 중소·중견기업에는 투자보조금이 신설되는 데, 신규 투자규모의 최대 50%까지 지원됩니다.
기업당 200억 원 한도로, 비수도권 중소기업이 100억 원을 투자할 경우 최대 50억 원까지 보조금이 지급됩니다.
정부는 또 기존 17조 원 규모의 반도체 저리대출을 3조 원 이상 늘려 반도체 분야에 20조 원 이상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YTN 오인석 (insukoh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