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유학생 가족 보이스피싱 주의
[앵커]
해외에 유학생 자녀와 가족을 둔 우리 국민을 대상으로 한 보이스피싱 범죄가 계속 일어나고 있습니다.
범인들이 휴대전화를 해킹한 뒤 가족 관계까지 모두 파악하고 전화를 걸기 때문에 속아 넘어가기 쉬운데요.
최근 캐나다에선 인공지능(AI) 기술로 가족의 목소리까지 변조한 수법이 나왔다고요?
[사무관]
네, 캐나다 밴쿠버에 가족을 둔 우리 국민이 보이스피싱 범죄로 금전적인 피해를 보는 일이 발생했는데요.
범인들은 인공지능(AI) 기술을 악용해 변조한 가족의 목소리를 들려주면서, 가족을 감금하고 있으니 돈을 준비하라고 협박했습니다.
자녀 이름까지 언급하는 가족의 목소리를 들은 피해자는 의심할 여지 없이 국내에 있는 공범에게 거액을 전달했습니다.
이 밖에도, 자녀의 우는 목소리를 짧게 들려주면서 마치 납치한 것처럼 연기하는 수법도 있는데요.
가족과 연락이 닿기 어려운 현지 심야 시간대에 맞춰 범행을 시도해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앵커]
보이스피싱 범죄 수법이 갈수록 교묘해하고 있는데요.
자녀의 안전을 담보로 걸려 오는 보이스피싱 범죄를 피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사무관]
네, 자녀의 휴대전화 번호로 납치나 감금 등을 언급하는 전화가 오면 실제로 위급한 상황인지 먼저 확인하는 게 중요합니다.
일단 걸려온 전화를 끊은 뒤 자녀의 휴대전화로 직접 통화하시고요.
범인이 전화를 못 끊게 하면 다른 가족의 전화로 연락을 시도해야 합니다.
본인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평소 가족만이 알 수 있는 질문이나 암호를 만들어 두는 게 좋고요.
국내에서는 해외에 있는 자녀의 친구나 지인 등 비상 연락처를 메모해 둬야 합니다.
해외에서는 밤늦은 시간이라도 되도록 국내 가족에게서 걸려온 전화는 받고, 위급 상황을 대비해 영사콜센터 무료전화 앱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데요.
위치정보제공에 동의하고 무료통화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의 위치가 파악돼 상담 시 보다 신속한 영사 조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아울러, 해외에 있는 가족의 납치나 감금, 상해를 빙자한 전화가 오면 경찰에 신고하고, 금전 피해가 난 경우에는 금융감독원에 연락해 도움을 요청하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해외에 유학생 자녀와 가족을 둔 우리 국민을 대상으로 한 보이스피싱 범죄가 계속 일어나고 있습니다.
범인들이 휴대전화를 해킹한 뒤 가족 관계까지 모두 파악하고 전화를 걸기 때문에 속아 넘어가기 쉬운데요.
최근 캐나다에선 인공지능(AI) 기술로 가족의 목소리까지 변조한 수법이 나왔다고요?
[사무관]
네, 캐나다 밴쿠버에 가족을 둔 우리 국민이 보이스피싱 범죄로 금전적인 피해를 보는 일이 발생했는데요.
범인들은 인공지능(AI) 기술을 악용해 변조한 가족의 목소리를 들려주면서, 가족을 감금하고 있으니 돈을 준비하라고 협박했습니다.
자녀 이름까지 언급하는 가족의 목소리를 들은 피해자는 의심할 여지 없이 국내에 있는 공범에게 거액을 전달했습니다.
이 밖에도, 자녀의 우는 목소리를 짧게 들려주면서 마치 납치한 것처럼 연기하는 수법도 있는데요.
가족과 연락이 닿기 어려운 현지 심야 시간대에 맞춰 범행을 시도해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앵커]
보이스피싱 범죄 수법이 갈수록 교묘해하고 있는데요.
자녀의 안전을 담보로 걸려 오는 보이스피싱 범죄를 피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사무관]
네, 자녀의 휴대전화 번호로 납치나 감금 등을 언급하는 전화가 오면 실제로 위급한 상황인지 먼저 확인하는 게 중요합니다.
일단 걸려온 전화를 끊은 뒤 자녀의 휴대전화로 직접 통화하시고요.
범인이 전화를 못 끊게 하면 다른 가족의 전화로 연락을 시도해야 합니다.
본인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평소 가족만이 알 수 있는 질문이나 암호를 만들어 두는 게 좋고요.
국내에서는 해외에 있는 자녀의 친구나 지인 등 비상 연락처를 메모해 둬야 합니다.
해외에서는 밤늦은 시간이라도 되도록 국내 가족에게서 걸려온 전화는 받고, 위급 상황을 대비해 영사콜센터 무료전화 앱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데요.
위치정보제공에 동의하고 무료통화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의 위치가 파악돼 상담 시 보다 신속한 영사 조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아울러, 해외에 있는 가족의 납치나 감금, 상해를 빙자한 전화가 오면 경찰에 신고하고, 금전 피해가 난 경우에는 금융감독원에 연락해 도움을 요청하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