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무려 4.8% 상승하며 2008년 금융위기 이후 13년 6개월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습니다.
안 오른 게 없는 상황인데, 대기업뿐 아니라 식당 같은 일상 현장에서도 가격 인상 압박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식당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를 연결합니다. 이승윤 기자!
[기자]
네, 경기도 파주시 칼국숫집에 나와 있습니다.
[앵커]
이 기자가 나가 있는 식당에선 칼국수 가격이 얼마입니까?
[기자]
네, 한창 점심 손님을 맞을 준비에 들어간 이 식당의 대표 메뉴인 칼국수는 9천 원입니다.
지난 2월 가격을 천 원 인상했습니다.
하지만 식당 주인은 가격을 더 올려야 하나 고민에 빠졌습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국제 곡물 가격이 오르고 밀가루 가격도 올랐기 때문입니다.
최근 서울 지역에서 칼국수 가격은 처음으로 평균 8천 원을 넘어선 상태입니다.
이 식당의 박영산 대표와 현재 물가 인상이 얼마나 심각한 상황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박영산]
안녕하세요.
[기자]
지금 물가 인상이 자영업자들한테 어떻게 피부로 다가오고 있나요?
[박영산]
저희가 코로나 사태 기간 동안 2차례 정도 20~30% 정도 올렸어요.
그래서 버티고 있다가 도저히 못 버텨서 올해 1월에 저희가 가격을 한 번 올렸었거든요.
그런데 우크라이나 사태 때문에 또 5월에 한 번 오른다고 해서 사실 저희도 눈치 보고 있는 상황이에요.
그래서 아마 하반기에 오르면 저희도 어쩔 수 없이 가격을 올려야 되는 상황입니다.
[기자]
그러면 지금 가격을 올려야 되나 유지해야 되나 고민이 많으실 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고 계십니까?
[박영산]
지금 현재로서는 눈치보고 있는 상황이에요.
왜냐하면 음식 가격 올렸다가 오기 시작한 손님들 놓칠까 봐 저희 사장님도 되게 눈치 보고 있거든요.
그러면 하반기에 올리면 그때는 더 이상 방법이 없어요. 올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에요.
[기자]
지금 분식 같은 서민음식 같은 경우는 사실 박리다매, 그러니까 가격을 싸게 하고 많이 파는 게 보통 일반적인 정책인데 지금 이런 정책이 통하던가요?
[박영산]
이미 지인분들 중에 박리다매로 파셨던 매장분들 많은 분들이 폐업을 하셨어요.
지금은 음식 가격을 제대로 받고 음식을 제대로 내야 손님들이 오세요.
그러니까 살아남기 위해서는 음식을 제대로 내기 위해서 사실 재료비를 더 들여야 되는 수밖에 없어요.
[기자]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이처럼 박리다매로는 분식 업체들이 살아남기가 힘든 상황입니다.
지금 그래서 이 업체 같은 경우도 특별한 칼국수, 특히 젊은층을 고객으로 늘리기 위해서 다양한 신메뉴를 내놓고 있는데요.
그래서 여기 보시는 로제 칼국수처럼 신세대들이 좋아할 만한 특이한 메뉴들을 내놓고 있습니다.
제가 맛이 괜찮은지 한번 시식을 한번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로제칼국수라고 해서 로제파스타를 떠올리는데요.
칼국수의 매운 맛을 치즈가 잘 잡아주고요. 로제의 달달한 소스가 맛이 괜찮은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렇다 보니까 소비자 물가가 정말 많이 올랐습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에서 서울과 경기도 400여 개 유통업체에서 생활필수품 35개 품목을 조사해 봤습니다.
올해 1분기에 1년 전보다 평균 5.8% 가격이 상승했는데 밀가루는 15.2%로 가장 많이 올랐습니다.
직전 분기와 비교해보면 평균 3.9% 가격이 상승했는데 밀가루는 10.3%로 상승률이 높았습니다.
오늘 발표된 통계청의 4월 소비자 물가 지수는 전월 대비 0.7%, 1년 전 대비 4.8%포인트상승했습니다.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13년 6개월 만에 최고치입니다.
생활 물가 지수는 전월 대비 0.6%,1년 전 대비 5.7%포인트 상승했는데 특히 식품은 전월 대비 5.4%포인트 올랐습니다.
문제는 이런 물가 상승이 내후년 말까지 계속될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이 나오고 있다는 점입니다.
세계은행은 올해 밀 가격은 40%, 곡물 전체 가격은 22.9% 치솟을 것이라며 이같이 내다봤습니다.
이에 따라 사회적 거리 두기를 어렵게 이겨낸 자영업자들은 또다시 국제 곡물가 인상이라는 대형 악재를 맞아서 생존 경쟁에 직면했습니다.
지금까지 경기도 파주 칼국숫집에서 YTN 이승윤입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