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신재생 에너지 발전 비율이 높은 제주에서는 초과발전이 일어날 때 강제로 발전시설을 차단하는 출력제어가 지난해 100번 넘게 발생했습니다.
민간 발전사업자의 피해가 늘어나면서 정부와 지자체가 ESS 저장장치 확대에 나섰지만 분산 에너지 특구 지정 등 좀 더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KCTV 제주방송 문수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제주지역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은 18%로 전국 최고 비중입니다.
하지만 엇갈린 공급과 수요로 인한 출력제어 문제는 민간 사업자에게 고스란히 넘어가며 피해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난 2015년 제주에서 발생한 출력제어는 3회에 불과했지만, 점점 늘더니 지난해에는 132회로 급증했습니다.
이 같은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하고 전력 수급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정부가 에너지 저장 장치, ESS 설치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내년에는 65MW, 2025년 45MW, 2026에는 50MW 등 앞으로 3년 동안 도내 모두 3곳에 160MW 규모의 ESS 단지를 구축한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김영환 / 전력거래소 제주지역본부장 : 제주도의 현안 문제인 초과발전으로 민간발전사업이 손실을 보고 있잖아요. 이런 초과발전이 내년부터는 많이 해소될 겁니다.]
다만 ESS는 말 그대로 저장장치일 뿐 출력제어를 해결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은 아닙니다.
제주도가 에너지 자립 섬을 지향하며 재생에너지 확대 계획을 밝힌 만큼 전력 인프라와 제도 등 전반적인 대책이 함께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올 하반기 제주에 우선 도입될 전력 가격 입찰제는 그동안 대상이 아니었던 재생에너지 사업자도 입찰에 참여하도록 하면서 자율성 보상과 경쟁이 예상됩니다.
전력 시장의 변화가 예고된 상황에서 분산에너지 시스템으로 전환을 위한 법과 제도 마련도 시급해 지고 있습니다.
[유승훈 / 서울과학기술대 창의융합대학장 : 남는 전기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활용할지에 대한 준비를 하면서 재생에너지 보급이 확대됐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했던 점이 아쉽죠. 안정성을 꾀하면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은 분산에너지특구로 지정되면 도움이 되지요.]
새로운 에너지 정책을 청사진을 그린 제주도.
출력제어 등 현재 드러난 부작용을 해소하고 제대로 된 에너지 자립시대로 도약할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KCTV 뉴스 문수희입니다.
YTN 문수희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