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닫기
이제 해당 작성자의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닫기
삭제하시겠습니까?
이제 해당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아님 말고 일단 예매!...'열차 노쇼족' 대책 없나?

2024.06.22 오전 05:32
AD
[앵커]
명절은 물론 평소 주말이나 연휴에도 열차표 끊기 힘들어 고생하신 분들 많죠.


취소 수수료가 아예 없거나 소액이다 보니 열차표를 무분별하게 끊어놨다가 취소하는 사람이 많은 것도 큰 원인 중의 하나인데, 적절한 규제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김기봉 기자입니다.

[기자]
KTX나 SRT를 자주 이용하는 사람들 대부분이 차표 구하기가 힘들어 애를 먹은 경우가 있습니다.

[김철중 / 전남 순천시 : 급하게 표를 구했는데 없는 경우에는 시간 단위로 체크만 해서 있으면 다행인 것이고 없으면 하는 수 없죠 뭐]

[조윤아 / 대구 수성구 : 아무래도 표가 없다 보니 기다렸다가 수시로 들여다봐야 하고 아니면 다른 방법으로 가야 하는데 많이 불편하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어요]

수요가 몰려 차표 자체가 부족할 때도 있지만, 무분별하게 표를 예매했다가 취소하는 행태도 큰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얼마나 많은 표가 취소될까?

지난해 코레일에서는 전체 발매량의 34%가 넘는 6천3백만 장이 취소됐고, SRT는 예매 열차표의 44% 이상이 취소됐습니다.

그나마 취소 표의 57%는 출발 하루 이전에 취소됐지만, 15%는 출발 3시간 전, 출발 직전에 취소된 것도 27%나 됩니다.

른 이용객들은 취소 표가 나올 때까지 노심초사 예매 사이트를 드나들다 결국 열차를 포기하고 다른 교통수단을 찾기 일쑤입니다.

예약대기 기능이 있지만, 좌석의 10%에 불과합니다.

열차표를 일단 예매했다가 아니면 그냥 취소하는 관행이 나타나는 데는 취소 수수료가 싼 것도 한몫했다는 분석입니다. 값싼 취소 수수료는 '양날의 검'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정상적인 소비자들에겐 착한 수수료지만, 한편으로는 일단 끊어놓고 보는 '열차 노쇼족'을 양산하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는 지적입니다.

특히 한꺼번에 많은 표를 끊는 단체 구매의 경우 좀 더 엄격한 규제가 고려돼야 한다는 것입니다.

[김상철 / 공공교통 정책위원장 : 실제로 KTX나 SRT 같은 경우 특정 여행지를 중심으로 해서 집단적인 매입 방식으로 표를 확보해서 관광상품을 판매하는 관행이 여전히 있습니다. (제도적 보완 마련에 있어서) 집단적 구매와 취소에 집중을 했으면 좋겠다….]

또한, 취소 열차표의 상당 부분이 결국 다른 승객으로 채워지기 때문에 코레일이나 SR이 무분별한 취소 행태를 막기 위한 적극적인 장치 마련에 나서지 않는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지난해 코레일과 SR은 각각 311억 원과 68억 원의 취소 수수료를 받았습니다.

YTN 김기봉입니다.



촬영기자 : 이동규
디자인 : 백승민



YTN 김기봉 (kgb@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특별 이벤트
AD
AD

Y녹취록

YTN 뉴스를 만나는 또 다른 방법

전체보기
YTN 유튜브
구독 4,510,000
YTN 네이버채널
구독 5,657,982
YTN 페이스북
구독 703,845
YTN 리더스 뉴스레터
구독 11,649
YTN 엑스
팔로워 361,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