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마을 협동조합 등의 사회적 기업은 이윤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약자를 돕고 공공의 가치를 실현하는 착한 기업입니다.
정부는 이 같은 사회적 기업이 일자리 창출은 물론 양극화도 문제까지 푸는 열쇠라고 보고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차유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아이스 아메리카노 맞죠? 4,500원입니다."
커피 주문을 받고 만드는 직원 모두가 장애우입니다.
지난 2007년 처음 문을 열어 3년 뒤 사회적 기업 인증을 받은 이 커피 전문점은 발달장애우를 고용해 커피뿐 아니라 쇼핑백도 만들어 팝니다.
사회적 기업은 이윤 추구를 최대 목적으로 하는 일반 기업과 다릅니다.
이윤보다는 빈곤층과 고령층, 장애우 같은 취약 계층을 돕거나 지역 공동체 삶의 질을 높이는 게 주목적입니다.
선진국에서는 이미 이 같은 사회적 기업들이 국가 경제의 중요한 축을 담당합니다.
유럽연합 총생산 가운데 사회적 경제 분야 비중은 10%, 전체 고용의 6.5%나 차지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사회적 기업 일자리 비중은 아직 1.4%에 불과합니다.
그나마 후원금이 없으면 운영할 수 없는 영세한 곳들이 적지 않습니다.
[유점화 / 보호작업센터 대표 : 44명의 근로 장애인 고용하려면 급여가 나가고, 4대 보험 나가야 해서 인건비 지급하는 달이 되면 적자 상태입니다.]
정부는 스스로 설 수 있는 튼튼한 사회적 기업이 많아지면, 새 일자리가 생겨나고 양극화도 줄어들 거라고 보고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우선 창업 단계에서는 펀드를 조성해 종잣돈을 마련해 주고, 기금을 통한 보증도 서줍니다.
공공 입찰 시 사회적 기업에는 가점을 줘서 일감을 따낼 수 있는 기회를 크게 늘려주기로 했습니다.
대학은 사회적 기업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착한 기업에 도전하는 청년들도 돕기로 했습니다.
[이찬우 / 기획재정부 차관보 : 학생들이 사회적 경제 기업을 직접 체험하도록 학교협동조합의 설립과 운영을 지원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대학 내에 사회적 기업 리더과정 신설하고….]
특히, 문화 예술, 주거 환경 관련 사회적 기업이 다양한 분야에 진출하고 프랜차이즈로도 성장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연말까지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YTN 차유정[chayj@ytn.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