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시리즈
닫기
이제 해당 작성자의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닫기
삭제하시겠습니까?
이제 해당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임산부 배려석 센서 달자" 시민 제안...서울시 '난색' [앵커리포트]

앵커리포트 2024.06.27 오후 10:45
AD
지하철 한쪽에 마련된 임산부 배려 자리.


임신과 출산을 장려하고 임산부를 배려하는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도입됐죠.

지난 2013년 서울에서 처음으로 도입됐고 지금은 전국적으로 시행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임산부 배려석에 임산부가 아닌 사람들이 앉아 있는 모습,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임산부 배려석을 알리는 표시도 있는데도 말이죠.

물론, 배려석인 만큼 앉아 있다가 임산부가 오면 비켜줄 순 있습니다.

하지만 임산부보다 일반 승객이 더 많이 이용하고, 심지어 자리를 양보하지 않아 정작 임산부가 앉지 못하는 일이 빈번해 무늬만 임산부 배려석이란 말이 나오기도 합니다.

관련 민원도 해마다 꾸준히 접수되고 있는데요.

재작년과 지난해 모두 7천 건을 넘겼고, 올해도 지난달까지 이미 2,400건을 넘었습니다.

임산부석을 이용하기 힘들다는 민원 접수가 대부분이었습니다.

실제 지난 23일, 한 중년 남성이 임산부 배지를 달고 있는 여성을 보고도 양보하지 않아 지하철 내 안내 방송이 나오는 일도 있었습니다.

관련 민원이 잇따르자, 지하철 임산부 배려석에 임산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하자는 시민 제안까지 나왔습니다.

이미 비슷한 시스템이 도입된 지역도 있는데요.

부산은 2017년, 전국 최초로 임산부 배려석 알리미 '핑크라이트'를 설치했는데, 발신기를 소지한 임산부가 타면 배려석에 설치된 수신기가 깜빡이고 음성 안내가 나옵니다.

광주에서도 일반 승객이 임산부 배려석에 앉으면 센서가 감지돼 자리를 비워달라는 안내가 흘러나옵니다.

대전 역시, 불빛과 안내 음성이 나오는 '위드베이비'란 시스템을 도입해 임산부들이 배려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시민들은 다른 지역처럼 서울 지하철도 대책을 마련해달란 의견을 냈는데 서울시는 난색을 표했습니다.

일반 승객이 배려석에 앉는걸 제지할 법적 근거가 없기 때문입니다.

센서로 인한 불빛이나 경고음으로 다른 승객의 불만이 나오고, 시민들 사이 성별, 세대별 갈등이 생길 수 있다는 겁니다.

또, 다른 지역보다 규모가 큰 서울 지하철은 인위적 장치를 도입하면 설치비 46억 원에 유지보수비 연 2억 원까지 큰 비용이 들어 당장 도입은 어렵단 입장입니다.


온라인에선 배려가 권리는 아니다, 임산부에게 양보하자, 배려와 정이 사라진 것 같아 아쉽다는 의견 등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또 국가 재난 수준의 저출생 상황에서 서울시가 임산부를 위한 새로운 정책 도입을 전향적으로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까지 나오는데요.

그런데 지금 당장 필요한 건 임산부 그리고 저출생에 대한 시민의식 전환, 그리고 현실 속 따뜻한 배려가 아닐까요?



YTN 유다원 (dawon0819@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특별 이벤트
AD
AD

Y녹취록

YTN 뉴스를 만나는 또 다른 방법

전체보기
YTN 유튜브
구독 4,510,000
YTN 네이버채널
구독 5,657,240
YTN 페이스북
구독 703,845
YTN 리더스 뉴스레터
구독 11,661
YTN 엑스
팔로워 361,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