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문화
닫기
이제 해당 작성자의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닫기
삭제하시겠습니까?
이제 해당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우리 밤하늘 담은 조선 실학자의 '서양식 천문시계' 보물 된다

2019.04.29 오후 05:20
AD
18세기 실학자가 서양의 천문시계 '아스트롤라베(Astrolabe)'를 우리 방식으로 해석해 만든 천문 관측 도구 '혼개통헌의'가 보물이 됩니다.
이미지 확대 보기

우리 밤하늘 담은 조선 실학자의 '서양식 천문시계' 보물 된다

고대 그리스에서 처음 만들어진 천문시계 '아스트롤라베'는 중세 이슬람 문화권에서 본격적으로 발전한 뒤 유럽으로 퍼져나갔습니다. 옛날 여행자들은 이 천문시계를 통해 하늘의 별을 관찰해 정확한 시간, 그리고 가야 할 방향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미지 확대 보기

우리 밤하늘 담은 조선 실학자의 '서양식 천문시계' 보물 된다

(▲ 서양의 천문시계 '아스트롤라베', 출처 : 게티이미지)

정조 때인 1787년, 실학자 유금(1741∼1788)은 '아스트롤라베'를 받아들여 우리 식의 천문시계를 만들었습니다. 유금은 유명한 실학자인 유득공의 숙부로 조선 후기 대표적 실학자 중 한 명인데요. 자신의 호를 '기하(幾何)'로 할 정도로 수학과 천문학에 조예가 깊었다고 합니다.

유금은 마테오 리치의 제자인 명나라 학자 이지조가 서양의 해설서를 번역한 '혼개통헌도설'을 토대로 이 천문시계를 제작했습니다.

금동으로 만들어진 '혼개통헌의'는 별의 위치와 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원반 모양 '모체판'과 별의 관측 지점을 알려주는 알파벳 T자 모양의 '성좌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미지 확대 보기

우리 밤하늘 담은 조선 실학자의 '서양식 천문시계' 보물 된다

판에 새겨진 별자리는 기본적으로 중국 번역서를 토대로 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유금은 서양의 천문시계와 다르게 우리나라에서 잘 볼 수 있는 밤하늘 중심으로 별자리를 새겨넣었습니다.

자세히 살펴보면 '견우별'과 '직녀별', '스피카'와 '뱀주인 자리' 등을 한자로 표시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미지 확대 보기

우리 밤하늘 담은 조선 실학자의 '서양식 천문시계' 보물 된다

'혼개통헌의'는 동아시아에서 서양의 천문시계를 받아들여 만든 유일한 사례입니다. 또 서양의 천문학과 기하학을 이해하고 창의적으로 만들어낸 조선 지식인의 수준을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큽니다. 문화재청은 그 가치를 널리 알릴 필요가 있다면서 '혼개통헌의'를 보물로 지정 예고했습니다.
이미지 확대 보기

우리 밤하늘 담은 조선 실학자의 '서양식 천문시계' 보물 된다

1930년대에 일본인이 사들여 일본으로 가지고 갔던 '혼개통헌의'는 과학사학자인 고 전상운 교수의 노력으로 2007년 국내로 돌아온 사연도 품고 있습니다. 현재는 경기도 남양주에 있는 실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이지은[jelee@ytn.co.kr]

AD
AD

Y녹취록

YTN 뉴스를 만나는 또 다른 방법

전체보기
YTN 유튜브
구독 4,770,000
YTN 네이버채널
구독 5,658,444
YTN 페이스북
구독 703,845
YTN 리더스 뉴스레터
구독 15,565
YTN 엑스
팔로워 361,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