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국제
닫기
이제 해당 작성자의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닫기
삭제하시겠습니까?
이제 해당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뉴있저] 잠시 뒤 '코로나19' 극복 G20 정상회의..."한국 경험 공유"

2020.03.26 오후 07:49
AD
■ 진행 : 변상욱 앵커
■ 출연 : 백순영 / 가톨릭의대 미생물학교실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잠시 뒤 문재인 대통령을 포함해 주요 20개국 정상들이 화상회의로 국제적인 공조 방안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특히 우리나라를 향해서 방역 경험을 공유해달라는 국제사회의 요청이 이어지고 있어서 우리의 방역 사례도 집중적으로 다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 백순영 가톨릭의대 미생물학교실 교수님이 옆에 나와 계십니다. G20 정상회의인데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회의입니다. 이렇게 되면 우리의 방역모델이 주요 의제가 될 것 같고 경험을 나누어달라, 이것저것 질문도 많아질 것 같습니다. 어떤 얘기들이 주로 공유가 될까요?

[백순영]
일단 방역에는 방역 부분도 있지만 진료, 얼마나 진료를 잘했느냐 하는 부분도 있는데 일단 제일 먼저 유럽이나 미국 같은 나라들은 우리보다 훨씬 더 민주사회라고 알고 있었는데 지금 일어나는 일들을 보면 민주적이지 않은 부분이 너무 많지 않습니까? 상점을 폐쇄한다든지 여러 가지 행동들을 제약하는 것들을 굉장히 많이 하고 있는데 아무런 제한도 없이 정부들은 그런 걸 하고 있어요. 그런데 우리나라를 한번 살펴보죠. 우리는 처음부터 이것이 민주적 방역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아주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했습니다.

그것이 굉장히 우리들의 공포심을 없애는 데 주요한 역할을 했죠. 부작용으로는 지자체들이 너무 많이 공포를 해서. 동선을 이야기하면서 어떤 사람이 특정되는 상황까지도 일어났었는데 이건 그다음에는 다 가이드라인이 됐었고요. 그다음에 환자가 생기면서부터, 31번 환자가 생기면서부터는 엄청나게 많은 환자가 생겼는데도 불구하고 그 많은 진단을 빨리 할 수 있었다 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었죠. 이게 어떤 데서 중요하냐 하면 일단 환자를 빨리 찾아냄으로 해서 격리를 시키고 또 치료를 함으로 해서 그 환자가 치료시기를 놓치지 않고 바로 중환자로 가지 않게끔 치사율을 굉장히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죠. 또 이런 거에 따라서 지역사회 전파를 굉장히 빨리 막을 수 있었다는 점.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는 일단 지역사회 전파를 막을 수 있었고 지금도 우리는 동선을 찾아가면서 환자를 찾아낼 수 있다 하는 것이죠. 또 한 가지는 탄력성 있게 운용을 함으로 해서 우리는 처음부터 중국의 입국금지를 하지 않았는데도 우한이나 후베이는 했습니다.

이건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었죠. 만약 거기도 안 했다면 그 우한이나 후베이에 있는 환자들이 우리나라에 노출되게 되면 이게 전혀 방역이라는 게 말이 안 되는 상황이었거든요. 다른 나라들, 이탈리아라든지 이런 나라들의 지역사회 노출을 보면 우리가 잘 알 수 있어요. 또 하나는 거리두기라는 것이 우리는 민주적으로 우리가 자발적으로 지금 거리두기 하고 있지 누가 나가지 말라고 해서 안 나가는 거 아니거든요. 이런 민주적인, 사회적인 거리두기가 과연 우리 시민의식으로 가능할까 생각을 했었는데 실제로는 가능했다는 거죠.

[앵커]
하긴 예를 들면 유럽사회에서 셋 이상은 모이지 말라 어떻게 이런 명령이 가능했는지도 참 의아스러운데 우리는 그런 이야기를 안 해도 알아서 진행이 됐으니까요.

[백순영]
또 하나는 진료, 진찰 또는 치료의 방면인데요. 중국은 너무 급하다 보니까 사실은 치료방침이라든지 어떤 치료제를 사용하는지 이런 것들이 거의 대부분 환자 수는 많았지만 이렇게 투명하게 또 잘 정리된 것이 없었는데 우리나라는 대구나 경북지방에 의료공백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것을 다 헤쳐나오면서 지금 현재는 의료공백 상태가 아니거든요. 그러면 어떻게 하면 이렇게 잘할 수 있을까. 물론 시행착오가 많죠. 이게 신종 바이러스이기 때문에 어떤 시행착오도 없이 완벽하게 막는다는 것은 인간으로서는 불가능한 일이었을 거고요.

시행착오를 겪으면서도 우리나라 사람들의 특유의 빨리빨리 하면서도 열심히 한다는 것. 즉 유럽이나 미국의 의사들은 밤새고 이런 일 안 하는데 우리는 의료진이 의료공백이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모든 사람들이 거기 있었지 또 외부에서 모든 의료진들이 도와주면서까지도 그 자리를 지켰다는 것이 굉장히 중요한 일인데 유럽에서는 그런 일들이 잘 안 일어나고 있는 게 불행합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이런 우리나라의 경험이 조금 뒤 G20 회의에서 공유가 될 것 같은데요. 우리나라와 외국이 다른 점이 우리나라는 검역을 강화하지만 외국인의 입국은 금지하고 있지 않잖아요. 다른 나라에서는 봉쇄정책을 쓰는데 반해서요. 그리고 특히 문재인 대통령은 오히려 기업인들에 대해서는 이동제한을 하지 말자, 풀어주자. 이런 취지로 발언을 했고 또 잠시 뒤 G20 회의에서도 이 내용을 강조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아무래도 경제를 생각한 조치겠죠?

[백순영]
그러니까 외국 사람들이 얘기하는 것들도 코로나바이러스 때문에 죽는 게 아니라 굶어죽겠다는 말이 나올 수 있는 것이거든요. 우리나라는 특히 그렇지 않습니까? 우리나라는 내수보다는 일단 수출을 해서 먹고살아야 하는 나라이기 때문에 이 부분을 중점적으로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고 사실은 금지는 아닙니다, 어느 나라든지. 중국도 2주 격리를 시킨다는 것이지 금지를 한 건 아닌데 실제로 하루이틀 출장 갔는데 2주를 격리시키면 가겠습니까?

일본도 마찬가지예요. 우리를 2주간 격리를 시키는데 진단도 없이 자비로 그것도 하라고 하는 거거든요. 아쉬운 것은 우리도 일본에 대해서 정도는 당신네들 방역은 우리는 못 믿겠으니까 2주 격리시키고 그건 자비로 해라 이렇게 할 수 있었으면 좋았을 텐데 그 부분은 아쉽고요. 우리나라는 근본적으로 유럽에서 들어오는 사람들도 전수검사는 하지만 전수조사를 해서 일단 양성이 나오면 병원으로 가고 음성이 나올 경우에는 2주 격리하는 이런, 결국은 자가격리에 준하는 것이거든요. 그런데 미국은 지금 유럽보다는 약간 위험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전수조사까지는 할 수가 없어요.

우리 방역 역량이 거기까지 전부 다 하면 너무나 모자라기 때문에 탄력적으로, 미국도 만약에 환자 수가 많이 늘어나고 양성률이 많이 늘어난다면 또 그렇게 해야 되겠죠. 또 그만큼 국민의 상황이 좋아질 수도 있기 때문에 그런 여러 의료진들, 장비들 모든 것을 다 합쳐서 해야 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런 탄력적인 운영이 굉장히 필요하다. 최악의 상황으로 가면 우리도 다 격리시킬 수도 있고 최대한의 격리 방침을 할 수는 있겠지만 지금 상황에서는 아주 적절한 조치라고 생각합니다.

[앵커]
그런데 내일부터는 미국에서 들어오는 모든 사람에 대해서 격리조치를 해야 한다고, 자가격리를 권고했다고 하더라고요.

[백순영]
그런데 좀 다르죠. 미국에서 들어오는 경우에 있어서는 모든 사람을 다 진단하지는 않거든요. 2주간 자가격리를 하는데 10명 중 9명은 내국인이기 때문에, 결국은 내국인을 못 들어오게 할 수는 없는 거 아닙니까? 그러니까 2주간 자가격리를 하면서 그동안에 증상이 나오면 그때는 진단을 하겠다는 거니까 자가격리 수칙만 잘 지켜주신다면 굉장히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는 것이고 또 단기체류자인 경우에 있어서는 단기체류인데 2주간을 격리를 시킨다면 그 자체가 의미가 없지 않습니까? 그러니까 이런 경우는 단기체류자는 일단 진단을 하고 음성이 나오면 그때 하겠다는 것이죠.

[앵커]
알겠습니다. 그런 것은 전문가들의 판단에 맡겨봐야겠죠. 그때그때 탄력성 있게 운영하는 게 사실 어려운 문제이기도 하겠습니다. 그런데 진단키트를 달라고 하는 나라 또는 사겠다고 하는 나라가 계속 늘어나는 것 같습니다. 캐나다 총리도 오늘 통화에서 진단키트를 구해야겠다고 이야기했다고 하더라고요.

[백순영]
이 세상에서 제일 어려운 승인이 FDA에서 진단키트를 승인받는 것입니다. 미국이 지금 어려운 이유가 갑자기 많은 진단키트를 승인을 받으려니까 못 쫓아가는 것이거든요. 그런데 어제 대통령께서 가신 씨젠이라는 회사는 어제 FDA 승인을 받았거든요. FDA 승인만 받으면 전 세계 어디에서도 팔 수 있습니다. 미국도 들어가고요. FDA 승인이 너무 시간이 많이 걸리고 또 어렵기 때문에 대통령하고 이야기가 돼서 우리나라처럼 신속승인을 할 수 있게끔 조치를 하겠다는 것인데 과연 FDA가 그렇게 말을 잘 들을지는 모르겠습니다마는 일단 평가를 해서 승인을 받을 수 있고요. 그 이외에 유럽에 CA 승인이라는 것이 있어요.

이것은 평가라기보다는 대부분 시험성적서 같은 것들을 내서 승인을 받게 되면 다른 나라들에서는 다 쓸 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 키트들은 대부분 우리나라는 5개의 승인을 받고 있는데 그 이외의 벤처회사들도 진단키트 많이 우수한 것들이 나와 있어요. 그것들이 우리 수출 승인을 받았고 CA 승인을 받아놓은 상황이기 때문에 우리나라 진단키트가 세계적으로 널리 수출될 수 있는 길은 열려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어떻습니까? 우리나라 진단키트 개발의 실력 자체가 높은 겁니까, 동작이 빨랐던 겁니까?

[백순영]
동작이 빨랐다는 게 맞겠죠. 미국이 세계 최고고 유럽의 국가들도 진단... 일본도 그렇고요. 진단 능력이 우리만 못한 게 아닙니다. 훨씬 더 잘 만들 수 있는데 너무 급하다 보니까, 또 일본은 방역을 안 하다 보니까 그게 늦어진 것이고요. 우리는 벤처회사들이 진단회사들이 굉장히 대기업은 아니지만 상장되어 있는 회사들도 많고 실력이 굉장히 높고 또 연구진들이 아주 훌륭한 키트들을 많이 만들어냈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변이가 어느 정도 일어나도 완전히 잡을 수 있는 새로운 파인툴이라고 볼 수 있죠. 잘 조율될 수 있는 이런 키트까지 만들어내는 상황이기 때문에 우리나라 진단키트 기술은 지금으로서는 신속하게 만들었다는 것이 훨씬 더 우수한 점으로 볼 수가 있는 것입니다.

[앵커]
잘 알겠습니다. 아무튼 하루빨리 이것 끝내고 정상으로 돌아갔으면 하는 간절한 바람인데 그래도 우리가 세계의 모델이 되고 있다니까 정말 그나마도 그중에서도 참 반가운 소식이기는 합니다. 백순영 교수님, 오늘 고맙습니다.
AD
AD

Y녹취록

YTN 뉴스를 만나는 또 다른 방법

전체보기
YTN 유튜브
구독 4,410,000
YTN 네이버채널
구독 5,676,334
YTN 페이스북
구독 703,845
YTN 리더스 뉴스레터
구독 11,075
YTN 엑스
팔로워 361,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