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시리즈
닫기
이제 해당 작성자의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닫기
삭제하시겠습니까?
이제 해당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기레기 발작" 이재명 옹호에 "이재명 지키려다 모두 놓칠 수도" [Y녹취록]

Y녹취록 2024.06.17 오후 01:54
"애완견 모독, 그냥 기레기"…이재명 발언 옹호
민주당 노종면 "언론이 애완견 아님을 입증해야"
"기레기 발작증세"…이재명 지원사격 나선 양문석
AD
■ 진행 : 김선영 앵커
■ 출연 : 서용주 맥 정치사회연구소장, 김병민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NOW]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초선 친이계 의원들은 이재명 대표의 이번 애완견 발언에 대해서 이렇게 입장을 밝혔습니다. 양문석 의원은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앞서도 영상으로 보셨는데요. 애완견에 대한 모독이 아니냐. 기레기 그런 표현을 썼는데 기레기라고 하지 왜 그렇게 격조 높게 애완견이라고 해서 비난받는 일인지 모르겠다라고 했고요. 노종면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권력이 주문한 대로 받아 쓰고 권력에 유리하게 프레임을 만들어주는 언론을 학계에서도 언론에서도 애완견, 랩독이라 부른다. 이렇게 의견을 밝혔습니다. 초선 일부 의원들의 이 의견들이 화제가 되고 있는데 이게 전체적으로 의원들 사이에서도 많이 나오는 시각입니까, 어떻게 보십니까?

◆서용주> 그렇지는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전반적인 의원들은 기본적으로 정치인은 품격 있는 언어를 쓰려고 노력하는 것이고 국민들을 대표하는 처지에 있잖아요. 아무리 거친 언어를 썼다 하더라도 국민의 대표고 국회의원으로서 품격 있는 언어를 쓰려고 노력하는 것이 정치인의 자세라고 봤을 때는 민주당 전체 의원들이 거북한 것에 대해서 양문석 의원처럼 애완견에 대한 모독이다라고까지 생각하는 것은 좀 과하죠. 양문석 의원이 저렇게 얘기를 하면 이번 기회에 이재명 대표의 편을 드는 또 하나의 득점 포인트로 생각하는지 모르지만 국민들이 보기에는 그게 정상적인 편들기는 아닌 것 같아요.

그러니까 조금 더 절제된 언어를 사용하라고 조언하는 것들이 더 옆에서 이재명 대표를 위하는 길이고 설사 이게 말하자면 거친 언어로 들렸다 하더라도 상세하게 설명을 해가면서 애완견 말고 다른 말로 얘기하는 게 어땠을까 하는 생각은 있다. 하지만 이재명 대표께서도 언론에 대해서 서운한 감정 그리고 사법부나 윤석열 정부에 대한 화난 감정 백번 이해한다라고 합리적으로 표현을 넣었으면 좋을 텐데 거기에 덧붙여서 편을 드니까 도리어 국민들이 보기에는 이게 뭐야라고 할 것이고. 노종면 의원은 아쉬운 것들이 있어요. 말씀 차분하게 하신 것은 같지만 학문적으로 언론학계에서도 애완견이라는 말을 랩독이라고 부른다고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직전에 언론인이셨고 언론인의 길을 걸었을 때도 노조 활동을 왕성하게 했던 측면에서 아무리 대변인이라 하더라도 이 부분은 다른 대변인한테 넘기는 것들이 더 지혜롭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은 개인적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앵커> 어쨌든 원내 의원들이 이런 비판을 하다 보니까 민주당 전체적으로 이제 검찰 비판 전략에서 언론 전체에 대한 비판으로 전략을 잡는 건가? 이런 시각도 있거든요.

◆김병민> 민주당이 이재명 대표 한 명을 보호하려다가 결국 모든 걸 놓치게 되는 우를 범하지 않을까 생각을 합니다. 이재명 대표의 사법리스크라는 건 객관적으로 드러나 있는 현실이거든요. 여기에 대해서 어떤 방식으로 재판이 진행되는지를 객관적으로 지켜보면 될 일인데 이걸 사법 방해하듯이, 그리고 이를 보도하는 언론에 대해서는 뭔가 겁박이라도 하듯이 이런 방식의 입법권력들을 남용하는 모습들이 과연 국민들께 어떻게 비춰질까 싶습니다. 그리고 국민을 향해서 이야기할 때는 본인들의 과거와 현재를 객관적으로 비교해 보면서 이야기할 필요가 있는데 노종면 의원이 얘기했던 권력이 주문한 대로 받아 쓰고 권력에 유리하게 프레임을 만들어주는 언론이라는 표현들. 이게 노종면 의원 본인에 대한 자기 고백 아니냐 이런 비판들이 나올 수도 있거든요.

본인이 어떤 언론인의 길을 걸어왔는지에 대한 평가들은 국민들이 내리겠습니다마는 적어도 지금 이 순간에도 권력과 그리고 어떤 힘의 논리에도 굴하지 않고 객관적 진실을 보도하기 위해서 열심히 노력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많은 언론인들이 있는데 이걸 이재명 대표의 애완견 발언과 마찬가지로 전체를 일반화시켜서 이런 방식으로 매도하게 된다면 마시던 우물에 침을 뱉는 정도를 넘어선다라고 하는 평가를 노종면 의원 등 민주당의 의원들이 비판받아 마땅하다,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앵커> 어쨌든 애완견 공방 관련해서 정치권에서 지금 이런저런 얘기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어떤 얘기인지 들어보시죠.

[최민희 / 더불어민주당 의원 (YTN 뉴스파이팅) : 일단 이런 말을 들으면 언론이 기분이 나쁘겠죠. 대다수는 이런 말을 들어도 사실 할 말이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도, 이재명 대표도 이런 말을 쓰지 않아도 되는 그런 언론 환경을 꿈꿉니다. 저는 언론이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라는 표현 자체가 틀렸다고 생각합니다.]

[이상민 / 전 국민의힘 의원 (CBS 김현정의 뉴스쇼) : 그게 그렇게 판결문 인용해서 보도하고 하는 게 뭐가 그렇게 잘못됐나요? 그 히틀러 시대 때 괴벨스 있지 않습니까? 반복하라. 반복하고 또 반복하면 거짓도 진실이 된다. 이런 선전 선동술에 아주 신봉하는 사람들 같아요. 일단 버티고, 우기고, 딱 잡아떼고, 뒤집어씌우고.]

◇앵커> 최민희 의원은 이재명 대표 사법리스크라는 용어 자체가 언론에서 잘못 쓰고 있다고 지적했는데 같은 생각이신가요?

◆서용주> 그건 받아들이기 나름이겠지만 사법리스크도 되고 검찰리스크도 되는 것이죠. 그러니까 주어가 바뀌는 것이죠. 그런데 언론이 사법리스크라고 쓰는 이유가 뭘까라는 부분들은 언론의 편집권이고 그건 독립적인 판단이기 때문에 거기까지 간섭을 하게 된다면 좀 논쟁이 길어질 것 같고요. 저는 그렇습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저도 언론인 출신이기도 하고 언론을 경험해 봐서 기자들이 현장에서 취하는 여러 가지 제약적인 여건이 있어요. 그러니까 데일리로 보도했을 때는 아주 짧은 시간 내에 그 사실 팩트를 확인해서 보도를 해야 되는데 그 부분들을 크로스체크해서 가는 부분들이 있으면 얼마나 좋겠어요. 그렇기 때문에 받아쓰기 기자냐. 이걸 만약에 애완견이라고 판단한다면 대부분의 기자들은 굉장히 언론의 현실을 모르고 얘기하는 것일 수 있다라는 것이고, 두 번째 우려스러운 것은 나에게 좋은 기사를 쓰면 마음에 드는 기사를 쓰면 상대를 공격하고, 윤석열 정부를 비판하면 감시견이고 나에 대해서 비판하면 애완견이고. 이렇게 이분법적으로 접근하면 안 된다는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이 촉발은 제가 단어 하나로 민주당이나 이재명 대표가 이걸 언론을 구분 지으려고 했다기보다는 일단 본인의 감정이라든지 지금 여론 추이가 마치 이재명 대표가 이화영 부지사의 판결 이후에 뭔가 범죄자가 확정된 것처럼, 유죄가 확정된 것처럼 그런 기사들이 많이 쏟아지는 차원에서 이 부분을 차단하자라는 고육지책이지 않았을까, 저는 그렇게 보고요.

그 결과로 최근에 언론이 안부수 씨의 재판에 대해서 다시 주목하고 있다라는 효과도 있기 때문에 이게 단어에 대한 비판은 있을 수 있으나 정무적인 판단이라든지 이재명 대표의 개인적인 입장에서는 또 일견 이해할 수 있을 부분도 있겠다. 하지만 단어 선택은 조금 더 순화했으면 훨씬 더 메시지가 잘 전달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앵커> 이재명 대표의 언론에 대한 비판이 나오면서 국민의힘도 이재명 대표에 대한 공세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오늘 아침에 성일종 국민의힘 사무총장은 이런 얘기를 했는데요. 그래픽을 보여주실까요. 이런 얘기를 했습니다. 이재명 대표의 삶이 차라리 소설이었으면 좋겠다, 이렇게 얘기를 했고요. 이 소설의 주인공은 참으로 신기한 캐릭터다. 생존본능이 강한 이 캐릭터는 양심도 도덕도 인격도 법도 상황에 따라 바뀌고 있다, 이렇게 공격을 했네요.

◆김병민> 소설이라는 표현은 이재명 대표 스스로가 얘기했던 일이기 때문에 되돌려졌다, 이렇게 평가받을 수 있을 거고요. 창작이라고 하는 표현들까지 나오지 않습니까. 그런데 이재명 대표의 지난 정치 여정을 보면 그야말로 소설의 한 주인공과 같다라고 평가해도 다르지 않겠죠. 정치적인 역정으로 보더라도 문재인 정부 시절에 비주류에서 주류, 이재명 대표의 민주당으로 장악하는 과정도 그렇고, 또 한때 여배우 스캔들로 곤혹을 치렀던 적도 있고 형수 욕설과 관련된 일들은 녹취록이 번지면서 국민들이 그런 내용들을 보면서 이런 정치인이 정말 대권주자가 될 수 있을까 했지만 정말 대권주자까지 됩니다. 지난번 대통령 선거 때는 대장동 사건에 대한 사법리스크로 한복판에 서 있었는데 결국은 구속영장이 청구돼서 구속의 갈림길 앞에 서 있다가 영장이 기각되죠. 그리고 다시 총선 승리하니까 이제 이재명 대표가 여의도 대통령이라는 소리를 들을 정도가 됐는데 이화영 부지사에 대한 중형이 선고되고 난 다음 다시 사법리스크의 한복판에 서게 된 겁니다.

마지막 소설 같은 정치 현실의 끝이 어디가 될지 국민들이 궁금해할 거라고 생각하고 다만 우리가 알고 있는, 국민들이 평범하게 생각하고 지켜봤던 국민을 위한 정치의 길과 지금 이재명 대표의 여러 논란들은 전혀 관련이 없는 상태로 치닫는 것 같아서 매우 안타깝다는 생각이 듭니다.




대담 발췌: 이선 디지털뉴스팀 에디터

#Y녹취록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특별 이벤트
AD
AD

Y녹취록

YTN 뉴스를 만나는 또 다른 방법

전체보기
YTN 유튜브
구독 4,510,000
YTN 네이버채널
구독 5,658,570
YTN 페이스북
구독 703,845
YTN 리더스 뉴스레터
구독 11,630
YTN 엑스
팔로워 361,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