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시리즈
닫기
이제 해당 작성자의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닫기
삭제하시겠습니까?
이제 해당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자막뉴스] 논란의 R&D 예산 '원상복귀'...과학계 반응은 싸늘

자막뉴스 2024.06.28 오후 01:23
AD
[윤석열 / 대통령 (지난해 6월 28일 국가재정전략회의) : 효과 분석 없이 추진된 예산, 돈을 썼는데 아무런 효과도 나타나지 않는, 왜 썼는지 모르는 그런 예산…. 완전히 제로 베이스에서 재점검해야 합니다.]


올해 예산은 지난해 이맘때, "나눠먹기식, 갈라먹기식 R&D는 제로 베이스에서 재검토"라는 대통령 발언 뒤 33년 만에 대폭 삭감됐습니다.

갑자기 깎여나간 예산으로 1년간 후폭풍을 겪은 끝에, 내년 예산은 2년 전 규모를 회복했습니다.

다만 배분은 '선택과 집중' 기조를 유지했습니다.

1년 전 '나눠먹기식'으로 지목된 이른바 '소규모, 파편화'된 과제는 줄이고, 산업적으로 키워야 할 분야에 투자를 밀어준다는 계획입니다.

[윤석열 / 대통령 (올해 4월 22일 과기정보통신의날 기념사 : AI 반도체, 첨단바이오, 퀀텀 분야에서 글로벌 톱3를 달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3대 게임 체인저 기술에 대한 집중 투자와….]

정부가 '3대 게임체인저'로 지목한 AI와 첨단바이오, 양자에는 지난해보다 20~30% 정도 투자를 늘렸습니다.

하지만 '양자에 대한 투자를 2배로 늘리겠다'는 기존 공언에는 증가율이 미치지 못했습니다.

기초연구에 있어서도 정부는 "잘하는 연구자가 더 잘하도록" 도약연구를 신설하는 등, 모두 2조 9천억 원을 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선택과 집중' 전략에서 선택받지 못한 연구자들의 상황은 더 나빠질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올해 1억 원 미만 규모의 생애첫연구와 기본연구의 신규과제 선정이 전면 폐지되면서 젊은 연구자들이 예산이 이미 줄어들어 레드오션이 된 '우수신진연구'로 대거 몰리기도 했습니다.

[류광준 / 과학기술혁신본부장 : 체질 개선, 선도형 R&D로의 전환이 전제돼 있다는 말씀을 널리 설명하는데 그 이해를 구하는 게 그렇게 쉽지 않은 작업인 것 같았습니다.]

정부는 선도형 R&D로의 체질 개선을 통해, 같은 예산이라도 보다 효율적으로 쓰일 수 있도록 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실제 국회에 제출할 정부 예산안은 오는 9월에 확정됩니다.

YTN 장아영입니다.


촬영기자ㅣ고민철
영상편집ㅣ이영훈
디자인ㅣ임샛별
자막뉴스ㅣ이 선

#YTN자막뉴스
특별 이벤트
AD
AD

Y녹취록

YTN 뉴스를 만나는 또 다른 방법

전체보기
YTN 유튜브
구독 4,520,000
YTN 네이버채널
구독 5,657,106
YTN 페이스북
구독 703,845
YTN 리더스 뉴스레터
구독 11,654
YTN 엑스
팔로워 361,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