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날씨
닫기
이제 해당 작성자의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닫기
삭제하시겠습니까?
이제 해당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찬 저기압+더운 바다 '잘못된 만남'...50cm '눈 폭탄'

2024.11.28 오후 03:15
AD
[앵커]
이틀째 서울 등 중부지방에 폭설이 내렸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50cm에 육박하는 눈 폭탄이 쏟아졌는데요,

취재기자와 함께 이례적 눈 폭탄의 원인과 전망 알아보겠습니다.

김민경 YTN 기상·재난 전문기자 스튜디오에 나와 있습니다.

우선 밤사이부터 알아보죠, 어젯밤에도 눈이 꽤 많이 내렸죠?

[기자]
네, 어제 퇴근 시간대부터 오늘 아침 9시까지 눈구름의 이동을 볼 수 있는 레이더 영상을 준비했는데요.

보실까요?

북서쪽에서 이렇게 계속해서 눈구름대가 중부와 남부 일부에 유입됐습니다.

특히 중부는 긴 구름대가 밤새 계속해서 들어오는 게 마치 장마철을 연상시킬 정도였습니다.

[앵커]
그제 밤부터 그야말로 눈 폭탄이 쏟아졌습니다.

많이 쌓인 곳은 50cm에 육박했다고요?

[기자]
맞습니다.

경기 용인시 백암면은 47.5cm로, 50cm에 육박하는 눈이 쌓였고,

경기 광주, 서울 관악, 충북 진천 등에도 40cm가 넘는 눈이 쌓였습니다.

117년 만의 11월 폭설로 기록됐던 서울 공식 관측소에도 28.6cm가 기록됐습니다.

[앵커]
그런데 같은 서울인데도 관악구에 특히 더 많이 내린 이유가 있나요?

[기자]
네, 관악구는 우선 고도가 141m 정도로 지대가 높습니다.

지대가 높은 만큼, 같은 서울이라도 오늘 아침 최저기온이 서울 공식 기온은 영하 0.1도지만, 관악구는 영하 0.8도였습니다.

눈이 이번처럼 '습설'인 형태일 때는 이런 미세한 온도 차이에서도 적설량의 차이가 크게 벌어질 수 있습니다.

[앵커]
전반적인 폭설의 원인도 좀 살펴보죠.

[기자]
네, 찬 저기압과 더운 바다의 '잘못된 만남'이었습니다.

더 거슬러 올라가면 대기 상층이 '블로킹' 즉, 공기의 흐름이 정체됐었기 때문인데요.

저기압이 톱니바퀴 돌아가듯이 제자리에서 돌면서 북쪽의 영하 30도 이하의 매우 찬 공기를 계속 내려보냈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이 저기압이 보낸 찬 공기가 상대적으로 따뜻한 서해를 지났다는 겁니다.

그래픽 왼쪽의 붉은색은 평년과 비교했을 때 해수면 온도가 높은 곳으로, 색이 진할수록 차이가 크게 나는 곳인데요.

현재 서해의 온도가 15도로, 평년보다 2도가량 높습니다.

그런데 대기 상층 1.5km의 온도는 영하 10도가량이다 보니까,

대기 중의 온도와 해수 온도와의 차이가 25도 정도나 크게 나는 셈입니다.

온도 차가 클수록 구름이 강하게 발달하는데,

찬 공기는 계속 내려오고, 이게 상대적으로 따뜻한 서해를 지나면서 강하게 발달한 눈구름이 계속해서 우리나라로 들어와 폭설을 쏟은 겁니다.

[앵커]
보통 눈이 오면 항상 강원 산간 부근이 제일 많이 내렸던 것 같은데, 이번에는 수도권이나 충청 등 서쪽에 집중됐어요, 왜 그런 건가요?

[기자]
일기도 한 번 보겠습니다.

대기 상층 5km 부근입니다.

이 노랗고 붉은 동그란 덩어리가 우리나라 북쪽 상층에 정체됐던 저기압인데요.

우리나라 쪽으로 축 처진 부분, 이걸 골짜기 같다고 해서 '골'이라고 표현을 하는데요.

이 부근에서 구름이 잘 발달하게 되는데,

어젯밤부터 오늘 오전까지는 이 골이 수도권과 충청 부근에 위치했었던 게 원인입니다.

[앵커]
눈이 쌓이면서 붕괴 피해도 속출했는데, 낙엽 때문에도 문제라고요?

[기자]
맞습니다.

눈이 내리기 직전에 바람 많이 불었던 거 기억하시죠?

강풍에 단풍잎이나 은행잎들이 우수수 떨어졌는데, 보행길 곳곳에 치워지지 않은 채로 비나 눈이 내리면서 낙엽이 언 상태로 눈이 더해져 이중으로 쌓여 더 미끄럽습니다.

해가 잘 들지 않는 골목길이나 보행 도로에도 여전히 쌓여있는 곳이 많아서 길을 걸을 때도 넘어지지 않게 주의하면서 걸어야 합니다.

[앵커]
나무나 표지판에 쌓여있는 눈도 특히 조심해야 한다고요?

[기자]
네, 오늘 아침 YTN 재난보도시스템 Y-DAS CCTV에서 포착된 사진이 있는데요.

자동차 속도제한 표지판에 쌓인 눈입니다.

대략 10cm는 넘어 보이는데요.

이번 눈이 무겁고 잘 뭉쳐지는 '습설'이기 때문에 쌓여있는 눈이 햇볕을 받으면서 녹기 시작하면 덩어리 채로 떨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도로 한복판에서 주행 중인 차량 앞유리에 눈 덩어리가 떨어지면 순간적으로 시야를 막아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앵커]
가장 궁금한 게, 이번 눈, 도대체 언제까지 오는 건가요?

[기자]
네, 다들 이 부분을 가장 궁금해하실 것 같은데요.

레이더 화면 보겠습니다.

확실히 좀 전에 봤던 밤사이 레이더와는 차이가 크죠.

이제는 구름대가 동쪽으로 많이 빠지고 충청 등 곳곳에만 산발적으로 분포하고 있습니다.

수도권 등은 오후에 대부분 눈이 그치고 충청과 호남 일부는 내일까지도 눈이 내릴 것으로 보이고요.

내일 오전에 잠시 소강상태를 보였다가, 수도권 등 내륙 곳곳에서 낮에 눈이 한 차례 더 내리겠는데요.

대기 정체는 해소됐지만, 남아있는 기압골이 일시적으로 한 차례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인데,

다행히 내일 낮에는 적설량이 대부분 1에서 5cm로 어제와 오늘보다는 확연히 양은 적을 전망입니다.

[앵커]
오늘 출근길도 긴장했었는데, 퇴근길과 내일 아침은 어떨까요?

[기자]
네, 눈이 대부분 그친다고 하더라도 기온이 낮아서 걱정입니다.

한낮인 지금도 3.3도로, 기온이 크게 높지 않습니다.

구름이 가득 낀 곳에서는 햇볕의 영향도 적어서 눈이 많이 녹지 못하는데요.

여기에 저녁부터 기온이 다시 떨어지게 되면 녹지 못한 눈이 이제는 그대로 얼어버릴 가능성이 큽니다.

그래서 오늘 퇴근길보다는 내일 출근길에 더 주의가 필요한데요.

통행량이 많고 제설작업이 잘 되어있는 고속도로나 도심 큰 도로는 괜찮겠지만, 교량이나 터널 입·출구, 골목길 등에서는 미끄럼 사고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앵커]
가장 무서운 게 '도로 살얼음'이라고 하던데, 이건 눈에도 잘 안 보인다고요?

[기자]
맞습니다.

도로 살얼음이라는 게 기온이 갑자기 내려가면서 녹았던 눈이나 비가 얇은 빙판으로 변하는 현상인데요.

평소 도로보다 14배, 눈길보다 6배나 미끄럽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특히 도로 살얼음은 눈에 잘 안 보이기 때문에 자동차 헤드라이트에 비친 도로가 반짝이진 않는지 수시로 확인해야 하고요.

브레이크를 한 번에 밟기 보다는 일정한 간격으로 가볍게 여러 번에 걸쳐서 밟는 게 조금 더 효과적입니다.

[앵커]
불과 2주 전까지만 해도 더워서 반소매를 입은 적도 있었는데, 지금은 추위에 눈 폭탄에, 계절이 무색해진 것 같네요?

[기자]
보통 9월, 10월, 11월을 가을이라고 하는데요.

11월 한 달만 봐도 기록이 어마어마합니다.

11월임에도 초순에는 서울 최고기온이 25.1도까지 올랐다가 어제는 최고기온이 1도로, 한 달 안에 기온이 20도 이상 차이가 났고요.

초순에는 제주에 200mm 이상의 장마철을 방불케 하는 물 폭탄을 쏟더니, 이제는 눈 폭탄까지 한 달 사이 사계절을 경험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였습니다.

[앵커]
모든 원인이 높아진 해수 온도 때문이라고요?

[기자]
맞습니다.

우선 이번 달 초순의 제주 물 폭탄은 태풍 '콩레이'의 간접 영향이었는데요.

이번 달에 30년 만에 11월에 태풍이 4개가 동시에 활동했었는데요.

태풍이 발달하는 서태평양의 해수 온도가 11월까지도 높아 태풍이 발달하기 좋은 조건이었기 때문입니다.

여름에 기록적이었던 폭염과 열대야, 추석까지 이어진 늦더위, 그리고 이번 눈 폭탄 역시 모두 높아진 해수 온도가 원인으로 꼽힙니다.

[앵커]
근데 사실 기온이 1~2도 차이는 잘 실감이 안 나는데, 해수 온도는 1도, 1도의 차이가 크다고요?

[기자]
맞습니다.

보통 해수 온도가 1도 높아지면, 대기 중에 수증기를 포함할 수 있는 양이 7% 정도 증가합니다.

대기 중 수증기의 양 자체가 7% 증가한다는 게 아니라 대기가 수증기를 포함할 수 있는 물탱크의 용량이 7% 늘어난다는 건데요.

수증기가 늘어난다는 건 대기 중에 구름이 만들어지는 재료가 많아진다는 거고요.

또, 해수 온도가 1도 높아지면, 태풍의 풍속이 약 32km가량 증가한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앵커]
마지막으로 첫눈부터 폭설이었다 보니 시작되는 겨울이 걱정인데, 삼한사온은 옛말이 되었다고요?

[기자]
맞습니다.

보통 우리나라 겨울철 하면 대표적으로 떠오르는 게 사흘은 춥고, 나흘은 따뜻한 '삼한사온'입니다.

하지만 이제는 더는 맞지 않은 단어가 된 듯 싶은데요.

지난해 겨울에는 초반에 반짝 춥다가 포근해지더니, 중반부터 북극 한파가 열흘가량 이어지면서 추웠습니다.

이른바 '9한11온'이었는데요.


이번 겨울도 역시 반복되는 주기가 길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실제로 이번 추위도 다음 주까지 열흘 가까이 이어지고요, 이후엔 평년 기온과 비슷한 날씨가 이어지다 올해 말에 또 한차례 한기가 남하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YTN 김민경 (kimmin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AD
AD

Y녹취록

YTN 뉴스를 만나는 또 다른 방법

전체보기
YTN 유튜브
구독 4,770,000
YTN 네이버채널
구독 5,662,708
YTN 페이스북
구독 703,845
YTN 리더스 뉴스레터
구독 15,435
YTN 엑스
팔로워 361,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