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국제
닫기
이제 해당 작성자의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닫기
삭제하시겠습니까?
이제 해당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시진핑 기업총수 소집령에 마윈까지...'빅테크 박해' 끝?

2025.02.18 오전 12:33
AD
[앵커]
미국과 관세·기술 패권 전쟁이 본격화되는 와중에 시진핑 중국 주석이 기업 총수들을 불러모았습니다.

그동안 '빅테크 박해'의 상징이었던 알리바바 창업자 마윈도 초대를 받아 이목을 끌었는데요.

맥락이 뭔지, 베이징 강정규 특파원이 짚어봤습니다.

[기자]
시진핑 주석이 연례 정치 행사 양회를 앞두고 민영 기업 좌담회를 열었습니다.

화웨이 런정페이, BYD 왕촨푸, 샤오미 레이쥔 등 내로라하는 재계 총수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항저우 6룡'으로 떠오른 로봇 제조사 유니트리 왕싱싱과 딥시크 창업자 량원펑도 참석했습니다.

중국 당국이 미국과 기술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민간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인정한 거로 풀이됩니다.

[시진핑 / 중국 국가주석 : 먼저 쌓은 부를 통해 공동 부유를 촉진하여, 중국식 현대화 추진에 새롭고 큰 공헌을 하길 바랍니다.]

특히 당국의 금융규제를 전당포 영업에 비유했다가 철퇴를 맞았던 마윈도 초대돼 주목을 받았습니다.

중국의 '빅테크 박해'가 끝났단 신호로 읽히면서 뉴욕 상장 알리바바 주가는 4% 넘게 뛰었습니다.

'딥시크 충격' 이후 중국 기술주가 주도하는 랠리에도 일단 순풍을 더했다는 평가입니다.

실제 지난 한 달간 인도로 갔던 자금이 유턴하면서 중국 증시의 시가총액은 1,875조 원 불어났습니다.

중국 관영 CCTV는 시 주석의 공으로 돌렸습니다.

2003년 저장성 당서기 때 '디지털 산업 육성 전략'을 처음 제기했던 장본인이라고 칭송한 겁니다.

[중국 관영 CCTV (2월 16일 보도) : 시진핑 총서기는 여러 차례 저장성을 시찰하며, 산업 디지털화와 디지털 산업화가 주는 기회를 잡아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일각에선 민간 영역에 대한 국가 권력의 개입이 커질 경우 역효과를 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




YTN 강정규 (liv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AD
AD

Y녹취록

YTN 뉴스를 만나는 또 다른 방법

전체보기
YTN 유튜브
구독 4,900,000
YTN 네이버채널
구독 5,596,530
YTN 페이스북
구독 703,845
YTN 리더스 뉴스레터
구독 20,588
YTN 엑스
팔로워 361,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