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 가능성과 타이완 해협 문제를 둘러싸고 우리나라와 중국, 러시아 간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한미일 대 북중러' 구도가 고착화하고 세계 질서의 진영화가 가속화되면서 우리 정부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조수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최근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타이완 해협 긴장 상황은 힘에 의한 현상 변경 시도 때문에 생긴 일이라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그러자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중국의 내정에 말참견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반발했고,
이에 우리 외교부는 심각한 외교적 결례라며 주한중국대사를 초치해 강력히 항의했습니다.
양국이 타이완 문제로 날카롭게 대립하면서 한동안 순탄했던 한중 관계에 다시 경고등이 켜진 모양새입니다.
[홍현익 / 전 국립외교원장 : (중국이) 상호존중을 어긴 거예요 지금. 중국이 너무 세게 얘기한다고 우리가 고개를 숙일 필요는 없지만 가능하다면 한미정상회담을 하더라도 중국과 러시아와도 우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면 유지하는 것이 우리의 국익이다…]
러시아와의 갈등은 윤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급격히 고조됐습니다.
민간인이 대량 살상될 경우 무기 지원에 나설 수도 있다는 윤 대통령의 원론적인 발언에, 러시아는 연일 반발하며 북한에 무기를 지원할 수 있다고도 위협했지만, 미국은 환영의 뜻을 밝혔습니다.
과거 냉전 구도처럼 세계 질서가 재편되는 상황에서 우리 정부가 한미 동맹과 국제사회 규범을 고려해 외교적 균형을 잘 잡아야 하는 숙제를 떠안게 된 겁니다,
[김재천 / 서강대 국제대학원 교수 : 진영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이 너무 중간에만 위치하려는 전략은 유효하지 않다고 윤석열 대통령은 판단한 것이 아닌가, 그래서 자유가 말살되고 인권이 유린되는 상황은 엄연한 자유주의 진영 국가인 한국으로서 그냥 지켜만 볼 수는 없다…]
특히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중국과 러시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만큼, 양자 관계는 물론 북한 비핵화 문제에서도 대북 공조가 유지될 수 있도록 섬세한 외교적 노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YTN 조수현입니다.
영상편집 : 주혜민
YTN 조수현 (sj1029@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